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ong Term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Democratic Attitude of Parenting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heir Self-esteem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장기적 매개효과 분석

  • 김현진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7.09.19
  • Accepted : 2017.10.16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 term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SRL)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Democratic Attitude of Parenting(DAP)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RT), and their Self-esteem(SE). The data sources were from the first (2010) and the third (2012)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As a result, first, the perceived DAP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udents' S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RL. Second, the perception on RT had indirect effects on their SE mediated by SRL. Third, this pattern in first year continued in two-year-later-SE. This study implies that DAP, RT, and SRL play important roles i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lf-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자신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와 이러한 관계가 장기적 효과를 가지는 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 년도(2010년)와 3차 년도(2012)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동일 년도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예측하였다. 둘째,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 인식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자아존중감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1학년 때의 이러한 관계 패턴은 2년 후인 3학년 때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요 발달과업인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해당 변인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주, 조혜영,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pp.201-221, 2017.
  2. S. Harter,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system. In E, M. Hea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 Vol.4, 1983.
  3. D. R. Shaffer,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Belmont, CA: Thomson/Wadsworth, 2005.
  4.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3호, pp.127-166, 2007.
  5. 이형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또래관계간 관련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6권, 제4호, pp.75-83, 2014.
  6. 조성희, 김희수,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pp.355-376, 2016.
  7. 이경아, 정현희,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제11권, 제2호, pp.213-226, 1999.
  8. 임선희, 명재신,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2호, pp.327-347, 2016.
  9. 임선아,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모형 비교: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1호, pp.125-142, 2013.
  10. 황동성, 박은혜,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4호, pp.123-145, 2010.
  11. 임영식, 김혜원, 설인자, 조아미, 한상철, 청소년심리학, 서울:교육과학사, 2006.
  12. 박성연, 이은경,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의 타당성 연구: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아동학회지, 제30권, 제2호, pp.211-230, 2009.
  13. 홍명숙, 이수영,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경영연구, 제4권, 제1호, pp.183-211, 2017.
  14. 신효정, 최현주,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건강,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 또래애착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3권, 제1호, pp.31-54, 2016.
  15. B. J. Zimmerman and A. Kitsantas, "Developmental phases in self-regulation: Shifting from process to outcome goa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9, pp.29-36, 1997. https://doi.org/10.1037/0022-0663.89.1.29
  16. 우수정, "부모의 바람직하지 않은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구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3권, 제5호, pp.759-771,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5.759
  17. A. Gonzalez, G. Greenwood, and J. WenHsu,"Undergraduate students'goal orientations andtheir relationship to perceived parenting styles,"College Student Journal, Vol.35, No.2,pp.182-192, 2001.
  18. 김영민, 임영식, "민주적 양육방식, 자아탄력성 및 휴대전화의존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23권, 제2호, pp.273-299, 2012.
  19. 민정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1.
  20. 최진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 및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18권, 제1호, pp.1-13, 2014.
  21. 김동일, 김명창, 남지은, 강은비, 오지원, 정정현, "부모양육태도와 고등학생의 학업미루기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모형," 아시아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29-50, 2013.
  22. 박지현, 서상완, 정지희, 이사사, 정성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107-126, 2010.
  23. R. R. Pintrich and E. V. De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33-40, 199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24. 김만권, 이기학, "자기조절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3호, pp.491-504, 2003.
  25.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6.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1.
  27.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8. 김세영,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른 인터넷 활용 유형, 자기통제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9.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1965.
  30.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심리척도 핸드북II, 서울: 학지사, 2001.
  31.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의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32. B. Eilam, M. Zeidner, and I. Aharon, "Student conscientiousness,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ience achievement: An explorative field study,"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46, No.5, pp.420-432, 2009. https://doi.org/10.1002/pits.20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