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추상애니메이션의 태동과 기호학적 의미 연구

The beginning of abstract animation and semiotic meaning

  • 이영헌 (평택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발행 : 2017.09.30

초록

본 연구는 추상애니메이션의 태동기에 발생되는 양상과 상호매체적 특징을 살펴보고 추상애니메이션의 기호학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아방가르디스트가 주축이 되어 형성되었고 그것의 기반에는 추상회화가 있었다. 추상회화를 퍼스의 기호학으로 살펴보면 '상징적 기호'에 속하며 특정한 대상을 재현하지 않는다. 이에 추상애니메이션 또한 그 대상성이 사라지고 추상애니메이션 스스로가 대상이 되고 있음을 알았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상호매체성을 기반으로 추상회화와 음악이 결합되는 '매체조합'의 범주에 있다. 새로운 매체에 대한 아방가르디스트의 과감한 실험과 도전은 추상애니메이션의 태동을 가져왔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추상회화를 기반으로 시작되었지만 음악 및 시간성과 결합되며 새로운 매체로 진화되었다. 추상애니메이션은 독일에서 발터 루트만, 비킹 엘겔링, 한스 리히터 등의 아방가르디스트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들은 음악을 기반으로 추상애니메이션을 각자의 시간으로 풀어나갔다. 오스카 휘싱어는 발터 루트만의 영향을 받았으며 <스터디 시리즈>를 완성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작품을 이어나갔다. 휘싱어 이후 존 휘트니는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하여 추상애니메이션의 계보를 이어나갔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재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부재 속에서 매체의 근본적 의미에 충실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aspect and intermedial characteristics at the beginning of the abstract animation and the semiotic meaning of abstract animation. Abstract animation was formed by arbangaridist, and there was an abstract painting on its foundations. The abstract painting belong to 'symbol sign' and do not represent specific objects. The abstract animation loses its object and we knew that the abstract animation itself to be object. Abstract animation is a category of ' media combination ' that combines abstract painting and music with intermediality. Abstract animation began based on abstract paintings, but was combined with music and time, and evolved into new media. The abstract animation was started by avant-gardists such as Walter Ruttman, Viking Eggeling and Hans Richter. They set aside their own time of abstract animation based on music. Oskar Fischinger was influenced by Walter Ruttman who completed abstract animation and went to America to continue his work. After Oskar Fischinger, John Whitney continued his genealogy using computer graphics. The abstract animation was faithful to the underlying meaning of the medium in the absence of the object for represen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준양, 애니메이션,이미지의 연금술, 한나래, 2001.
  2. 윤난지, 추상미술과 유토피아, 한길아트, 2011.
  3. 장-뤽 다발, 홍승혜 엮, 추상미술의 역사, 미진사, 1990.
  4. 전동열, 기호학,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5. 조복행, 뮤지컬의 상호매체성과 혼종의 미학, 경인문화사, 2014.
  6. 조지 락키, 윤난지 역, 키네틱 아트, 열화당, 1991.
  7. 진중권, 이미지인문학, 천년의 상상, 2014.
  8. 칸딘스키, 권영필 역,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미술책방, 2000.
  9. 칸딘스키, 차봉희 역, 점.선.면 회화적인 요소의 분석을 위하여, 열화당미술책방, 2004.
  10. 페데리코 폴레티, 노윤희 엮,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세계, 마로니에북스, 2010.
  11. A.L.. Rees, 성준기 엮, 실험영화와 비디오의 역사, 커뮤니케이셔북스, 2013.
  12. Karin v. Maur, Vorn Klang der Bilder Munchen, 1985, S, 3.
  13. Jeanpaul Goergen, Walter Ruttmann eine Dokumentation, Berlin 1989, S.20.
  14. 서계숙, 추상영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자연과학 제9집 제2호, 1998.
  15. 손국환, 추상애니메이션의 개념정립 및 전개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2013.
  16. 임용섭,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나타난 상호매체성 관계,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016.
  17. 전동열, 기호학적 범주로서의 상호매체성, 독일문학, 2010.
  18. 진중권, 추상회화에 대하여, 예술의전당, 5월호(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