DOI QR코드

DOI QR Code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f Care for Families with Mentally Disabled and Quality of Life

  • 투고 : 2017.10.11
  • 심사 : 2017.10.25
  • 발행 : 2017.11.28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사회복귀시설과 정신건강증진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 가족 102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의 가족이 그들 자녀를 돌보면서 경험하는 보호부담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탄력성은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삶의 질 간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위요인 모두에서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는 보호부담과 삶의 질 관계에 있어 조절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를 근거로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정신장애인 가족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노력과 이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urden of care for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f 102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registered in the mental health centers and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As a result, first, the burden of caring for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family resilienc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f care and the quality of life of families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subscales of family resilience were all buffered. Finally, social support has proved to be moder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f care and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nee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the family is needed, and the institutional support to mitigate the economic burden of the mental disabled family's social support network is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최현미,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6권, pp.45-59, 2002.
  2. C. G. Francell, V. S. Conn, and D. P. Gray, "Families' perceptions of burden of care for chronic mentally ill relatives,"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Vol.39, No.12, pp.1296-1300, 1988.
  3. 강동호, 김철권, 변원탄,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4권, 제1호, pp.193-203, 1995.
  4. 김은지, 정신분열 환자의 개인.사회적 기능과 가족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 양옥경, "정신장애인 가족에 관한 연구: 가족의 보호부담, 대처기제, 서비스 욕구를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제34권, 제3호, pp.809-829, 1995.
  6. 최재순,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 김자연,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장애아동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최인희, 희귀.난치성 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9. 김용분, 이정섭, "정신분열병환자 가족부담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456-477, 1999.
  10. J. A. Clausen and M. R. Yarrow, "Mental illness and the family," Journal of Social Issues, Vol.11, No.4, pp.3-5, 195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55.tb00338.x
  11. J. Grad and P. Sainsburry, "Mental illness and the family," The Lancet, Vol.281(7280), pp.544-547, 1963.
  12. J. Hoening and M. W. Hamilton, "The Schizophrenic patient in the community and his effect on the househol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Vol.12, No.3, pp.165-176, 1966. https://doi.org/10.1177/002076406601200301
  13. S. Platt, "Measuring the burden of psychiatric illness on the family: an evaluation of some rating scales," Psychological medicine, Vol.15, No.2, pp.383-393, 1985.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23680
  14. S. Pai and R. L. Kapur, "The burden on the family of a psychiatric patient: development of an interview schedu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38, No.4, pp.332-335, 1981. https://doi.org/10.1192/bjp.138.4.332
  15. M. Scazufca and E. Kuipers, "Links between expressed emotion and burden of care in relative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68, No.5, pp.580-587, 1996. https://doi.org/10.1192/bjp.168.5.580
  16. 김현진, 가족기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7. 이정자,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및 가족부담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2007.
  18. 이세금,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과 서비스 욕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9. 전재현, 주거시설 서비스가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양옥경, 지역사회 정신건강, 경기: 나남, 2005.
  21. A. Campbell,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Research, Vol.31, No.2, pp.117-124, 1976.
  22. A. F. Lehman, "The effects of psychiatric symptoms on quality of life assessments among the chronic mentally ill,"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6, No.2, pp.143-151, 1983. https://doi.org/10.1016/0149-7189(83)90028-9
  23. 박세정,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4. 김정숙,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현실요법중심-정신재활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5. 최정주, 가족탄력성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6. H. I. McCubbin and M. A. Thompson,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Vol.37, No.3, pp.247-254, 1988. https://doi.org/10.2307/584557
  27. L. Valentine and L. L. Feinauer, "Resilience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Amerci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1, No.3, pp.216-224, 1993. https://doi.org/10.1080/01926189308250920
  28. F. Walsh, Strengthening falily resilien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8.
  29. 송유미, "중년기 여성 사회복지사의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 가족탄력성의 매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235-25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235
  30. 임안나, 박영숙,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319-32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319
  31.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3,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32. 서미혜, 오가실,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467-486, 1993.
  33. 전미리, 취업정신장애인 가족들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정신분열증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4. 김성희, 우울증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정신건강,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5. 김인경,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부담감과 삶의 질,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6. 채인숙, 정신장애인 성인자녀를 돌보는 가족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주보호자의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7. 이민아, 가족탄력성이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8. 송순인, "정신장애인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6권, 제2호, pp.133-156.
  39. 최영신,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40. 윤명숙, 박은아, 최수연,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과 삶의 질: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제21권, pp.91-112, 2013.
  41. WHO Quality of Life Group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WHOQOL): pos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41, No.10, pp.1403-1409, 1995. https://doi.org/10.1016/0277-9536(95)00112-K
  42. 김철권, 조진석, 서지민, 김용관, 김호찬, 김현수, 김상수, 제영묘,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부담 척도 개발에 대한 예비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8권, 제3호, pp.539-553, 1999.
  43. M. T. Sixbey, Development pf the family resilience assessment scale to identify family resilience construc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2005.
  44. P. A. Brandt and C. Weinert, "The PRQ-A social support measure," Nursing Research, Vol.30, No.5, pp.277-280, 1981.
  45. 조광호,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삶의 질과 정신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6. 박은경,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주보호자의 가족부담감과 삶의 질,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