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ity in the Live Action Based Virtual Reality

실사기반 가상현실 영상의 특징과 주체 구성에 대한 연구

  • 전경란 (동의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전공)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ity of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adopted in human expression system and integrates the dynamic aspect of digital technology with expressive structure, thereby transforming the paradigm of image acceptance as well as image expression range. Virtual reality images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they are changing the one-way mechanism of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images that lead to producers-video-audiences beyond the problem of verisimilitude such as how vividly they simulate reality. First of all, the virtual reality image is not one-sided but interactive image composed by the user. Viewing a virtual reality image does not just see the camera shine, but it gets the same view as in the real world. Therefore, the image that was controlled through framing changes to be configured positively by the user. This implies a change in the paradigm of image acceptance as well as a change in the existing form of the image itself. In additi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image and the subjects that are formed in the process are also required to be discuss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the user 's gaze is a fusion of the gaze inside the image and the gaze outside the image.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user as the subject of the gaze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is continuously restricted by the device of the discourse such as the editing and the narration of the shot. The significanc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is not aesthetically perfect but it i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user to reflect the existence of the user positively and engage the user in the image.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상호작용 가능성은 인간의 표현 방식에 채택되어 디지털 기술의 역동적인 측면을 의미화구조와 통합함으로써 영상의 표현 범위는 물론 영상 수용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얼마나 생생하게 현실을 모사하고 있는가와 같은 핍진성(verisimilitude)의 문제를 넘어 제작자-영상-관객으로 이어지는 영상의 제작과 수용의 일방향적 메커니즘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무엇보다도 가상현실 영상은 일방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에 의해 구성되는 상호작용적 영상이다. 가상현실 영상을 본다는 것은 카메라가 비추는 것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마치 현실 세계에서와 같은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프레이밍을 통해 통제되던 영상이 이용자에 의해 적극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변화한다. 이는 영상자체의 존재 양식의 변화는 물론 영상 수용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아울러 영상의 서술구조와 그 과정에서 구성되는 주체에 대해서도 새로운 논의를 요구하는 것이다. 가상현실 영상에서 이용자의 시선은 영상 안의 시선과 영상 밖의 시선이 융합된 것이다. 가상현실 영상에서 시선의 주체로서 이용자의 위치는 쇼트의 연결, 내레이션과 같은 담론의 장치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가상현실 영상의 의의는 미학적으로 완성도 높은 영상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이용자에 따라 영상이 재구성됨으로써 영상 속에 이용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거기에 이용자를 참여시키는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민화 외, 가상현실을 말하다, 클라우드북스, 2016.
  2. Brenda Laurel, Computer as Theater, Reading: Addison-Wesley Publishing, 1991.
  3. Christian Metz, The Imaginary Signifier: Psychoanalysis and the Cinema, Bloomington: Indiana Univ. Press, 1982.
  4. Jean-Pierre Oudart, "Cinema and Suture", Browne, N.(ed.), Cahiers du Cinema Vol3. 1969-1972: Politics of Representation(pp.189-202), London: Routledge, 1990.
  5. Kaja Silverman, The Subject of Semiotics,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6. Lev Manovich, The Language of New Media, Cambridge: The MIT Press, 2002.
  7. Marie-Laure Ryan, Narrative as Virtual Reality 2: Revisiting Immersion and Interactivity in Literature and Electronic Media, JHU Press, 2015
  8. Marita Sturken, Lisa Cartwright,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New York: Oxford Univ. Press. 2001.
  9. Tom Gunning, D.W. Griffith and the Origins of American Narrative Film, Urbana: Univ. of Illinois Press, 1991.
  10. William Sherman & Alan B. Craig, Understanding Virtual Reality: Interface, Application and Design, Elsevier Science, 2013, pp.380-411.
  11. 신성환, 유튜브 시대의 영상이미지 시점에 대한 고찰: 영화 <파라노말 액티비티>와 <크로니클>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 제14권 2호 (2013, 6), pp.247-279
  12. 장욱상, 이영권. VR영상 〈HELP〉 연출 분석: 롱테이크 기법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제11권 5호(2015, 12) pp.294-309.
  13. 전경란,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20호(2010, 9) pp.3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