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http://pmo.go.kr/pmo/inform/inform01_02a.jsp에서 2017년 7월 26일 인출
- 기재부, 국방부, 복지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2013. 6. 10).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직장어린이집 활성화 대책 보도자료.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287367&SEARCHKEY=TITLE&SEARCHVALUE=%C0%CF%B0%FA%20%B0%A1%C1%A4%20%BE%E7%B8%B3%C0%BB%20%C0% A7%C7%D1%20%C1%F7%C0%E5%BE%EE%B8%B0%C0%CC%C1%FD%20%C8%B0%BC%BA%C8%AD%20%B9%E6%BE%C8에서 2017년 2월 22일 인출
- 김경숙 (2008).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민정 (2013).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5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송이 (2014). 양육수당 도입 이후 보육수요 실태 및 보육인프라 다각화 방안. 서울: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 김연명 (2017. 4). 사회서비스공단 설치 필요성 및 쟁점. 2017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여수.
- 김윤종, 이미지 (2017. 7. 20). 맞춤형 보육, 1년만에 대폭 손본다.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00/20170720/85438908/1에서 8월 3일 인출
- 김은설, 유해미, 최은영, 최효미, 배윤진, 양미선 등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세종: 보건복지부.
- 김은설 (2016. 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에 나타난 취업모의 어린이집 이용 특징과 맞춤형 보육. 제1차 육아선진화 포럼발표 논문, 서울.
- 김진석 (2016. 6). 민간 인프라를 활용한 보육 공공성 강화의 가능성과 한계(1): 공공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토론. 2016년 제2차 육아정책 심포지엄발표 논문, 서울.
- 백선희 (2011).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 방안(연구보고서 2011-37-5). 서울: 보건사회연구원
- 백선희 (2017. 5). 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보 방안: 사회서비스공단을 중심으로. 2017년 한국사회보장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2009). 아이사랑플랜 (2009-2012). http://www.koreaeducare. or.kr/html/board/index.asp?boardPage=view&board=44&idx=1629에서 2017년 2월 17일 인출
- 보건복지부 (2001. 12. 17). 정부, 보육사업의 획기적 발전을 위한 마스터플랜 제기(보육사업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보도자료.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 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21601&SEARCHKEY=TITLE&SEA RCHVALUE=%BA%B8%C0%B0%BB%E7%BE%F7%C0%C7%20%C8%B9%B1%E2%C0%FB에서 2017년 2월 25일 인출
- 보건복지부 (2011). 2011년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3a). 제2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95051&page=1에서 2017년 2월 25일 인출
- 보건복지부 (2013b). 2013년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6). 2016년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7).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2017. 4. 28).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 미이행 등 130개 사업장 명단 공표 보도자료.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 MENU_ID=04&MENU_ID=0403 &page=1&CONT_SEQ=339468&SEARCHKEY=TITLE&SEARCHVALUE=%C1%F7%C0%E5%BE%EE%B8%B0%C0%CC%C1%FD%20%BC%B3%C4%A1%C0%C7%B9%AB%20%B9%CC%C0%CC%C7%E0%20%B5%EE에서 2017년 5월 18일 인출
- 서문희, 양미선 (2010). 시간연장보육 이용 실태 및 수요 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 서문희, 양미선, 김은설, 최윤경, 유해미, 손창균 등 (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 서문희, 이혜민, 이원선 (2014). 공공형어린이집 제도 개선 및 발전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신나리 (2016. 6). 민간 인프라를 활용한 보육 공공성 강화의 가능성과 한계(2): 직장어린이집을 중심으로. 2016년 제2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토론문, 서울.
- 신나리, 송신영, 이은경 (2009). 취약지역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및 운영모델 정립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 안현미 (2009).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 모델'의 적용방안 연구: 서울 국공립보육시설연합회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6, 255-278.
- 안혜정, 유한나 (2017). 유아교육기관의 학급규모 고찰을 통한 정책적 함의.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1), 19-41. doi:10.14698/jkcce.2017.13.01.019
- 양미선 (2016). 어린이집 24시간보육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양미선, 서문희, 김정민 (2014).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2014.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 양미선, 서문희, 이혜민 (2013).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 양미선, 이규림, 정지운, 김정민 (2016). 공보육.교육 공급 정책 평가와 개선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여성가족부 (2006). 새싹플랜: 제1차 중장기 보육계획(2006-2010). http://www.nhrd.net/board/download.do?boardId=BBS_0000004&fileSid=4981&dataSid=16488에서 2013년 9월 13일 인출
- 열린부모교육학회,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학회,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 한국생애학회 등 (2017. 7). 영유아의 권리와 행복을 최우선하는 보육정책 요구, 새 정부에 바란다. 사회서비스공단 내 보육사업 포함 계획안 반대와 유보통합 촉구 대토론회, 서울.
- 유해미 (2016. 6). 민간 인프라를 활용한 보육 공공성 강화의 가능성과 한계(1): 공공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2016년 제2차 육아정책 심포지엄발표 논문, 서울.
- 유해미, 김아름, 박기원 (2015). 공공형어린이집 성과 평가 및 발전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 (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유희정, 김은설, 유은영 (2006).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제고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 이미화, 최윤경, 이정원, 도남희, 권미경, 박진아 등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보고. 세종: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 이정림, 김은영, 엄지원, 강경숙 (2012).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교육 현황과 선진화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임우영, 안선희 (2011). 유아교사-부모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21-350.
- 장영인, 최영신 (2008). 시간제보육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유아보육학, 53, 79-105.
- 장하진, 이옥, 백선희 (2015). 한국의 보육정책. 경기: 공동체.
- 홍계옥 (2003). 유아교사의 훈육행동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유아의 성, 연령, 학급의 크기, 교사의 교육경력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6, 50-74.
- NAEYC (2016). NAEYC Early learning program standards and accreditation criteria & guidance for assessment. Retrieved March 1, 2017 from http://www.naeyc.org/academy/files/academy/NAEYC%20Early%20Learning%20Standards%20and%20Criteria_10_2016.pdf
Cited by
- 코로나19 시대의 보육환경 내 영유아의 사회적 경험 vol.17, pp.2, 2017,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