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on Administrating Childcare Centers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Policy Reviews and Suggestions for the New Korean Government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어린이집 운영 정책: 정책 고찰과 새 정부의 정책 제언을 중심으로

  • 최혜영 (창원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박진재 (푸르니 보육지원재단) ;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7.08.15
  • Accepted : 2017.10.11
  • Published : 2017.10.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purposed to provide implications in regards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at launched in May 2017. Three sectors of childcare polices on administration of childcare centers were reviewed in terms of supporting the health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Methods: Medium and long-term childcare plans and the main policies of previous administrations since 2004 when the Childcare Act was completely reformed, as well as the 'Five-year policy fo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of state affairs' that was announced on July, 2017, were reviewed in terms of publicness of childcare, regulations on operation of childcare services, and customized childcare programs for diverse needs. Results: It was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publicness of childcare should be conservative when focusing on public childcare centers. The regulations on operating childcare services should focus on improving structural dimensions of childcare quality to keep the well-being of children a top priority. Furthermore, divers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to satisfy changes in childcare surroundings and the various needs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outline childcare policies and carry out tasks under the new paradigm. The health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hould be embodied as the final goal that forms the vision of childcare policies based on publicness, rationality, and diversity.

Keywords

References

  1.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http://pmo.go.kr/pmo/inform/inform01_02a.jsp에서 2017년 7월 26일 인출
  2. 기재부, 국방부, 복지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2013. 6. 10).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직장어린이집 활성화 대책 보도자료.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287367&SEARCHKEY=TITLE&SEARCHVALUE=%C0%CF%B0%FA%20%B0%A1%C1%A4%20%BE%E7%B8%B3%C0%BB%20%C0% A7%C7%D1%20%C1%F7%C0%E5%BE%EE%B8%B0%C0%CC%C1%FD%20%C8%B0%BC%BA%C8%AD%20%B9%E6%BE%C8에서 2017년 2월 22일 인출
  3. 김경숙 (2008).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민정 (2013).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5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송이 (2014). 양육수당 도입 이후 보육수요 실태 및 보육인프라 다각화 방안. 서울: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6. 김연명 (2017. 4). 사회서비스공단 설치 필요성 및 쟁점. 2017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여수.
  7. 김윤종, 이미지 (2017. 7. 20). 맞춤형 보육, 1년만에 대폭 손본다.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00/20170720/85438908/1에서 8월 3일 인출
  8. 김은설, 유해미, 최은영, 최효미, 배윤진, 양미선 등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세종: 보건복지부.
  9. 김은설 (2016. 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에 나타난 취업모의 어린이집 이용 특징과 맞춤형 보육. 제1차 육아선진화 포럼발표 논문, 서울.
  10. 김진석 (2016. 6). 민간 인프라를 활용한 보육 공공성 강화의 가능성과 한계(1): 공공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토론. 2016년 제2차 육아정책 심포지엄발표 논문, 서울.
  11. 백선희 (2011).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 방안(연구보고서 2011-37-5). 서울: 보건사회연구원
  12. 백선희 (2017. 5). 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보 방안: 사회서비스공단을 중심으로. 2017년 한국사회보장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3. 보건복지가족부 (2009). 아이사랑플랜 (2009-2012). http://www.koreaeducare. or.kr/html/board/index.asp?boardPage=view&board=44&idx=1629에서 2017년 2월 17일 인출
