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ussion about the Self Disposal Guideline of Medical Radioactive Waste

의료용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가이드라인에 관한 고찰

  • Lee, Kyung-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 Radiation Safety,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ul, Jin-Hy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 Radiation Safety,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In-W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 Radiation Safety,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Young-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 Radiation Safety,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이경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안전관리실) ;
  • 설진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안전관리실) ;
  • 이인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박영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7.09.29
  • Accepted : 2017.10.20
  • Published : 2017.11.11

Abstract

Purpose In the procedure of domestic medical radioactive self-disposal, there are many requests of supplementation and difficulties on the screening process. In this regard, presentation of basic guideline will improve the work processing efficiency of medical institution radioactive waste. From 2015 to 2016, We reviewed and compared a supplementary requests of domestic fifteen medical institution radioactive self-disposal Plan & Procedure manual. In connection with this, we derive the details of the radioactive waste document based on the relative regulation of nuclear safety Act. The representative supplementary requests of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re disposal method of non-flammability radioactive waste, storage method of scheduled self-disposal waste, the legitimacy of self-disposal and pre-treatment of self-disposal, reference radioactivity of disused filter and output of storage period, attachment the evidential matter of measurement efficiency when using a gamma counter. Through establishing a medical radioactive waste guideline, we can clearly suggest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radioactive nuclide and the type of occurrence. As a result, we can confirm the reduction of examination processing period while preparing a self-disposal document and there is no spending expenses for business agency. Also, the storage efficiency of facility will better and reduce the economic expenses. On the basis of this guideline, we will expect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for officials who has a working-level difficulty of radioactive waste self-disposal.

국내 의료용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과 관련하여 심사과정에서 많은 보완을 거치게 되고, 이 과정을 통과함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용 방사성폐기물의 자체처분시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의료기관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15개 의료기관의 의료용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절차서 및 계획서 작성 시 보완 요청된 사항들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원자력 안전법 관련 규정을 기준으로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시 서류작성에 필요한 세부 작성안 들을 도출하였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대표적인 보완요청사항들로는 비가연성 폐기물의 처분방법, 자체처분 예정 폐기물의 저장방법, 폐기물 자체처분의 정당성 및 자체처분 전 조치사항, 배기필터의 기준방사능 및 보관기간 산출, 폐기물 수량 측정 용기 보유 여부 및 증빙자료, 감마카운터 사용 시 측정효율 증명자료 첨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료 방사성 폐기물 자체처분 가이드라인 구축을 통해 방사성동위원소 핵종 및 발생유형별 분류기준 등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체처분 서류 작성에 따른 시간의 단축과 업무대행 지출비용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방사성 폐기물의 장기간 보관에 따른 보관시설의 저장효율이 좋아지고 경제적 비용도 절감됨을 알 수 있었다. 본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의 실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계자들의 업무효율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 2014-3호 방사성폐기물 분류 및 자체처분 기준에 관한 규정.
  2.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절차서 및 관리절차서(한국원자력의학원).
  3. Measurement and Estimation for the Clearance of Radioactive Waste Contaminated with Radioisotopes for Medical Application (PROGRESS in MEDICAL PHYSICS Vol. 25, No. 1, March, 2014).
  4. 高田茂他, 방사능물질의 종류와 취급방법에 따른 비산율 계산법, Radioisotope, 32(5), 260-269(1983). https://doi.org/10.3769/radioisotopes.32.5_260
  5. 연구실 폐기물 처리 안내(KAIST Safety & Security Team/ January 2014).
  6. 방사능 분석법(한양대학교, 방사선안전신기술연구센터)
  7. 고창순 핵의학 제3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