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and Activation Measures for STEAM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성화 방안

  • Received : 2017.06.15
  • Accepted : 2017.10.23
  • Published : 2017.10.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STEAM and suggest activation measures for STEAM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Method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pilot study, and then did survey research for 5 week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523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STEAM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age, experience, and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ir age, experience, and academic background were, the more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further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In particular,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activation measures we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workplace. These results come from the fact that the conditions in conducting STEAM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workplace.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activate STEAM, a teacher training program including practical contents and methods should be conducted. Also,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organize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ir workpl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suggesting activation measures for STEAM by showing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about STEAM and what they demand.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원, 정영란, 유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88
  2. 김연미 (2016). 중학교 기술교과를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형재, 송민서, 홍순옥 (2016).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 유아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613-640. doi:10.20437/KO AECE.21-1-26
  4. 노선희 (2015). STEAM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희진, 백성혜 (2014).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375-402.
  6. 박상우 (2016). 과학사를 활용한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상우, 정원우, 박영관 (2016).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적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40(2), 166-188. doi: 10.21796/jse.2016.40.2.166
  8. 박수정 (2016).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의 역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은성 (2013). 미술.과학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혜원, 신영준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11. 배진호, 윤봉희, 김진수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2(4), 557-566.
  12. 백소연 (2016). 초등학교 비형식 과학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빛' 주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손연아, 정시인,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 (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14. 송민서, 김형재 (2016).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361-372. doi:10.5762/KAIS.2016.17.4.361
  15. 송영숙 (2016).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전통과학문화와 과학탐구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온도와 열 단원 중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17. 어성애 (2016).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융합형 유아 신체 활동 프로그램: 교육과정에 기반한 인성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7(2), 37-53.
  18. 유윤정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에 기반한 조형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움직이는 조형활동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윤지선 (2015). STEAM(융합인재교육)기반의 환경미술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경진, 김경자 (2012).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25(3), 55-81.
  21. 이미진, 김은정 (2016). 유아 STEAM 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1-28. doi:10.22251/jlcci.2016.16.11.1
  22. 이미진, 김은정 (2017). 유아교사의 STEAM 교육 적용에 대한 인식 및 교사교육 방안에 대한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21(1), 63-88.
  23. 이수기, 윤은경 (2016). STEAM(융합인재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746-759. doi:10.5392/JKCA.2016.16.05.746
  24. 이시예, 이형철 (2013). 융합 인재 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2(1), 60-70.
  25. 이연승, 최진령, 이민영 (2016). R-러닝 기반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연구, 36(2), 123-148.
  26. 이정아 (2015). 미술, 과학 교과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초등 3학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임수민, 김영신, 이태상 (2014). 융합인재교육(STEAM)의 현장적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8(1), 133-143.
  28. 임유나 (2012).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초등교육연구, 25(4), 53-80.
  29. 장미경 (2016). STEAM(융합) 교육을 활용한 수 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소양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전미숙 (2015). 수학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여울 (2015). 미술활동 중심의 STEAM(융합인재)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무영 (2015).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CT) 능력 신장을 위한 찾아가는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정훈 (2012). STEAM교육의 특징과 주요 구현 요소. 전북교육, 52(1), 45-56.
  34. 최진령, 이연승 (2017).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유아기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1), 153-178. doi:10.18023/kjece.2017.37.1.007
  35. 한국과학창의재단 (2017.10). 융합인재교육이란? http://steam.kofac.re.kr/?page_id=30에서 2017년 10월 11일 인출
  36. 한혜숙, 이화정 (2012).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573-603.
  37. 홍혜경 (2016). 박물관을 활용한 유아 STEAM 교육 적용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20(5), 281-306.
  38. Moomaw, S., & Davis, J. A. (2010). STEM comes to preschool. Young Children, 65(5), 12-18.
  39. Munley, M. E. (2012). Early learning in museums: A review of literature.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s Early Learning Collaborative Network and Smithsonian Early Enrichment Center.
  40.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Cited by

  1. Analysis of the Structural Perception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Rogers' Innovative Attributes vol.24, pp.5, 2018, https://doi.org/10.24159/joec.2018.24.5.179
  2. 유아교사의 메이커 교육 인식에 기초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향 vol.20, pp.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20.20.0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