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중문화 콘텐츠 속 초자연적 존재 판타지의 정치적 의미: <오 나의 귀신님>과 <싸우자 귀신아> 사례를 중심으로

A Political Analysis of Fantasies of Supernatural Beings in Television Drama

  • 박진규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 투고 : 2017.08.08
  • 심사 : 2017.10.20
  • 발행 : 2017.10.28

초록

이 연구는 대중문화 콘텐츠가 초자연적 존재를 다루는 방식의 특징을 살피고,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맥락에서 그러한 재현방식이 갖는 정치적 함의를 탐색하기 위해 텔레비전 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과 <싸우자 귀신아>를 사례분석 하였다. 두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첫째, 두 드라마의 내러티브에서 모두 일상성과 초자연성 사이에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자연성은 텍스트가 제기하는 갈등요소의 경계를 확장함으로써, 사회적 현실의 난제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셋째, 갈등구조가 해소되는 과정에도 초자연성이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결국 내러티브를 리얼리티가 아닌 판타지에 경도되게 만든다. 이 결과에 따르면 대중문화 텍스트의 초자연적 존재 사용이 사회적 모순을 드러내고, 신자유주의적 담론질서에 대한 저항적 성격을 지닌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은 조정될 필요가 있다. 특히 대중성이 강요되는 콘텐츠 장르의 특성은 텍스트의 저항적 잠재력을 크게 약화시킨다. 이런 결과는 초월적 존재를 다루는 대중문화 콘텐츠의 정치적 의미를 해석함에 있어 그 이중적, 양가적 효과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This study, by analyzing two recent television dramas, attempts to identify the ways how popular cultural texts deal with supernatural beings and to discuss political meanings of the ways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Korea. The results are: (1) The narratives make a clear line between the supernatural and the ordinary. (2) The supernatural is effectively used in the narratives to extend the boundary of conflict structure towards structural social problems that the society is now facing. (3) When the text resolving the conflicts, the supernatural is also critical, which makes the whle narrative in line with fantasy rather than re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clusion of the previous studies, arguing the use of the supernatural by popular cultural texts tends to function as a form of resistance against neoliberal discourse structure, needs to be negotiated. It is also reaffirmed that we need to explain political meanings of popular cultural texts dealing with supernatural beings, with its double-sided and ambivalent eff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S. M. Hoover, Religion in the Media Age, Routledge, 2006.
  2. R. Wuthnow, Rediscovering the Sacred: Perspectives on Religion in Contemporary Society, Edrdmans, 1992.
  3. W. C. Roof, Spiritual Marketplace: Baby Boomers and the Remaking of American Relig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
  4. B. Forbes, "Introduction: Finding Religion in Unexpected Places," In B. Forbes and J. Mahan (eds.), Religion and Popular Culture in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1-20, 2000.
  5. S. M. Hoover and M. Emerich, Media, Spiritualities and Social Change, Bloomsbury Publishing, 2010.
  6. L. Althusser,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aratus (Notes Towards and Investigation)," In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New Left Books, 1971.
  7. 최소망, 강승묵, "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구조 분석: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K2>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20-13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20
  8. J. K. Park, "'Healed to Imagine': Healing Discourse in Korean Popular Culture and Its Politics," Culture and Religion, Vol.17, No.4, pp.375-391, 2016. https://doi.org/10.1080/14755610.2017.1288639
  9. M. Jindra, "It's about Faith in our Future: Star Trek Fandom as Cultural religion," In B. D. Forbes and J. H. Mahan (eds.), Religion and Popular Culture in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165-179, 2000.
  10. A. Possamai, Religion and Popular Culture: A Hyper-Real Testament, P.I.E.-Peter Lang, 2005.
  11. M. A. Davidsen, "Fiction-based Religion: Conceptualising a New Category against History-based Religion and Fandom," Culture and Religion, Vol.14, No.4, pp.378-395, 2013. https://doi.org/10.1080/14755610.2013.838798
  12. L. Degh, Legend and Belief: Dialectics of a Folklore Genr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13. M. J. Koven, "Most Haunted and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Belief and Popular Television," Folklore, Vol.118, No.2, pp.183-202, 2007. https://doi.org/10.1080/00155870701337403
  14. A. Possamai, Religion and Popular Culture: A Hyper-Real Testament, P.I.E.-Peter Lang, p.85, 2005.
  15. A. Possamai, Religion and Popular Culture: A Hyper-Real Testament, P.I.E.-Peter Lang, p.89, 2005.
  16. 장하나, 좀비 서사의 스토리텔링 연구: 소설, 웹툰,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7. 송아름, "괴물의 변화: '문화세대'와 '한국형 좀비'의 탄생," 대중서사연구, 제30호, pp.185-223, 2013.
  18. 남지은, "막돼먹었던 tvN, 이젠 디어 마이 tvN," 한겨레, 2017.10.7.
  19. A. A. Berger, Media Analysis Techniques, Sage, 1984.
  20. 이경숙, "텔레비전 텍스트의 서사 분석 방법,"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한국언론정보학회, pp.111-141, 2015.
  21. 윤태진, "질적 연구방법의 복합적 활용," 미디어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한국언론정보학회, pp.489-511, 2015.
  22. S. Chap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