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다이모니아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istotle's Eudaimonia

  • 투고 : 2017.01.05
  • 심사 : 2017.02.20
  • 발행 : 2017.02.28

초록

20세기에 앤스컴이 근대의 도덕성 개념은 입법자 없는 법의 관념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사리에 맞지 않다고 논했다. 근대의 도덕성 개념은 도덕적 권위의 근거로서 어떤 입법자를 필요로 하였지만 옛날에 신이 담당했던 그 역할이 더 이상 필요 없는 윤리체계에서는 적합한 근거로서 미비한 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설은 어떤 입법자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도덕적 행위자가 추구하는 에우다이모니아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앤스컴은 세속적인 접근법으로서 고대의 에우다이모니아 윤리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윤리설에로 되돌아 갈 것을 권고하였다. 그의 덕 윤리학에서 에우다이모니아는 아레테, 실천적 지혜라는 개념과 함께 핵심 개념이다. 그 중에서 에우다이모니아는 현실적인 실천철학의 목표 또는 최고의 인간적 선을 가리키는 중요 개념이다. 그것은 잘 사는 것, 행복, 복지, 번성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다이모니아는 객관적으로 바람직하게 잘 사는 삶이다. 모든 사람들은 잘살기를 원한다. 또 잘 사는 것은 잘 되는 것, 그리고 성공하는 것과 관련 있다고 하는 의견에 일치한다. 그러나 어떤 활동이 우리를 잘 살게 할 수 있는지 분명하게 밝히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한 삶이란 이성에 따르는 유덕한 활동 중의 하나이고, 이것은 에우다이모니아에 이르기 위한 필요 요소이며, 아레테의 활동에 수반되는 즐거움은 에우다이모니아를 위해 완전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그가 설명하는 에우다이모니아의 실천적 의미, 아레테 및 쾌락과의 연관성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에우다이모니아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twentieth century Anscombe's 1958 article "Modern Moral Philosophy" argued that duty-based conceptions of morality are conceptually incoherent for they are based on the idea of a "law without a lawgiver". Concepts such as "morally ought", "morally obligated", and "morally right" require a legislator as the source of moral authority. In the past God occupied the role, but systems that dispense with God are lacking the proper foundation for meaningful employment of those concepts. Aristotle's virtue ethics can do so without appealing to any such lawgiver, and ground morality in the well being of human moral agents. Therefore Anscombe recommends a return to the eudaimonistic ethical theories of the ancients as secular approaches. Eudaimonia is a central concept in Aristotelian ethics, along with the terms "aret?"(translated as virtue or excellence) and "phronesis"(translated as practical wisdom). In Aristotle's works, eudaimonia was used as the term for the highest human good, and so it is the aim of practical philosophy to consider what it really is and how it can be achieved. Eudaimonia is a Greek word commonly translated as well-being, happiness, welfare or "human flourishing". As Aristotle points out, saying that eudaimon life is a life which is objectively desirable, and means living well. Everyone wants to be eudaimon. And everyone agrees that being eudaimon is related to faring well and to an individual's well being. But the really difficult question is to specify just what sort of activities enable one to live well. Aristotle says that the eudaimon life is one of "virtuous activity in accordance with reason," this is a necessary condition of eudaimonia, the pleasure accompanied by virtuous activities is a sufficient condition. Hence we have a more accurate translation of eudaimonia with a review the practical meaning of eudaimoni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udaimonia and arete, pleasur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창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