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Inflation Indexed Excise Duties on Transportation Fuel Consumption Using Demand Analysis based on the Linear Expenditure System in Korea

선형지출체계 수요함수 추정을 통한 수송용 유류 종량세의 물가연동제 도입효과 분석

  • Received : 2017.05.02
  • Accepted : 2017.06.0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s of imaginary repeated increases in excise duties on fuel oil consumption and on their income redistribution according to changes in consumer price index, if the inflation indexation system was introduced right after the second Energy Tax Reform ended in July, 2007 in Korea. In fact, nominal excise rates have not been adjusted since 2007. As a result, the real excise rates on fuel oils have been diminishe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sumer price index. Own- and cross-price elasticities of fuel oils such as gasoline and diesel oil are estimated under the general equilibrium framework based on the linear expenditure system. Counterfactual analyses through microsimulation in a static model are adop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introducing inflation indexation into the fuel tax in 2007 when the second Energy Tax reform ended on the fuel consumption and income redistribution in 2014. Microsimulations suggest that its introduction could have reduced the consumption of gasoline and diesel oil by 8.8% and 5.4%, respectively, ending up with increased excise revenue by 11.9%. The revenue increase in spite of decreased consumption is mainly because their demands are price inelastic. It could also have increased positive income redistributive effect by 0.01%p (from 0.12% to 0.13%), which is measured in terms of percentage decrease in Gini coefficient. In other words, the fuel excise on the two fuel oils decreased by 0.13% the Gini coefficient of before and after fuel tax income in 2014. This implies that the inflation indexation could have enlarged the income redistributive effect up to 0.13% in 2014, if it is introduced in 2007.

