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보디자인형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Case Study for the Communication Method of Information Design Type Advertising

  • 김종민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
  • 박한솔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투고 : 2017.07.17
  • 심사 : 2017.11.09
  • 발행 : 2017.11.28

초록

본 연구는 정보를 표현기법 삼아 소통되는 정보디자인형 광고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광고와 정보와의 관계를 시대적 이슈에 맞추어 고찰한 후, 정보디자인형 광고 샘플을 선정, 유형별로 연구하고 이를 전문가 그룹과 비전문가 그룹 대상으로 심층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본다. 그 결과, 정보디자인형 광고는 1인 미디어 시대와 정보화 사회에 기인하여 출몰하는 정보디자인 형식을 갖춘 광고로, 이슈가 될만한 정보 혹은 데이터를 정보디자인 기법을 이용하여 시각화 한 후, 이를 표현기법 삼아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형식의 광고임을 알 수 있었으며, 매뉴얼 정보디자인형 광고, 아이덴티티 정보디자인형 광고, 데이터 시각화 정보디자인형 광고로 구분할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키워드는 Attention, Curation, Study가 있다. 이 중 Curation은 Share에서 발전된 개념으로, 공유 행위를 통한 소셜네트워크상에서의 지식 소장, 선점, 과시를 의미한다. 과장과 허위가 아닌,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디자인형 광고는 방대한 양의 정보나 어려운 내용을 쉽게 치환, 이해를 돕는 과정을 통해 흥미와 공감대를 형성하며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고 자연스럽게 제품에 대한 학습을 유도한다.

This study will analyze that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 of Information design type advertising. This study research the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with the issue and explore Information design type advertising samples by doing an in-depth analysis with an expert group and an inexpert group. It attracts customers visualizing sensational information and data as information design technique. It can be classified in to Manual type ad, Identity type ad, Data visualizing type ad. The communication formula of it goes through the keywords: Attention, Curation, Study, and these Curation and Study are new steps which didn't exist before in consumer behavior model. Information used in it comes from common sense or storytelling made by imagination, but there is no example of using false information distorting truth. Not exaggeration and falsehood, interesting which based on confidence creates a bond of sympathy: period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양윤직, 조창완, "광고 매체별 광고회피수준과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92호, p.357, 2012.
  2. 박소담, 정보그래픽 비주얼 표현 요소에 따라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8, 2012.
  3. 오병근, 강성중, 정보디자인교과서, 안그리픽스, 2008.
  4. 오병근, 지식의 시각화, 비즈엔비즈, 2013.
  5.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B3%B4
  6.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B3%B4_%EB%94%94%EC%9E%90%EC%9D%B8
  7. 고재학, 허훈,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사이버스페이스의 행정정보화 사업연구과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7, No.1, p.144, 2004. 재인용
  8.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1&contents_id=4671
  9. 김원석, 제품구매에 있어 광고디자인이 소비자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7, 2003.
  10. 반미연, 광고디자인 교육에서 패러디 광고를 위한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0, 2014.
  11. 안상락, 박정희, 광고, 광고디자인, 비즈앤즈, 2010.
  12. 황민정, 스마트폰을 활용한 광고디자인 형태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3, 2011.
  13. 코레드 광고 전략 연구소, 광고 대사전, 서울: 나남, p.47, 1996.
  14. http://www.fashionseoul.com/?p=109744
  15.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730600
  16.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537040&code=61121111&cp=nv
  17. 박미희, 정대표, 파워블로거의 소비자문제와 개선방안, 정책연구보고서 12-18, p.90, 2012.
  18. 김종민, 모바일메신저 광고디자인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33, 2015.
  1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3797&cid=44415&categoryId=44415
  20. 김경수, 인터넷검색광고의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0, 2007.
  21. 민병전, 광고크리에이티브 유형별 표현 분포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9, 2009.
  22. http://tip.daum.net/openknow/48920462
  23. http://submap.kibu.hu/
  24. https://alleciel.com/2011/03/31/dentsu-sips/
  25. 임재해, "페이스북 공동체의 소통기능과 정치적 변혁성," 한국민속학, 제55권, pp.150-152, 2012.
  26. 최근혜, 서구원, "인포그래픽이 광고 주목도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형미디어학, Vol.18, No.3, p.273,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