  14. 보건복지부 (2001. 12. 17). 정부, 보육사업의 획기적 발전을 위한 마스터플랜 제기(보육사업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보도자료.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 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21601&SEARCHKEY=TITLE&SEA RCHVALUE=%BA%B8%C0%B0%BB%E7%BE%F7%C0%C7%20%C8%B9%B1%E2%C0%FB에서 2017년 2월 25일 인출
  15. 보건복지부 (2011). 2011년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6. 보건복지부 (2013a). 제2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95051&page=1에서 2017년 2월 25일 인출
  17. 보건복지부 (2013b). 2013년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8. 보건복지부 (2016). 2016년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9. 보건복지부 (2017).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20. 보건복지부 (2017. 4. 28).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 미이행 등 130개 사업장 명단 공표 보도자료.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 MENU_ID=04&MENU_ID=0403 &page=1&CONT_SEQ=339468&SEARCHKEY=TITLE&SEARCHVALUE=%C1%F7%C0%E5%BE%EE%B8%B0%C0%CC%C1%FD%20%BC%B3%C4%A1%C0%C7%B9%AB%20%B9%CC%C0%CC%C7%E0%20%B5%EE에서 2017년 5월 18일 인출
  21. 서문희, 양미선 (2010). 시간연장보육 이용 실태 및 수요 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2. 서문희, 양미선, 김은설, 최윤경, 유해미, 손창균 등 (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3. 서문희, 이혜민, 이원선 (2014). 공공형어린이집 제도 개선 및 발전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신나리 (2016. 6). 민간 인프라를 활용한 보육 공공성 강화의 가능성과 한계(2): 직장어린이집을 중심으로. 2016년 제2차 육아정책 심포지엄 토론문, 서울.
  25. 신나리, 송신영, 이은경 (2009). 취약지역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및 운영모델 정립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6. 안현미 (2009). '지역거점 국공립보육시설 모델'의 적용방안 연구: 서울 국공립보육시설연합회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6, 255-278.
  27. 안혜정, 유한나 (2017). 유아교육기관의 학급규모 고찰을 통한 정책적 함의.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1), 19-41. doi:10.14698/jkcce.2017.13.01.019
  28. 양미선 (2016). 어린이집 24시간보육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9. 양미선, 서문희, 김정민 (2014).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2014.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30. 양미선, 서문희, 이혜민 (2013). 어린이집 이용자 만족도 조사.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31. 양미선, 이규림, 정지운, 김정민 (2016). 공보육.교육 공급 정책 평가와 개선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2. 여성가족부 (2006). 새싹플랜: 제1차 중장기 보육계획(2006-2010). http://www.nhrd.net/board/download.do?boardId=BBS_0000004&fileSid=4981&dataSid=16488에서 2013년 9월 13일 인출
  33. 열린부모교육학회,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 한국보육학회,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 한국생애학회 등 (2017. 7). 영유아의 권리와 행복을 최우선하는 보육정책 요구, 새 정부에 바란다. 사회서비스공단 내 보육사업 포함 계획안 반대와 유보통합 촉구 대토론회, 서울.
  34. 유해미 (2016. 6). 민간 인프라를 활용한 보육 공공성 강화의 가능성과 한계(1): 공공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2016년 제2차 육아정책 심포지엄발표 논문, 서울.
  35. 유해미, 김아름, 박기원 (2015). 공공형어린이집 성과 평가 및 발전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6.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 (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7. 유희정, 김은설, 유은영 (2006).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제고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38. 이미화, 최윤경, 이정원, 도남희, 권미경, 박진아 등 (2016).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보고. 세종: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39. 이정림, 김은영, 엄지원, 강경숙 (2012).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교육 현황과 선진화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40. 임우영, 안선희 (2011). 유아교사-부모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21-350.
  41. 장영인, 최영신 (2008). 시간제보육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유아보육학, 53, 79-105.
  42. 장하진, 이옥, 백선희 (2015). 한국의 보육정책. 경기: 공동체.
  43. 홍계옥 (2003). 유아교사의 훈육행동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유아의 성, 연령, 학급의 크기, 교사의 교육경력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6, 50-74.
  44. NAEYC (2016). NAEYC Early learning program standards and accreditation criteria & guidance for assessment. Retrieved March 1, 2017 from http://www.naeyc.org/academy/files/academy/NAEYC%20Early%20Learning%20Standards%20and%20Criteria_10_2016.pdf

Cited by

  1. 코로나19 시대의 보육환경 내 영유아의 사회적 경험 vol.17, pp.2, 2017,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