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Children's Education Level on Intergenerational Income Persistence

자녀의 학력이 부자간 소득계층 대물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6.27
  • Accepted : 2017.08.17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s data,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of schooling level on income over time and the effect of children's education level on intergenerational income persiste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of education level on income decreased over time. Also, intergenerational income persistence, measured as a dummy variable that has value one if children's income percentile group is same as the father's, increased with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only when the father is in upper income percentile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ducation fails to play a significant role of the economic ladder and does not much help in raising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Rather, education may possibly function as a means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wealth through parental investment in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1-17차 자료에서 추출한 부자쌍(父子雙)을 이용하여 학력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세대별로 비교하고, 자녀의 학력이 부자간 소득계층 대물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계층이동 사다리로서의 교육의 역할을 점검했다. 분석 결과, 학력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아버지 세대에 비해 자녀 세대에서 최대 7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과거에 비해 교육의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이 축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소득계층을 상위 50%와 하위 50%로 구분한 뒤 자녀의 학력이 부자간 소득계층의 대물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위 50% 표본에서는 자녀의 교육연수 1년 증가 시 부자간 고소득계층 대물림 확률이 최대 7.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50% 표본에서는 자녀의 교육연수가 부자간 저소득계층 대물림 확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이 부(富)의 대물림 확률은 높이면서 빈곤의 대물림 확률을 낮추는 데에는 기여하지 못 해 결국 소득이동성을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성.김봉근.하태욱. 한국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 국제경제연구 15권 2호 (2009. 8): 87-102.
  2. 김봉근.석재은.현은주. 한국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과 추세. 노동경제논집 35권 2호 (2012. 8): 25-41.
  3. 김성태.전영준.임병인. 우리나라 소득이동성의 추이 및 결정 요인 분석. 경제학연구 60집 4호 (2012. 12): 5-43.
  4. 김세직.류근관.손석준. 학생 잠재력인가? 부모 경제력인가?.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편, 경제논집 54권 2호 (2015. 12): 357-383.
  5. 김용성 세대 내 소득이동성에 대한 연구: 학력계층을 중심으로. 김용성.이주호 편, 인적자본정책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종합연구. pp.636-665. KDI, 2014.
  6. 김희삼. 한국의 세대 간 경제적 이동성 분석. KDI, 2009.
  7. 김희삼. 세대 간 계층 이동성과 교육의 역할. 김용성.이주호 편. 인적자본정책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종합연구. pp.579-635. KDI, 2014.
  8. 안종범.전승훈. 교육 및 소득수준의 세대 간 이전. 재정학연구 1권 1호 (2008. 2): 119-142.
  9. 양정승. 한국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 추정. 노동경제논집 35권 2호 (2012. 8): 79-115.
  10. 윤정렬.홍기석. 우리나라 세대 내 소득이동성에 관한 실증분석. 노동경제논집 35권 2호 (2012. 8): 43-77.
  11. 이주호.정혁.홍성창. 한국은 인적자본 일등 국가인가: 교육거품의 형성과 노동시장 분석. KDI, 2014.
  12. 이진영. 교육의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에 대한 분석 및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2016.
  13. 최지은.홍기석. 우리나라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 분석-아버지와 아들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7권 3호 (2011. 8): 143-163.
  14. 최기림.안태현. 한국에서의 부녀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 선별적 결혼의 역할. 여성경제연구 12집 2호 (2015. 12): 45-66.
  15. Corak, Miles. "Inequalit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United States in Comparison." In Robert S. Rycroft (editor). The Economics of Inequality, Poverty, and Discrimination in the 21st Century, Santa Barbara: ABC-CLIO, 2013.
  16. Hungerford, Thomas, and Gary Solon. "Sheepskin Effects in the Returns to Educatio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9 (2) (February 1987): 175-177. https://doi.org/10.2307/1937919
  17. Juhn, Chinhui, Kevin M. Murphy, and Brooks Pierce. "Wage Inequality and the Rise in Returns to Skill."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1 (3) (June 1993): 410-442. https://doi.org/10.1086/261881
  18. Piketty, Thomas.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