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Methodology of Urban Heat Island Areas

도시열섬 지역에 대한 정의 및 구분 방법론에 관한 비교연구

  • 김기중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안영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7.03.28
  • Accepted : 2017.05.22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definitions of urban heat island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methodology by applying each methodology for deriving the heat island region to Seoul. The definition of the heat island is divided into the atmospheric heat island and the surface heat island according to the utilized temperature data. The methodology for deriving the heat island area differs depending on the comparison method and the spatial extent of th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methodology for Seoul c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t island area of Seoul is different according to temperature data. Also, it i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heat island area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atial range of analysis. This shows that even if the heat island area is analyzed for the same space and the same view point, the heat island area is der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methodolog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study to solve the urban heat island problem in the future.

도시열섬현상은 기 개발된 도시지역의 온도가 주변지역의 온도보다 높은 현상을 의미한다. 그러나 도시열섬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지 않으며, 각 연구에서 활용되는 자료 및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열섬현상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고찰하고, 열섬지역 도출을 위한 각 방법론을 서울시에 적용함으로써 각 방법론에 대한 특징 및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열섬의 정의는 활용되는 온도자료에 따라 대기열섬과 지표열섬으로 구분된다. 열섬지역을 도출하는 방법론은 비교방법과 분석의 공간 범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각 방법론을 서울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온도자료에 따라 서울시의 열섬지역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의 공간적 범위에 따라 서울시의 열섬지역 분포 범위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일한 공간, 동일한 시점을 대상으로 열섬지역을 분석하여도 각 방법론에 따라 열섬지역이 다르게 도출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도시열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용, 2014, LANDSAT 8호 열적외선 영상과 AWS 자료를 이용한 지상 기온 분포도 제작, 한국지도학회지, 14(1), pp.17-27.
  2. 구해정.김연희.최병철, 2007, 서울시 도시 열섬 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 2(2), pp.67-78.
  3. 김기중.안영수.이승일, 2016, 도시구성요소가 도시열과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관계 규명 연구, 서울도시연구, 17(1), pp.125-145.
  4. 김유진.최영은, 2012, 기상 조건에 따른 서울의 열섬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6(1), pp.1-9.
  5. 김용진.강동화.안건혁, 2011,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 특성 변화와 도시설계적 대안 모색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3), pp.5-14.
  6. 김준현.최진호, 2014, Landsat-8을 활용한 대구시 열 환경구조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32(4-1), pp.327-333. https://doi.org/10.7848/ksgpc.2014.32.4-1.327
  7. 명수정, 2010, 특집: 도시의 열섬현상: 도시열섬현상의 일반적인 특징과 원인, 도시문제, 45(500), pp.12-16.
  8. 박민호, 2001, LANDSAT TM 열적외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열섬현상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1(6D), pp.861-874.
  9. 박경훈.정상관, 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 pp.35-45.
  10. 박석봉, 2004, 광주지역의 여름철 열섬현상 측정 및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4(4), pp.65.
  11. 송봉근.박경훈, 2012, 도시공간을 고려한 야간시간대의 열섬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 pp.133-143.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1.133
  12. 안지숙.황재동.박명희.서영상, 2012, Landsat-7 ETM+ 영상과 AWS 자료를 이용한 부산의 토지피복에 따른 여름철 도시열섬포텐셜 산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 pp.65-77.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4.065
  13. 오규식.홍재주, 2005, 도시공간 구성요소와 도시열섬현상의 관련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pp.47-63.
  14. 윤길림.이강운.채영수.유광호, 2005, 지구통계학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불확실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21(3), pp.5-17.
  15. 이강국.홍원화, 2007, 도시고원화 현상에 따른 열섬.냉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3(8), pp.219-228.
  16. 조희선.정유진.최막중, 2014, 도시공간특성이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환경정책, 22(2), pp.27-43.
  17. 최진호.조현주.정환도, 2013, 연구논문: Landsat 열적외 영상자료를 활용한 대전시 열 환경 변화 모니터링, 환경영향평가, 22(5), pp.513-523. https://doi.org/10.14249/eia.2013.22.5.513
  18. 홍제우.홍진규.이성은.이재원, 2013, 자동기상관측소의 국지기후대에 근거한 서울 도시 열섬의 공간분포, 대기, 23(4), pp.413-424. https://doi.org/10.14191/Atmos.2013.23.4.413
  19. Anderson, S., 2002, An evalu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on air temperature in Phoenix, AZ., Department of Geography, Arizona State University.
  20. Aniello, C., Morgan, K., Busbey, A., & Newland, L., 1995, Mapping micro-urban heat islands using Landsat TM and a GIS, Computers & Geosciences, 21(8), pp.965-969. https://doi.org/10.1016/0098-3004(95)00033-5
  21. Goward, S. N., 1981, Thermal behavior of urban landscapes and the urban island, Physical Geography, 2(1), pp.19-33.
  22. Jin, M. S., 2012, Developing an index to measure urban heat island effect using satellite land skin temperature and land cover observations, Journal of Climate, 25(18), pp.6193-6201. https://doi.org/10.1175/JCLI-D-11-00509.1
  23. Jusuf, S. K., Wong, Nh., Hagen, E., Anggoro, R., & Hong, Y., 2007, The influence of land use on the urban heat island in Singapore. Habitat International, 31(2), pp.232-242.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07.02.006
  24. Oke, T. R., 1976, The distinction between canopy and boundary-layer urban heat islands, Atmosphere, 14(4), pp.268-277.
  25. Oke, T. R., 1982, The energetic basis of the urban heat island,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08(455), pp.1-24. https://doi.org/10.1002/qj.49710845502
  26. Priyadarsini, R., 2009, Urban Heat Island and its impact o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dvances in building energy research, 3(1), pp.261-270. https://doi.org/10.3763/aber.2009.0310
  27. Rizwan, A. M., Dennis, L. Y., & Chunho, L. I. U., 2008, A review on the generation, determination and mitigation of Urban Heat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0(1), pp.120-128. https://doi.org/10.1016/S1001-0742(08)60019-4
  28. Stewart, I. D., & Oke, T. R., 2012, Local climate zones for urban temperature studi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3(12), pp.1879-1900. https://doi.org/10.1175/BAMS-D-11-00019.1
  29. Yang, J. S., Wang, Y. Q., & August, P. V., 2004, Estim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spatial interpolation and satellite-derived surface emissivity, Journal of Environmental Informatics, 4(1), pp.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