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Team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에서의 팀 학습 운영 실태 분석

  • Han, Jiyoung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Daejin University) ;
  • Park, Suyeon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
  • Bang, Jae-hyun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 한지영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박수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 방재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Received : 2017.07.02
  • Accepted : 2017.07.31
  • Published : 2017.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eam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For th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use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professors and 627 students in engineering college. Based on the results, team should be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for effective team learning activiti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in the team learning oper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nditions for students to immerse in team learning through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of team members, tightening management of free riding in team learning, and optimizing team learning period. It is necessary to use the team learning evaluation method in harmony with the team, individual and peer evalu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희(2009). 공과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경진대회 수상팀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2(3): 59-72.
  2. 김민웅.조한진.위선복.김태훈(2016). 창의적 공학 설계 활동에서 팀 규모에 따른 팀 상호작용 분석. 공학교육연구, 19(4): 14-23.
  3. 박경선(2014). 공학교육에서의 팀티칭기반 융합프로젝트중심 교수학습모형의 개발. 공학교육연구, 17(2): 11-24.
  4. 박민정(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6-288.
  5. 박수정(2014).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을 적용한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강의의 설계.운영과정 및 평가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2(4): 51-78.
  6. 안용식 외(2007). 공학교육을 위한 팀워크 guidebook. 서울: 제이앤씨.
  7. 이성룡(2013). 팀원 구성에 따른 팀 프로젝트의 성과 분석: 에니어그램의 3 중심 성격유형을 통한 접근. 공학교육연구, 16(1): 75-83.
  8. 이영미(2013).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361-375.
  9. 이영민.남정권.조형정.이수영(2011). 공업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모형 적용에 관한 형성적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1-23.
  10. 조형정.이영민(2008).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 6(2): 27-42.
  11. 정성휘(2014). 모바일 평가를 도입한 팀기반학습 수업설계와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서학회지, 23(2): 51-69.
  12. 한지영, 방재현(2011). 공학인증 및 평가 :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 구성요소 개발. 공학교육연구, 14(5): 14-25.
  13. 한지영, 방재현(2015).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과 성격 5요인과의 관계 연구. 공학교육연구, 18(2): 43-51.
  14. Belbin, R. M.(2010). Team roles at work. London: Butterworth-Heinemann.
  15. Fink, L. D.(2004). Beyond small group: harnessing the extraordinary power of learning teams. In L. K. Michalesen, A. B, Knight and L. D. Fink (Eds.),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 (pp. 3-26),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
  16. Gentili, K.L., McCauley, J.F., Christianson, R.K., Davis, D.C., Trevisan, M.S., Calkins, D.E., and Cook, M.D.(1999). Assessing students, design capabilities in an introductory design class. 29th ASEE/IEEE Frontiers in Education Conference, pp. 13bi8-13.
  17. Michaelsen, L., Knight, A., & Fink, L. D.(2004).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이영민.전도근 역 (2009). 팀 기반 학습.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