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Analysis on Digital Forensics Research Trends for Securing its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디지털 증거능력 확보 강화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연구동향 메타분석

  • 류보라 ((주)더존비즈온 포렌식센터) ;
  • 전민서 (중앙대학교/일반대학원 산업융합보안학과) ;
  • 지주연 (중앙대학교/일반대학원 산업융합보안학과) ;
  • 이찬우 (중앙대학교/일반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장항배 (중앙대학교/경영경제대학 산업보안학과)
  • Received : 2017.05.27
  • Accepted : 2017.06.2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data including digital data have increased exponentially. In a society where such data utilization is generalized,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es and trial processes have also been influenced.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progress of the technical capability and analytical capability of digital certification which is increasing exponenti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digital forensic related legal system is still in short supp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balanced research for legal recognition of digital certifica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meta analysis was conducted to grasp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digital forensics and to provide objective data for research revitalization.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데이터의 활용이 보편화된 최근의 사회는 수사와 재판과정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하지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디지털 증거에 대한 기술력과 분석력의 진보에 비해 디지털 포렌식 관련 법과 제도의 확립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디지털 증거의 법적인정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포렌식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활성화를 위한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용태, "디지털증거의 무결성 유지를 위한 절차와 사례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2006.
  2. 탁희성, 이성진, "디지털 증거분석도구에 의한 증거수집절차 및 증거능력 확보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pp.6-21, 2006.
  3. 양근원,. "디지털 증거의 특징과 증거법상의 문제 고찰",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pp.133-166, 2006.
  4. 양근원, "형사절차상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5. 권오걸, "디지털증거의 개념.특성 및 증거능력의 요건", IT와 법 연구, 제5집, pp.291-318, 2011.
  6. Glass, G. V., "Primary, secondary, and meta 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Vol.5, pp.3-8. 1976.
  7. Field, Andy P, "Meta-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a Monte Carlo comparison of fixed and random effects methods", Psychological Methods, Vol6, No.2, pp.161-180, 2001. https://doi.org/10.1037/1082-989X.6.2.161
  8. 노정순, "문헌정보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2권, 제1호, pp.46-61, 2008.
  9. 류준호, 윤승금, 이영주, "문화콘텐츠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24-165, 2010.
  10.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8.
  11. 김훈순, "텔레비전 서사연구의 메타분석",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59호, pp.167-197, 2004.
  12. 황상재, 박석철, "국내 인터넷 연구의 메타분석 - 연구 주제와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2호, pp.68-92, 2004.
  13. 김성태, "국내 내용분석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 및 제언",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1권, 제2호, pp.39-67, 2005.
  14. 김광재, "혁신의 확산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2호, pp.31-56, 2010.
  15. 박광민, 홍승완, 김종필, 장항배. "정보유출방지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기술 비교분석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16권, 제7호, pp.93-100. 2016.
  16. 강미화, 김태성, "보안경제성 연구동향 분석",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5권, 제6호, pp.1561-1570. 2015. https://doi.org/10.13089/JKIISC.2015.25.6.1561
  17. 이동휘, 윤주희, 김미선, "활성 포렌식 기술을 활용한 피해 유형별침해사고 대응 절차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16권, 제4호, pp. 69-78.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