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저술된 한국근현대문학사의 문화횡단적 실천 - 남한문학사·북한문학사·자국문학사라는 세 겹의 프리즘 -

Transcultural Practice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 투고 : 2017.08.10
  • 심사 : 2017.09.01
  • 발행 : 2017.09.30

초록

이 연구는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근현대문학사를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 자국문학사와 비교하여 서술 양상을 살핌으로써, 이들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횡단적 실천을 살피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저술된 한국문학사는 약 25종이며, 이 가운데 한국근현대문학사는 약 16종이다. 저술 목적으로 볼 때, 연구용 문학사보다는 교재용 문학사가 압도적으로 많다. 시각과 서술내용으로 볼 때, 남한문학사를 수용한 경우와 북한문학사를 수용한 경우 그리고 남북문학사를 함께 수용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대표적인 텍스트를 선정하여 그 인식과 서술 양상을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 중국문학사와 비교한 후, 의미의 이동과 생성의 지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문학사 인식과 서술에 있어서 몇 가지 의미 있는 전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의 근현대문학사는 서양문학의 영향만을 강조함으로써 중국문학의 영향을 간과했다는 점에 대한 반성적 시각 둘째, 북한문학사를 주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통일문학사 기술의 한 가능성을 제시한 점 셋째, 순수문학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문학의 대중성에 대한 강조와 다양한 매체와 연관된 작품을 수용하는 시각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점이 그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with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explores aspects of narrative and therefore examines transcultural practice presented in such texts. There have hitherto been approximately 25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a, and 16 of 25 works are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Regarding their purpose, the number of pedagogical works outstandingly exceeds the number of research works. In terms of perspective and contents,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ne that only embraces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another embracing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only and the other embracing the history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has selected representative texts from each category and compared recognition and narrative aspects to that of th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t further examines loci of definitions' transfer and formation as well.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valuable understanding of recognition and narr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irst, this study offers an introspective attitude, as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ccentuates influence of only Western literature, overlooking influence of Chinese literature. Second, this study proposes a new narrative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Unified Korean literature through independent and objective identification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Last, it emphasizes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 aside from pure literary-centrism - and expands possibilities of embracing distinct works relevant to multimedia.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