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취업의 질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Does College Experience Effect Job Quali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Focusing On Gender Gap

  • 투고 : 2017.08.14
  • 심사 : 2017.09.25
  • 발행 : 2017.09.30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a gender works to make the difference on the university experiences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major students; and the income and quality gap between the graduates. In this study, university experiences means job market and job searching related experiences such as job fair attending,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st, what are the significant university experiences related job preparation and application, and is there a gender gap on those experiences? Second, how is the job market performance of the national sciences and engineering graduates for their income level and quality job, and is there a gender gap on the job market performance of the sample? Third, which variables among the university experiences for job searching and application impacts the job quality and income level of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graduates? To find out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onducts a panel data analysis with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throughout survey year of 2006 to 2015, towards 568,264 as weighted value number. As analysis methods, this study carries out a descriptive analysis, ANOVA, discriminant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d T-test. Therefore, here are the brief outputs of the study; first, for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tudents, the off-campus experiences such as job fair, job recruit festival and internship programs are more favored; second,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attend personal and self-driven job preparation programs; third, on job market performance, the graduates' income level and company scale rate are higher in the male but job stability is higher in the female; fourth, as a result of the linear regression, gender factor decides the income level in considerable degree; additionally, gender factor shows the difference of th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ectiveness on one's job as a qualitative variables. For obtaining strictness, university program factors are controlled through model fitness process. As above, this study finds out the main factors of university life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graduates which are related their job searching and preparation experiences and figures out stronger factors in job market; and examin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 gender in this casual-effect relationship between job preparation and job quality of the gradua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영 (2016.6.28.). "동아일보 선진기업들 이공계 여성연구인력 모시기 경쟁". 동아일보 사회면.
  2. 강상진(2013). 교육통계학. 학지사.
  3. 강상진(2014).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실험설계와 분산분석. 파주: 교육과학사.
  4. 구수연.김동익(2014). 여학생 공학교육 지원 사업이 공대 여성 졸업생의 취업과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7(6), 3-11.
  5. 교육부 보도자료(2016.5.25). "2016년도 여성공학인재양성사업 기본계획 확정 공고"
  6. 김수경(2016). 대학입학 유형 및 대학생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취업진로연구, 6(3), 1-20.
  7. 김승연.김수경(2015). 교양교육에서 대학활동 경험이 시민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9(4), 11-44.
  8. 김안국(2006).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분석. 노동경제논집, 29(1), 153-184.
  9. 이영민.이수영(2010). 대학 이공계열 전공 여학생의 취업준비 행동 분석, 평생교육.HRD 연구, 6(2), 77-98.
  10. 김연중.손은령(2012).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 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이차원적 진로유형과 학습행동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13(5), 2443-2461.
  11. 김지현(2008). 국내 공과대학 여학생 현황. 공학교육, 15(3), 16-20.
  12. 황규희.최장균(2013). 4년제 대학 이공계 학과별 노동시장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박거용(2014). 대학구조개혁, 어떻게 해야 하나? 경제와 사회, 103, 33-53.
  14. 박성재.반정호(2006).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한국인구학, 29(3), 29-50.
  15. 박진희(2011). 이공계 대학졸업자의 노동이동과 이공계 직업 이탈 요인분석. 2011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자료집. 432-452.
  16. 신선미(2014). 공학계 여성 대졸자의 노동시장이행 성과, 2014 고용패널 학술대회, 525-546.
  17. 신혜숙.남수경.민병철(2013).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성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1), 211-235.
  18. 연규진.양지웅.이정선.장애경.김정기(2013).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이공계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2), 295-316.
  19. 윤수경.한유경(2014). 대학생의 취업 성과 영향 요인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3(4), 131-160.
  20. 이영대.윤형한(2007).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이영민.이수영(2010). 대학 이공계열 전공 여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 취업 후 고용형태와 근무기관 유형을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6(2), 77-98.
  22. 이영민.임정연(2012). 4년제 대학 예체능계열 졸업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성과분석, 2012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371-407.
  23. 이재창.박미진.김진희(200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 준비행동이 진로상담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2), 111-127.
  24. 정지선.이수정.신정철(2010). 대졸 청년층의 구직과정 및 취업의 질적 수준 분석 : 전공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2010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심포지엄. 26-50.
  25. 채창균.김태기,(2009). 대졸 청년층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28(2), 89-107
  26. 한국교육개발원(2015). 취업통계연보(건강보험 및 국세DB연계).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7.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2015). 2014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보고서. 발간번호: 11-1350000-005262-10. 서울: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28.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3.30.). 4년제 대학 이공계 학과별 노동시장 성과 분석. KRIVET ISSUE BRIEF. 제24호.
  29.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기초분석보고서(2014): 10차(2013)년도 자료분석.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0.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6). 한국교육고용패널 II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II) 조사 소개. last retrieved. 2017.5.26.
  31. 허식.임진우(2005). 전공계열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인문 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중심으로. 응용경제, 7(1), 21-36.
  32. Heslin, P. A. (2005).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career succes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2), 113-136. https://doi.org/10.1002/job.270
  33. Mano-Negrin, R., & Tzafrir, S. S. (2004). Job Search Modes And Turnover.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9(5), 442-458. https://doi.org/10.1108/13620430410550727
  34. Wei-Cheng, M., &Kopischke, A. (2001). JJob Search Methods, Job Search Outcomes,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A Comparison Of Race And Sex.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38(3), 141. https://doi.org/10.1002/j.2161-1920.2001.tb00496.x
  35. Wolbers, M. H. (2003). Job Mismatches And Their Labour-Market Effects Among School-Leavers In Europ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9(3), 249-266. https://doi.org/10.1093/esr/19.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