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iciency of ROK-U.S. Alliance in Order to Overcome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Evaluations & Measures

북한 핵위협 극복을 위한 한미동맹 효용성: 평가와 대책

  • Received : 2017.05.08
  • Accepted : 2017.06.30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Last January 2017, Donald Trump was inaugurated as the 45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He actively claimed a priority for the United States, which is referred as America First, during his presidential campaign. However, his political assertions turned out to be as Isolationist in terms of foreign policy. It becomes a serious problem for South Korea because South Korea is solely dependent on the U.S. "Extended Deterrence" of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In other words, there will be a higher likelihood for North Korea to mis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Due to his foreign policy, there is a possible provocation by North Korea. Therefore, ROK-U.S. Alliance, the model of Asymmetry Alliance in order to prepare for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 will be evaluated through America's perspective based on "Autonomy-Security Trade-off Model".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will evaluate ROK-U.S. Alliance with regards to a threat perception, policy coordination, and a value as an ally. Based on the evaluation, it will deduce tactical implications of South Korea's alliance.

지난 2017년 1월, 트럼프가 미국의 제 45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그는 대선기간 중에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적극적으로 표방하였다. 그의 이런 주장이 대외정책에 있어서 '고립주의'(Isolationism)를 표방하는 것으로 비취지고 있다. 북한의 핵위협에 대하여 미국의 '확장억제'(Extended Deterrenc)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한국에 있어서 이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즉 미국이 고립주의로 회귀하여 한미동맹 공약이행 의지가 약화되는 것으로 인식될 경우 북한의 오판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사회에서는 미국으로부터 안보를 지원받고 정책적 공조를 제공하는 전형적인 '비대칭 동맹'(Asymmetry Alliance)인 한미동맹의 가치를 재평가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이에 북한의 고도화된 핵도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신장된 한국의 국력수준에 부합된 한미동맹의 효용성을 동맹이론에 입각하여 평가해보고 대책을 강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미동맹을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에 기초하여, 위협인식, 정책공조와, 동맹국으로서 가치 측면으로 구체화하여 평가해보고, 향후 한미동맹의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덕, "동맹 딜레마 극복을 위한 한국의 대미 동맹전략의 발전발향," 전략연구, 제56호, pp. 185, 2012.
  2. 김일수, "한미 군사동맹의 초기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미국학 논집, 제35집 2호, pp. 65-66, 2003.
  3. 박계호, "한반도 위기발생시 미국의 개입 결정요인," 국방연구, 제56권 1호, pp. 61, 67-69, 2013.
  4. 박휘락, "한미동맹에 있어서 미국의 안보공약 이행 정도에 대한 분석,"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8집 1호, pp. 333-336, 338, 2016.
  5. 김계동,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국제정치 논총, 제41집 2호, pp. 16, 2001.
  6. Albright David, "Future Directions in the DPRK's Nuclear Weapons Program: Three Scenarios for 2020", North Korea's Nuclear Futures Series, U.S.-ROK Institute at SAIS, Vol. 24, No. 2, pp. 19-30, 2015.
  7. Michael F. Altfeld, "The Decision to Alliance: A Theory and Test," The Western Political Quarterly, Vol. 37, No. 4, Winter-1984.
  8. Stephen M. Walt, "Why Alliance Endure or Collapse?", Global Politics and Strategy, Vol. 39, No. 1, pp. 156-179, 1985.
  9. James D. Morrow, "Alliances and Asymmetry: An Alternative to the Capability Aggregation Model of Alliance", American Jounal of Political Science, Vol. 35, No. 4, pp. 904-933, November-1991. https://doi.org/10.2307/2111499
  10. Woolf. Amy, "U.S. Strategic Nuclear Forces: Background, Developments, and Issues," CRS Report, Vol. 28, No. 2, pp. 124-126, November-2015.
  11. Albright. David, "Future Directions in the DPRK's Nuclear Weapons Program: Three Scenarios for 2020," North Korea's Nuclear Futures Series, U.S.-ROK Institute at SAIS, Vol. 18, No. 3, pp. 19-30, 2015.
  12. 국방부, '한미동맹60년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3.
  13. 국방부, '2016 국방백서', 국방부, 2019.
  14. 이상철, '안보와 자주성의 딜레마', 연경문화사, 2004.
  15. U.S. Department of Defence, '2014 Quadrennial Defence Review', U.S. Department of Defence, 2014.
  16. Hans J.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Brief Edition', McGraw-Hill, 1993.
  17. 동아일보, 2016년 3월 9일자,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