본 연구는 에너지세제개편이 종료된 2007년부터 매년 유류세의 종량세액을 소비자물가지수에 연동하여 자동조정해주었다는 가상적인 상황을 전제로 수송용 연료유(휘발유, 경유)의 소비량, 세부담(세수) 및 유류세의 소득재분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 분석하였다. 일반균형적 관점에서 선형지출체계 수요함수를 설정하고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2014년 가계동향조사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추정한 결과, 유류세 물가연동제가 도입되었다면 2014년 현재 일반가계의 휘발유, 경유의 소비량은 각각 8.8%와 5.4% 축소되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소비세는 소득역진적이어서 부(-)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수송용 유류세는 소득분배구조를 소폭 개선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가연동세제의 도입을 유류 소비량을 감소시키지만 세율인상 효과가 소비감소 효과를 압도하여 유류세 세수는 11.9%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류세 부담의 누진도는 미약하게 약화되지만, 세수증가 효과가 이를 압도하여 소득재분배 효과는 소폭 증가($+0.12%{\rightarrow}+0.13%$)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옥 . 강광규 . 조정환, "탄소세 도입 및 에너지세제 개편방안 연구", 녹생성장연구 2011-0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2. 강만옥 . 신상철 . 김연아, "에너지세제의 환경친화적 개편 및 지속가능한 환경재정체계 구축방안 연구", 기후환경정책연구 2015-0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3. 강만옥 . 이상용 . 조장율, "수요탄력성 추정을 통한 2차 에너지 세제개편의 성과평가", 자원 . 환경경제연구, 제18권 제3호, 2008, pp. 1-29.
  4. 강만옥 . 황석준 . 이상용 . 조장율, "에너지부문의 환경세 도입이 환경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에너지수요 및 소득재분배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RE-06,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5.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각연도.
  6. 김병호, "LES와 AIDS를 중심으로 한 식품수요모형 연구", 건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1992.
  7. 김승래, "녹색성장을 위한 세제개편의 동태적 일반균형효과: 탄소세 도입을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제5권 제2호, 2012, pp. 1-26.
  8. 김승래, "에너지 상대가격 조정방안: 에너지세제를 중심으로", 2016.
  9. 김승래 . 강만옥, "우리나라 에너지 . 전력부문 보조금의 환경친화적 개편 효과 분석: 연산일반균형분석을 중심으로", 자원 . 환경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2011, pp. 827-858.
  10. 김원년 . 강현구, "도시가계의 주류 및 담배의 수요탄력성 추정", 국제지역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2007.
  11. 김은정 . 성명재 . 유종민, "Post-기후변화협정에 대비한 신 에너지시장 환경조성을 위한 법 경제적 연구: 에너지세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한국법제연구원, 2016.
  12. 김주헌, "석유제품 소비분석 및 예측방안 연구", 석유협회보, 대한석유협회, 1992, pp. 43-50.
  13. 김태헌 . 박주헌 . 양의석 . 이상열 . 임덕오 . 김동훈 . 윤원철, "수송용 에너지 가격 및 세제 개편 방향", 협동연구총서 14-49-01,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2014.
  14. 김혜영 . 김태균, "육류 수요체계의 내생성과 구조변화", 농촌경제, 제26권 제3호, 2003, pp. 39-53.
  15. 박상원 . 성명재, "소비세 물가연동제의 지수선택: 담배소비세를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제6권 제2호, 2016, pp. 1-40.
  16. 선병완, "자본이득세의 물가연동제에 관한 연구: 인플레이션 및 이연중립적 과세방법의 제안", 세무학연구, 제2호, 1991, pp. 5-32.
  17. 성명재, "수요함수 추정을 통한 소비세 세수추계", 정책보고서 98-07, 한국조세연구원, 1998.
  18. 성명재, "에너지 . 환경세제의 현황과 개선방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 . 환경정책 최고경영자과정 특강자료, 2012.
  19. 성명재, "주요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분석과 석유류 과세정책의 개선방향", 연구보고서 97-10, 한국조세연구원, 1997.
  20. 안석환 . 강인수 . 김종민 . 전영준, "일반계산균형모형에 의한 소비세 개편의 경제적 효과분석", 연구보고서 98-05, 한국조세연구원, 1998.
  21. 안종범, "한국형 물가연동제 도입방안", 용역보고서, 한국재정학회, 2008.
  22. 양성범 . 양승룡, "음주로 인한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한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방안",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8권 제1호, 2012, pp. 67-93.
  23. 윤성민 . 조승우 . 이승래, "AIDS 모형을 이용한 수산물 수요 분석", 농촌경제, 제26권 제1호, 2003.
  24. 이명헌 . 성명재, "조세정책 효과분석을 위한 모형개발: 외부불경제 유발 재화의 소비세율인상 효과분석", 연구보고서, 한국조세연구원, 2002.
  25. 장기용, "담배소비세제의 개편과 물가연동제 도입방안", 세무와회계저널, 제13권 제1호, 2012, pp. 423-452.
  26. 전병목 . 성명재 . 전영준, "탄소세와 에너지과세의 조화방안", 연구보고서 12-06, 한국조세연구원, 2012.
  27. 정영훈, "외부성을 고려한 합리적 유류세 도출: 휘발유를 중심으로", 수시연구보고서 13-02,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28. 최봉석 . 정용훈, "외부성을 고려한 최적 휘발유세에 대한 연구", 자원 . 환경경제연구, 제23권 제2호, 2014, pp. 225-248.
  29. 최새힘 . 홍종호, "탄소세 부과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저감의 경제적 효과분석", 재정논집, 제15집 제1호, 2000, pp. 223-242.
  30. 행정자치부, 지방세통계연감, 각 연도.
  31. 허경선 . 성명재 . 김승래, "친환경에너지세제 개편을 위한 주요 쟁점분석 및 세입 . 세출 개선방안 수립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12.
  32. 홍성훈 . 강성훈 . 허경선, "에너지세제 및 공공요금체계 조정의 경제적 효과", 연구보고서 14-07,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4.
  33. Bentzen, J., "An Empirical Analysis of Gasoline Demand in Denmark Using Cointegration Techniques," Energy Economics, Vol. 16, 1994, pp. 139-143. https://doi.org/10.1016/0140-9883(94)90008-6
  34. Bhattacharyya, S. C. and A. Blake, "Domestic Demand for Petroleum Products in MENA Countries," Energy Policy, Vol. 37, 2009, pp. 1552-1560. https://doi.org/10.1016/j.enpol.2008.12.028
  35. Cheung, K. and E. Thomson, "The Demand for Gasoline in China: a Cointegration Analysis,"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ol. 31, No. 5, 2004, pp. 533-544. https://doi.org/10.1080/02664760410001681837
  36. Dargay, J. M, "Determinants of Car Ownership in Rural and Urban Areas-a Pseudo-Panel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Vol. 38, 2002, pp. 351-366. https://doi.org/10.1016/S1366-5545(01)00019-9
  37. Dargay, J. M. and P. C. Vythoulkas, "Estimation of a Dynamic Car Ownership Model: a Pseudo Panel Approach,"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ol. 33, No. 3, 1999, pp. 238-302.
  38. Dargay, J. M. and P. C. Vythoulkas, "Estimation of Dynamic Transport Demand Models Using Pseudo-panel Data," In the 8th World Conference on Transport Research, Antwerp, Belgium, July, 1998.
  39. Deaton, A., "Panel data from time series of cross sections," Journal of Econometrics, Vol. 30, 1985, pp. 109-126. https://doi.org/10.1016/0304-4076(85)90134-4
  40. Hughes, J. E., C. R. Knittel, and D. Speriling, "Evidence of a Shift in the Short-Run Price Elasticity of Gasoline Demand," The Energy Journal, Vol. 29, No. 1, 2008. pp. 93-114.
  41. Park, H. Y. and B. Davaasuren, "Comparative Study of Socioeconomic Background for Consumption Behavior between Mongolia and Korea," Mongolian Studies, Vol. 29, 2010, pp. 323-358.
  42. Phlips, L., Applied Consumption Analysis,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1983.
  43. Polemis, M. L., "Empirical Assessment of the Determinants of Road Energy Demand in Greece," Energy Economics, Vol. 28, 2006, pp. 385-403. https://doi.org/10.1016/j.eneco.2006.01.007
  44. Ramanathan, R., "Short-and Long-run Elasticities of Gasoline Demand in India: An Empirical Analysis Using Cointegration Techniques," Energy Economics, Vol. 21, 1999, pp. 321-330. https://doi.org/10.1016/S0140-9883(99)00011-0
  45. Urakawa K. and T. Oshio, "Comparing Marginal Commodity Tax Reforms in Japan and Korea," presented at the Joint Conference of AKES, HRI, KIPF, and CIRJE 200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