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현미, 황해익 (2011).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유아관찰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32(5), 167-183. https://doi.org/10.5723/KJCS.2011.32.5.167
- 곽노의 (2014). 누리과정에 연계한 유아관찰 척도 개발. 홀리스틱교육연구, 18(4), 23-42.
- 김상림, 김송이, 양성은, 이윤선, 한준아, 김지현 (2014). 유아발달. 파주: 양서원.
- 김송이, 정지나, 최혜영, 민성혜 (2009). 영유아 관찰 및 실습. 파주: 양서원.
- 변영신 (2005). 신체활동 교육이 아동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9(4), 125-144.
- 서울특별시 유아교육진흥원 (2012). 유치원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5세 누리과정 평가도구 (서울유아교육진흥-2012-07). 서울: 서울특별시유아교육진흥원.
- 서울특별시 유아교육진흥원 (2013). 유치원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3, 4세 누리과정 평가도구 (서울유아교육진흥-2013-03). 서울: 서울특별시유아교육진흥원.
- 신나리, 오정순 (2013).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 타당화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309-337.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309
-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1996). 연세 개방주의 유아교육과정(개정판). 서울: 창지사.
-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2016). 연세 개방주의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행동발달척도 개발(2015년도 연구보고서). 서울: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2017). 연세 개방주의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행동발달척도 해설서 개발(2016년도 연구보고서). 서울: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 이미화, 이정림, 여종일, 김경미, 김명순, 이경옥 등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 평정척도 개발(연구보고 2012-3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이미화, 정주영, 엄지원, 김희정, 김명순, 이경옥 등 (2013). 3, 4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개발 (연구보고 2013-36).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이선영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 이은해 (1995). 아동발달의 평가와 측정. 서울: 교문사.
- 이은해, 고윤주 (1988). 아동의 행동발달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9(2), 1-28.
- 이은해, 박주희, 최혜영 (2005). 영유아용(만 2세-5세) 발달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아동학회지, 26(6), 73-88.
- 이은해, 이미리, 박소연 (2006).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 이은해, 정미라, 박경자, 이종희 (1996).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관찰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6(2), 179-199.
- 이종숙, 신은수, 박은혜, 김영태, 유영의, 최일선 등 (2009).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도구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6(1), 115-133.
- 조성연, 이정희, 황혜정, 나종혜, 양성은 (2008).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 서울: 신정.
- 진명희, 서현순 (2004). 3, 4, 5세 유아의 놀이선호도와 놀이참여 유형에서의 성유형성 비교 및 성역할 고정관념과의 관련성. 유아교육연구, 24(3), 141-162.
- 최민수, 김명복 (2012). 유아교육기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59-382.
- 황윤세 (2011). 유아교육기관 적응 평가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1(4), 315-339.
- 황해익 (2009).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정민사.
- 황해익, 송연숙, 정혜영 (2003).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아행동 관찰법. 서울: 정민사.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1995).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설문.시험.검사의 제작 및 사용을 위한 표준(이순묵, 이봉건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85).
- Andrade, H. G. (1996).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 Bradley, R. H., & Corwyn, R. 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371-399. 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233
- DeVellis, R. F. (2012).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 (3rd ed.).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Inc.
- Halle, T., Zaslow, M., Wessel, J., Moodie, S., & Darling-Churchill, K. (2011). Understanding and Choosing Assessments and Developmental Screeners for Young Children Asges 3-5: Profiles of selected measures. Washington, DC: Office of Planning, Research, and Evaluation,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LeBuffe, P. A., & Naglieri, J. A. (1999). The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Lewisville, North Carolina: Kaplan Press.
- McAfee, O., & Leong, D. J. (2009).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4th ed),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평가(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황윤세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8).
- Merrell, K. W. (2002).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Rating Scale (PKBS-2). Austin, TX: PRO-ED.
- World Economic Forum. (2015).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Colony/Geneva: World Economic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