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체험변수들의 구성 및 영향관계에 있어 상황별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ituational Differences in the Construction and Relationships of Brand Experience Variables

  • 김문태 (부산가톨릭대학교 유통경영학과)
  • 투고 : 2017.07.13
  • 심사 : 2017.08.23
  • 발행 : 2017.09.30

초록

본 연구는 체험변수들의 구성에 있어 연구마다 다른 점 그리고 체험변수의 결과변수에 대한 관계에서 차이점 등을 검증하기 위해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체험차원 및 항목들이 어떻게 나누어질 수 있는지 과거연구를 바탕으로 항목을 구성하여 검증해보고 과거연구의 항목구성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체험변수들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요인분석과 몇 가지 모형에 대한 검증을 통해 최적의 모형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체험변수들 간에 명확한 구분이 힘들 수 있다는 점으로 응답자들에게 감각, 감성, 인지 등 세 가지 차원이 크게 다르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응답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언어적 차이를 많이 지각하지 못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당부분 존재할 수 있다. 행동과 관계 또한 여러 다른 변수가 포함되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할 경우 가까운 뜻을 가진 변수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서 과거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체험차원들은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이 아니기에 연구상황에 따라 체험차원들을 몇 가지 조합으로 결합하여 단순화시킨 체험 차원으로 논문을 진행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체험변수들 간에서는 상호 관련성이 존재하며 결과변수에 대한 영향은 변수들마다 다를 수 있었다. 그리고 결과변수가 2개 존재할 때 체험변수 중 선행변수는 첫 번째 결과변수에만 영향을 미치는 모형을 가정하는 것이 체험의 성과변수에 대한 관계에서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5개의 체험 차원들과 만족 및 충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5개의 체험차원이 완벽히 분리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여서 이 모형이 체험과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variables and outcome variables of experiential variable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tries to construct the items based on past researches and to suggest the problems of the items of past researches. The analysis of various aspects of experiential variables and the validation tests of some models are presented to suggest what the optimal model is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respondents may not feel that the three dimensions of sensation, emotion, and cogni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may not be able to perceive much of the linguistic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 that it would be suitable to proceed with the thesis with the experience of simplifying the combination of the five experiences in some combination. Seco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experiential variables, and the effect on outcome variables may vary from one variable to another. And, when there are two outcome variables, assuming a model that affects only the first outcome variable among the experience variables, it is the most suitable model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variable of exper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가진․황진숙(2013). "온라인 패션 쇼핑몰 속성, 체험마케팅, 고객 만족의 관계-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41, 215-226.
  2. 노정숙․장형유(2014), "소셜커머스의 체험마케팅이 몰입,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4(4), 335-354.
  3. 박경애․김은영(2016), "럭셔리와 SPA 플래그십 스토어 체험",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2), 258-272. https://doi.org/10.5850/JKSCT.2016.40.2.258
  4. 성기현․이상학․이승창(2016), "개인 해석수준에 따른 체험마케팅 모듈의 효과", 유통연구, 21(4), 87-109.
  5. 송경숙․박계영(2009), "패밀리레스토랑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3(3), 199-218.
  6. 윤설민․이태희(2012),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이 감정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24(2), 289-308.
  7. 이정아․윤설민(2015),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체험 모듈 내 구성개념과 충성도 간 영향관계 분석-서울 내 고궁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0(4), 253-271.
  8. 이지은․전주언․윤재영(2010), "브랜드의 총체적 체험이 소비자-브랜드의 정서적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Asia Marketing Journal, 12(2), 53-81.
  9. 이민훈․백창석․양수진(2011), "고객의 마음을 여는 체험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824.
  10. 이창원․이정은․오혜지(2015), "외식이벤트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17(3), 284-298.
  11. 이형택(2014), "글로벌프랜차이즈의 체험마케팅",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56-177.
  12. Arnould, Eric J., Linda Price, and George Martin Zinkhan(2002), Consumers, McGraw-Hill/ Irwin.
  13. Brakus, J. Josko, Bernd H. Schmitt, and Lia Zarantonello(2009). "Brand Experience: What is it? How is it Measured? Does it Affect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73(3), 52-68. https://doi.org/10.1509/jmkg.73.3.52
  14. Brakus, J. Josko, Bernd H. Schmitt, and S. Zhang(2008). "Experiential Attributes and Consumer Judgments", Handbook on Brand and Experience Management.
  15. Hoch, Stephen J(2002). "Product Experience is Sedu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3), 448-454. https://doi.org/10.1086/344422
  16. Hoch, Stephen J, and John Deighton(1989), "Managing What Consumers Learn from Experience", The Journal of Marketing, 1-20.
  17. Hoch, Stephen J, and Young-Won Ha(1986), "Consumer learning: Advertising and the Ambiguity of Product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2), 221-233. https://doi.org/10.1086/209062
  18. Holbrook, Morris B., and Elizabeth C. Hirschman(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32-140. https://doi.org/10.1086/208906
  19. Oliver, Christine(1997),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Combining Institutional and Resource-based View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697-713.
  20. Reichheld, Frederick F. (1996), Learning from Customer Defections, 56-69.
  21. Schmitt, Bernd. H.(1999),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5(1-3), 53-67. https://doi.org/10.1362/026725799784870496
  22. Sheu, Jyh-Jian, Yan-Hua Su, and Ko-Tsung Chu(2009), "Segmenting Online Game Customers-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Marketing",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6(4), 8487-8495. https://doi.org/10.1016/j.eswa.2008.10.039
  23. Thomson, Matthew, Deborah J. MacInnis, and C. Whan Park(2005), "The Ties that Bind: Measuring the Strength of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s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5(1), 77-91.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1501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