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전적 소설에서의 작가의식 형성 연구 -이기영의 『봄』과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Author Consciousness in Autobiographical Novel - Focusing on Lee Ki-young's 『spring』 and Lee Tae-joon's 『The moonlight night of the thought』

  • 발행 : 20170000

초록

본 연구는 1930년대 대표적인 소설가인 이기영의 자전적 소설 『봄』과 이태준의 자전적 소설인 『사상의 월야』를 바탕으로 작가의 의식형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1930년대 초반 이기영이 프로문학의 대표적인 소설가였다면, 프로문학이 쇠퇴하면서 이태준으로 대표되는 순수문학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이는 그들이 상반된 문학성을 지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봄』과 『사상의 월야』에서 자아의 정체성 형성, 세계관 확장, 주체성의 확정으로 분류하여 살폈다. 물론 세 의식은 서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기영의 『봄』과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에서 자아의 정체성은 가족을 통해 형성된다. 특히 아버지의 영향력이 다른 가족들보다 상당하다. 하지만 『봄』에서는 존재하는 아버지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나 『사상의 월야』에서는 특이하게도 아버지의 부재를 통해 나타난다. 또한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세계관을 확장하는데, 『봄』은 한정된 공간에 머물러있기 때문에 낯선 곳에 대한 동경의 모습으로만 보이는 반면 『사상의 월야』는 공간의 이동을 통해서 경험된 의식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풍속과 풍조를 통한 주체성의 확정에서는 『사상의 월야』가 단편적인 현상으로 서술되는 반면, 『봄』이 오랜 시간동안 한 공간을 관찰로 인해 구체적이면서도 비판적으로 서술된다. 이를 통해 볼 때, 이기영의 『봄』은 사건이나 현상에 대한 서술주체의 논평형식으로 서술되어 작가의 의식을 뚜렷이 드러내어, 이기영의 기존의 소설들과 맥이 닿아 있다. 반면에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에서는 사건이나 현상에 대해 경험주체의 의식의 형성 되는대로 서술 주체가 표현함으로써 은폐된 것이 서서히 드러나는 형식을 취한다. 이를 통해 등장인물의 의식이 드러나며, 이태준의 소설들과 의식면에서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artist's consciousnessbased on Lee Ki-young's autobiographical novel『spring』and LeeTae-joon's autobiographical novel『The moonlight night of the thought』, who were the representative novelist of the 1930s. As you know, inthe early 1930s, when Lee Ki-young was a representative novelist ofLiterary literature, After that, pure literature represented by LeeTae-joon took its place. This means that they have contradictoryliteracy.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 identity of the self, the expansion ofthe world view, and the determination of subjectivity in the『spring』and『The moonlight night of the thought』.The identity of the self of『spring』and『The moonlight night of thethought』is formed through the family. specially, the influence of fatheris more important than other family members. however,『spring』doesnot escape from the influence of the existing father, but『The moonlightnight of the thought』appears through the absence of the father. Inaddition, to expand the world view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spring』seems to be a form of longing for an unfamiliar place becauseit remains in a limited space. On the other hand, the『The moonlightnight of the thought』is revealed as a consciousness experiencedthrough the movement of space. However, in determining thsubjectivity through the wind speed and the wind,『The moonlight nightof the thought』is described as a fragmentary phenomenon, while『spring』is described concretely and critically due to observing a spacefor a long time.As a result,『spring』is described in the form of a narrativecommentary about the event or phenomenon, revealing the artist' sconsciousness and touching the existing novels of Lee Ki - young. Onthe other hand,『The moonlight night of the thought』takes the formthat the concealment is gradually revealed as the narrative subjectexpresses the event or phenomenon as the consciousness of experiencesubject is formed. It is composed gradually to reveal the consciousnessof the characters, and it has deep connection with the Lee Tae-joonnove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