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장애 평가에서 유방의 법적 지위 - 장기 해당 여부, 수유장애, 노동력상실에 대하여 -

The legal status of the breast in assessing physical disability

  • 김봉겸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성형외과)
  • Kim, Bong Kyum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Incheon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투고 : 2017.06.08
  • 심사 : 2017.06.26
  • 발행 : 2017.06.30

초록

최근 들어서면서 유방에 대한 수술이 종류가 확대술 축소술 재건술로 대별되고 다양해지면서 이에 따른 원치 않은 수술성과에 대한 분쟁이 증가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한 배보상 문제가 최종적으로 대두되면서, '원치 않은 수술성과'를 '수술 후의 문제점' 보다는 "장애'로 보는 관점이 증가되면서, 신체장애 평가에서 유방의 흉부 장기 해당 여부에 따른 노동력상실률이 직접적으로 거론되기에 이에 대한 견해를 발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령에서 나오는 용어의 사전적 정의 및 의학적 제반 사항을 살펴보았다. 흉부 장기에 유방 포함 여부의 혼란은 용어 선정 후 그 해석이 시대 변화와 맞물려 유발된 것으로 생각된다. 법령에서의 자구 해석을 살펴보면, 유방은 흉부 장기에 해당되지 못함으로 규정된 것으로 사료되며, 수유장애는 낮은 출산율과 실제로 모유수유하는 경우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다수의 의견이라고 주장 강조함이 약화되고 있으며, 모유수유를 노동으로 볼 수 있는 유모로서의 직업도 현재 존재하는지 조차 모르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유방을 흉복부 장기 해당 여부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 포함시키려면, (1) 법령집의 용어를 교체하거나(흉복부 장기에서 (ㄱ) 흉복부를 '흉복부 및 흉복강'으로 그리고 (ㄴ) 장기를 '장기 및 기관'으로), (2) 여러 법령에서 용어 변경은 어렵기 때문에,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별표 제5호] 신체부위별 장해등급 판정에 관한 세부기준(제48조 관련)"에 유방을 예외적으로 포함시키면 될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그러나 피부부속기관인 유방을 흉복부 기관 혹은 예외적으로 포함시키면, 당연히 다른 피부부속기관도 포함시켜야 하는 모순관계가 도출되는 문제가 있다고 사료된다. 반면 완전히 배제시키려면, (1) '흉복부'를 '흉복강'으로 하거나, (2) "유방은 제외된다"라는 단서 조항만 삽입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해 본다.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하다 하지만 만인 앞에 법이 평등하기 위해서는, 즉 새로운 해석과 판결을 위해서는 사회적인 합의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reast tissue is composed of skin, mammary gland(including lactiferous duct), subcutaneous fat layer. The anatomical position is on the anterior chest wall(the outside of the chest cavity) but not on the inside of the thorax. Therefore, when the internal organs in the thoracic cavity are defined and expressed as 'organs' and the internal organs of each are labeled for a long time, for the breast located outside the thoracic cavity, it is thought that there is considerable difficulty in defining and recognizing the breast tissue as organ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discourage the controversy over whether or not the breast is contained in the chest(or intra-thoracic cavity). In order to completely exclude it, it is assumed that the "chest-abdomen" can be called the "intra-thoraxic or intra-abdominal." Bu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terms in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 think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insert only the clue clause "Breasts are excluded" in the detailed criteria for grading. In order to include i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terms of the ordinance or to say that the breast is exceptionally included.

