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연세 개방주의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 행동발달척도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Behavior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e Yonsei Open Education Curriculum

  • 박경자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정영선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박미현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우현경 (LG사랑푸르니어린이집) ;
  • 방은영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
  • 최선화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 투고 : 2017.08.15
  • 심사 : 2017.10.11
  • 발행 : 2017.10.31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Behavior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e Yonsei Open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5 children aged three to six attending a preschool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and their teachers. Teachers observed their children for at least two weeks and completed the Behavior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The scale consisted of five areas and 44 items which was a five level rubric. Results: Results showed that ag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nd development trends were revealed in almost all items. Second, the mea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97 for all items and for the five areas ranged from .86 to .93. The inter-observers reliability was .84. Forth, the concurrent validit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were relatively high. Conclusion/Implications: The Behavior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미, 황해익 (2011).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유아관찰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32(5), 167-183. https://doi.org/10.5723/KJCS.2011.32.5.167
  2. 곽노의 (2014). 누리과정에 연계한 유아관찰 척도 개발. 홀리스틱교육연구, 18(4), 23-42.
  3. 김상림, 김송이, 양성은, 이윤선, 한준아, 김지현 (2014). 유아발달. 파주: 양서원.
  4. 김송이, 정지나, 최혜영, 민성혜 (2009). 영유아 관찰 및 실습. 파주: 양서원.
  5. 변영신 (2005). 신체활동 교육이 아동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9(4), 125-144.
  6. 서울특별시 유아교육진흥원 (2012). 유치원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5세 누리과정 평가도구 (서울유아교육진흥-2012-07). 서울: 서울특별시유아교육진흥원.
  7. 서울특별시 유아교육진흥원 (2013). 유치원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3, 4세 누리과정 평가도구 (서울유아교육진흥-2013-03). 서울: 서울특별시유아교육진흥원.
  8. 신나리, 오정순 (2013).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 타당화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309-337.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309
  9.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1996). 연세 개방주의 유아교육과정(개정판). 서울: 창지사.
  10.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2016). 연세 개방주의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행동발달척도 개발(2015년도 연구보고서). 서울: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11.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2017). 연세 개방주의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행동발달척도 해설서 개발(2016년도 연구보고서). 서울: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12. 이미화, 이정림, 여종일, 김경미, 김명순, 이경옥 등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 평정척도 개발(연구보고 2012-3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3. 이미화, 정주영, 엄지원, 김희정, 김명순, 이경옥 등 (2013). 3, 4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개발 (연구보고 2013-36).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4. 이선영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15. 이은해 (1995). 아동발달의 평가와 측정. 서울: 교문사.
  16. 이은해, 고윤주 (1988). 아동의 행동발달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9(2), 1-28.
  17. 이은해, 박주희, 최혜영 (2005). 영유아용(만 2세-5세) 발달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아동학회지, 26(6), 73-88.
  18. 이은해, 이미리, 박소연 (2006).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19. 이은해, 정미라, 박경자, 이종희 (1996).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관찰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6(2), 179-199.
  20. 이종숙, 신은수, 박은혜, 김영태, 유영의, 최일선 등 (2009).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도구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6(1), 115-133.
  21. 조성연, 이정희, 황혜정, 나종혜, 양성은 (2008).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 서울: 신정.
  22. 진명희, 서현순 (2004). 3, 4, 5세 유아의 놀이선호도와 놀이참여 유형에서의 성유형성 비교 및 성역할 고정관념과의 관련성. 유아교육연구, 24(3), 141-162.
  23. 최민수, 김명복 (2012). 유아교육기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59-382.
  24. 황윤세 (2011). 유아교육기관 적응 평가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1(4), 315-339.
  25. 황해익 (2009).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정민사.
  26. 황해익, 송연숙, 정혜영 (2003).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아행동 관찰법. 서울: 정민사.
  27.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1995).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설문.시험.검사의 제작 및 사용을 위한 표준(이순묵, 이봉건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85).
  28. Andrade, H. G. (1996).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29. Bradley, R. H., & Corwyn, R. 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371-399. 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233
  30. DeVellis, R. F. (2012).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 (3rd ed.).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Inc.
  31. Halle, T., Zaslow, M., Wessel, J., Moodie, S., & Darling-Churchill, K. (2011). Understanding and Choosing Assessments and Developmental Screeners for Young Children Asges 3-5: Profiles of selected measures. Washington, DC: Office of Planning, Research, and Evaluation,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32. LeBuffe, P. A., & Naglieri, J. A. (1999). The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Lewisville, North Carolina: Kaplan Press.
  33. McAfee, O., & Leong, D. J. (2009).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4th ed),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평가(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황윤세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8).
  34. Merrell, K. W. (2002).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Rating Scale (PKBS-2). Austin, TX: PRO-ED.
  35. World Economic Forum. (2015).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Colony/Geneva: World Economic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