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익포스터의 공감각적 표현 연구

A Study of Synesthesia Used in Public Advertising

  • 이려 (충남대학교 산업미술학과) ;
  • 김맹호 (충남대학교 산업미술학과)
  • 투고 : 2017.06.27
  • 심사 : 2017.08.21
  • 발행 : 2017.10.28

초록

공익포스터는 설득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방법 중 하나로 감성의 표현수단인 공감각적 표현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설득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방송광고공사 주최 공익 포스터 수상작을 중심으로, 작품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익 포스터의 목적인 설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공감각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에 따르면 첫째, 공감각적 표현이 공익포스터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극대화 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공익포스터에서 공감각 요소의 비중은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자연 환경 주제인 공익포스터에서 공감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시각화된 촉각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사회공동체 주제인 공익포스터에서는 시각화된 청각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공익포스터에서 세 가지 이상의 감각을 활용시킬 때는 가장 강력한 감각자극에 의해 공감각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러한 공감각적 표현요소가 주제에 따른 공익포스터에 많이 활용되어 대중에게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시킬 수 있는 학술적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A variety of methods are used in public advertising to make message persuasive. In order for posters to be more appealing, one good way is to use synesthesia. This study analyzed how synesthesia were us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he case analysis is based on the prize winning advertisements chosen by the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study, synesthesia maximiz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delivery. Secondly, in the public campaign posters, sigh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nsory element, followed by touch, hearing, smell and taste, respectively. Third, visual tactility was mostly used in nature and environment related posters to effectively deliver the messages. In the topic of social community campaigning, visualization of hearing was applied the most. Lastly, when more than three multisensory stimulations were present in the public campaign, the strongest sense stimulus played the largest part in making message delivery more 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future campaign posters that synesthesia expression elements are applied.

키워드

참고문헌

  1. 조동성, 21세기 뉴 르네상스 시대의 디자인 혁명, 한스미디어, 2010.
  2. https://www.kobaco.co.kr/websquare/websquare.jsp?w2xPath=/kobaco/common/index.xml
  3. 정혜영, 정부 포스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4. 김영호, "비쥬얼 저널리즘의 의사소통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3, No.4, p.6, 2007.
  5. 장자명, 공익광고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표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 원유홍,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안그라픽스, 2004.
  7. 성동렬, 광고실무용어사전, 서해문집, 1997.
  8. 오두범, 광구커뮤니테이션 신론, 전에원, 1988.
  9. Philip Babcock Gove,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C & C. Merriam, 1965.
  10. E. H. 곰브리치, 차미례 역, 예술과 환영, 열화당, 1992.
  11. 김춘옥, "웹 배너 광고디자인에서 공감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pp.220-221, 2003.
  12. 정현원, 감성의 개념 및 어휘체계 정립을 통한 공감각디자인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3. 조영제, 디자인사전, 안그라픽스, 2000.
  14. J. C. Morrison, "Hypermedia and synesthesia," Proceedings of the Media Ecology Association, Vol.1, pp.37-50, 2000.
  15. 한남용, 공익광고를 위한 인터넷 매체 활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