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륙별 수출액의 상승률과 변동성 및 향후 성장 가능성 분석

Growth Rate and Volatility of Exports by Continent & Future Growth potential Analysis

  • 투고 : 2017.07.31
  • 심사 : 2017.08.25
  • 발행 : 2017.11.28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지난 2010년 이후 우리의 수출 대상인 아시아, 북미, 유럽,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수출액의 상승률 동향과 변동성 그리고 상관관계와 모형분석 등을 살펴보고 향후 성장 방향을 찾아보는데 있다. 분석 결과 아시아, 북미, 유럽,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순으로 높은 수출 비중을 보여주었으며 수출액 상승률은 아시아, 북미, 유럽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전윌대비 변동률은 아시아와 북미가 안정된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의 수출액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아시아, 북미, 유럽으로의 수출 향상에 많은 관심을 보여야 할 것이다. 특히 50%가 넘는 아시아 즉, 중국, 일본, 베트남, 홍콩, 대만, 인도 등으로 수출 향상과 수출전략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아직은 수출 비중이 크지 않지만 향후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의 신시장 개척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수출향상방안이 체계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rowth trends and volatility of exports in Asia, North America, Europe, Central and South America, Middle East and Africa since 2010. And analyze the correlation and model analysis to find out future directions of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ed high export share in Asia, North America, Europe, Central and South America, Middle East and Africa. Asia, North America, Europe showed a relatively high rate of increase in exports and the month-on-month rate of change was stable in Asia and North America. In order to increase our exports through this research, we should pay much attention to export improvement to Asia, North America and Europe. Especially, Asia's exports account for more than 50%, so it seems necessary to plan export enhancement to China, Japan, Vietnam, Hong Kong, Taiwan and India. Although the proportion of exports is not large yet, much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new markets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the Middle East and Africa. And I look forward to systematic progress in export promo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민, "6월 수출 514억 다러, 월 기준 역대 2위," 중앙선데이, 제538호, 제2면, 2017.07.02
  2. 박영환, "미.중 포괄적 경제 대화 '무역 힘겨루기' 본격화," 경향신문, 2017.07.18.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
  3. 정찬모, "지역, 지역주의와 아시아태평양공동체," 법학연구, 제19집, 제1호, pp.1-27, 2016.
  4. 김석민, 고자흠, "한국과 APEC 국가 간 해외직접 투자와 포트폴리오투자의 무역효과 분석," 국제지역연구, 제19권, 제3호, pp.129-150, 2015.
  5. 이영민, "동북아물류 신거점을 위한 경제자유구역의 역할," 전자무역연구, 제13권, 제1호, pp.85-107, 2015.
  6. 나희량, "아세안경제공동체 출범에 따른 아세안역내무역 분석 및 시사점 : EU, NAFTA, MERCOSUR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연구, 제25권, 제1호, pp.31-84, 2015.
  7. 정종태, 최창환, "스마트 무역시대의 한국과 유럽간 교역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제17권, 제4호, pp.319-332, 2016.
  8. 강유덕, "유럽의 경기침체가 한.EU FTA 이후 대 EU 수출에 미친 영향: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활용한 요인분석", 무역연구, 제12권, 제6호, pp.187-206, 2016.
  9. 이민지, 이재득, "한국과 EU 간 FTA 발효 전후의 무역결합도와 비교우위 변동 분석," 유럽연구, 제33권, 제2호, pp.281-313, 2015.
  10. 손수석, "한-EU FTA 발효 3년의 성과와 향후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유럽연구, 제33권, 제2호, pp.191-221, 2015.
  11. 노재확, "중남미 지역과 FTA 체결의 효과 분석 및 북미 통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CGE 접근," 무역연구, 제11권, 제6호, pp.175-192, 2015.
  12. 김필수, "미국 트럼프 시대, 국내 자동차 산업을 위한 대응전략은?," Meconomy, 통권99호, pp.1-2, 2016.
  13. 유재욱 외 3, "2017 해외시장 권역별 진출 전략 : 북미지역," KOTRA 16-070, pp.17-133, 2017.
  14. 윤여준, "美 대선 결과와 무관 보호무역주의 심화 중국 이어 한국도 통상압력 주요 타깃 가능성," Chindia Plus, 통권119호, pp.12-13, 2016.
  15. 권영민, "NAFTA 이후 북미 자동차산업의 생산 전환에 대한 분석," 국제통상연구, 제15권, 제2호, pp.29-67, 2010.
  16. 강영진, "한.캐나다 FTA 발효에 따른 활용방안," 함께하는 FTA, 통권34호, pp.12-13, 2015.
  17. 박정준, "캐나다 통상전략과 FTA 활용범 : '북미'라고 미국처럼 여기다단 필패," 함께하는 FTA, 통권35호, pp.12-13, 2015.
  18. 박종석, "중남미지역의 자유무역협정 추진 현황에 관한 연구," 무역연구, 제6권, 제2호, pp.171-185, 2010.
  19. 박종석, 이길남, "한.중남미지역간의 FTA체결 이후 교역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30권, 제4호, pp.193-212, 2015.
  20. 오성주, "중남미 경제 환경 분석과 한-콜롬비아 FTA 시사점," FTA 무역리포트, 제3권, pp.1-3, 2016.
  21. 윤준모, "한국 AEO 상호인정협정의 원활화 방안에 관한연구: 중남미국가들과의 체결을 중심으로," 무역연구, 제12권, 제4호, pp.647-666, 2016.
  22. 문남권, 이주영, "멕시코의 자유무역과 환경 상관관계 고찰," 중남미연구, 제35권, 제3호, pp.87-112, 2016.
  23. 최기영, "FTA 체결에 의한 중남미 자동차 수출 전망과 대응 방안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4권, 제3호, pp.139-158, 2012.
  24. 손태우, "중동 아랍시장 진입시 고려할 법적 사항에 관한 연구," 韓國中東學會論叢, 제33권, 제3호, pp.243-266, 2013.
  25. 이학노, "석유개발 교섭력 결정 단계 및 중동지역 교섭력 강화 방안 연구," 무역연구, 제6권, 제4호, pp.515-535, 2010.
  26. 정원호, "세계 농산물 무역의 주요 지역으로 부상하는 중동과 북아프리카,"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5권, 제5호, pp.129-153, 2016.
  27. 서병민, "중동 의약품시장 통상진출 전략에 대한 연구: UAE 시장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2호, pp.297-318, 2014.
  28. 한국무역공사, "인도.아프리카.중국 시장 정보," 무역보험, 통권188호, pp.34-39, 2014.
  29. 김용태 외, "아프리카 인프라 시장 현황과 한국의 진출 전략",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5. http://www.kita.net/newtri2/report/iitreporter_view.jsp?.
  30. 백다희, "아프리카시장에서의 우리나라 플랜트 산업 경쟁력 제고와 수출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경영연구, 제5호, pp.87-111, 2014.
  31. 왕매령, 최창환, "아프리카 ODA.FDI 수출의 경제적 효과분석," 무역연구, 제12권, 제2호, pp.295-307, 2016.
  32. 이용제, "뜨거운 적도(赤道)에 수출한 빨간 뚜껑 소주 : 하이트진로의 아프리카 진출기," Eminside, pp.1-7, 2016.
  33. 최정일, "글로벌 주식시장의 동조화 현상과 상관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699-70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699
  34. 최정일, "동아시아 주식시장의 상관관계와 변동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165-17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