키워드

참고문헌

  1. 안태희, 장애관련 제기준의 비교분석, 조사연구 2001-1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경기: 창문인쇄공사, 2001.
  2. 정한영, "제2장 장애와 손상의 개념 (25-35면)", 대한의료감정학회, 의료감정학(장애평가와 의무기록감정) 초판, 서울: 중앙문화사, 2010.
  3. 이경석 외, 배상과 보상의 의학적 판단-신경계 장애 중심 5판, 서울: (주)엠엘커뮤니케이션, 2014.
  4. 곽명순, 완전모유수유 6개월 실천 관련요인,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보건관리학과), 2016.
  5. 이미진, 우리나라 장애평가 관련 법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의료법윤리학전공), 2006.
  6. 이철, 우리나라 신체장애 평가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의학과 법의학 전공), 2006.
  7. 장은하, 현대 국어의 <신체> 명칭 분절구조에 대한 연구. <외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응용어문정보학과). 2004.
  8. 김승권 외, 초저출산 국가의 출산동향과 정책대응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9. 송강훈 외, 전국규모 모유은행 운영보고,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3, No. 4, 2010.
  10. 최상순 외, "모유수유 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2권 제2호, 1996.
  11.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제6차 개정판 2007. 10. 1. (통계청 고시 제2007-3호) (7차, 2017-하반기 예정).
  12. 통계청, "2015년 출생 통계(확정)",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보도자료, 2016. 8. 24.
  13. 통계청, "2016 일.가정양립 지표",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보도자료, 2016. 12. 13.
  14. 대한_모유수유_의사회, 신생아 모유수유에 성공하기 위해 꼭 알아야할 16가지, http://www.bfmed.co.kr/subView.html?cate=1&idx=749, 2017. 05. 22. 검색.
  15. 대한민국 법원 종합법률정보, http://glaw.scourt.go.kr/wsjo/intesrch/sjo022.do, 2016. 12. 02. 검색.
  16. 법률신문, "가슴성형 부작용도 노동력 상실 해당", 2015. 10. 13.,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96080, 2017. 5. 1. 검색.
  17.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2011년 임산부의 날을 맞아 산모 대상 모유수유실태 조사. 2011. 10. 19.", http://www.unicef.or.kr/news/notice_view.asp?idx=21892, 2017. 4. 25. 검색.
  18. 일본 법령, "노동기준법 시행규칙 별표제2 신체장해등급표", http://law.e-gov.go.jp/cgi-bin/idxselect.cgi?IDX_OPT=4&H_NAME=&H_NAME_YOMI=%82%a0&H_NO_GENGO=H&H_NO_YEAR=&H_NO_TYPE=2&H_NO_NO=&H_FILE_NAME=S22F03601000023&H_RYAKU=1&H_CTG=44&H_YOMI_GUN=1&H_CTG_GUN=1 2017. 4. 26., 검색.
  19. Wikipedia. Supernumerary nipple. https://en.wikipedia.org/wiki/Supernumerary_nipple 2017. 5. 1. 검색.
  20. Ackerman AB, Kessler G, Gyorfi T, et al. Contrary view: the breast is not an organ per se, but a distinctive region of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Am J Dermatopathol. 2007; 29: 211-218. https://doi.org/10.1097/DAD.0b013e3180325d6b
  21. Cassarino DS. The breast is a distinct organ. Am J Dermatopathol. 2008; 30: 204. https://doi.org/10.1097/DAD.0b013e3181641ad5
  22. Hall JE. Chapter 82, Female Physiology Before Pregnancy and Female Hormone (p. 1037-1054). In Hall JE.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3th ed.). Elsevier, Inc. 2016.
  23. Lawrence RA, Lawrence RM. Chapter 2 Anatomy of the breast (p. 34-55). In: Lawrence RA. Breastfeeding. A Guide for the Medical Profession. 8th ed. Elsevier. 2016.
  24. Robinson GW. Identification of signaling pathways in early mammary gland development by mouse genetics. Breast Cancer Res. 2004;6(3):105-108. p. 105. https://doi.org/10.1186/bcr776
  25. Rondinelli RD. AMA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6th ed. (634pages, 4th printing, Oct. 2014). 2007. p. 239.
  26. Standring S, et al.. Chapter 54 Chest wall and breast (p. 915-938). In: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0th ed. London:Churchill Livingstone; 2008.
  27. Proksch E, Jensen JM, Chapter 47 Skin as an organ of protection. In: Goldsmith LA, Katz SI, Gilchrest BA, Paller AS, Leffell DJ, Klaus Wolff K.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8th ed., McGraw-Hill Companies, Inc. 2012. http://accessmedicine.mhmedical.com/content.aspx?bookid=392§ionid=41138745 2017. 06. 2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