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T SG17(보안) 구조 및 국제표준화 추진 방향 (연구회기 2017-2020)

  •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오흥룡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화본부)
  • 발행 : 2017.10.31

초록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UN 산하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전문 국제기구이다. 193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국제전기통신연합은 산하에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전기통신개발부문(ITU-D), 그리고 전파통신부문(ITU-R) 등 3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 ITU-T는 역할과 임무에 따라 11개의 연구반 (SG, study group)으로 구성되며, 각 업무에 맞는 선두 그룹(Lead Study Group)을 지정하여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정보보호 국제표준화는 ITU-T SG17(보안)에서 담당하고 있다. ITU-T 국제 표준화는 4년 주기의 연구회기(Study Period)로 연구반 구조를 조정하며, 표준화 방향도 결정된다. 이러한 표준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회의가 2016년 튀니지에서 열린 WTSA-16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ssembly) 총회이다. 본 논문에서는 WTSA-16 총회에서 결정된 ITU-T SG17 의장단과 정보보호 국제표준화 활동과 관련된 WTSA-16 결의(Resolution)를 분석하고, 2017년 두 차례 SG17 회의에서 추진된 SG17 구조와 추가 의장단 구성을 포함하는 표준화 동향을 제시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ITU-T 홈페이지, http://www.itu.int
  2. ITU-T SG17 홈페이지, http://www.itu.int/en/ITU-T/studygroups/2017-2020/17/Pages/default.aspx
  3. 오흥룡, 염흥열, "ITU-T SG17(보안) 국제표준화동향", 정보보호학회지, 제26권 제4호, 2016.08.
  4. ITU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ssembly 2016 : WTSA-16, http://www.itu.int/en/ITU-T/wtsa16/Pages/default.aspx
  5. ITU PP-14, Final WTSA-16 Resolutions, http://www.itu.int/pub/T-RES
  6. ITU-T SG17-R1 Rev.1, Report of the first meeting of Study Group 17 (Geneva, 22-30 March 2017) - Plenary sessions, Aug. 2017
  7. ITU-T SG17 TD384 Rev.1, Draft executive Summary of SG17 29 August - 6 September 2017 meeting, September 1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