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2005, the Republic of Korea suffered from the outbreak of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leaving 186 infectees and 38 casualties. Responding to this crisis, Korean government revealed many problems in emergency management policies and was widely criticized. A similar case in emergency management and infectious disease control is the 1999 outbreak of West Nile Virus(WNV) outbreak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is period, the state of Oregon effectively responded to WNV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state and local government, being considered as a model case of emergency management. This article aims to find insights in emergency management and infectious disease control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responses of Korean MERS outbreak and Oregon's WNV outbreak focusing on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nsights found in this study include the role of control tower,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and disclosure, the role of existing systems and social networks, and sustainable intergovernmental collaboration.
2015년 대한민국은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 메르스) 유행으로 큰 사회적 문제를 겪었다. 한국 정부는 그 대처 과정에서 한국정부의 재난대응체제의 문제점을 드러내며 많은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국가위기관리와 감염병 대응체계와 관련하여 이와 비근한 외국의 사례로 1999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WNV) 사태가 있다. 이때 미 오리건(Oregon) 주(州)는 주정부와 지방 정부 및 관련 기관들 간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효과적으로 WNV 사태에 대처하여 위기관리의 모범적인 사례로 간주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메르스 사태와 미국 오리건 주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사태의 사례들을 정리 비교하여 정부간 조직간 협업과 정보공유를 중심으로 국가위기 관리 및 감염병 대응체계에 대한 함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사례비교의 결과 컨트롤 타워의 역할, 정보공유 및 공개의 중요성, 기존 시스템과 사회 네트워크의 활용, 지속가능한 정부간 협업이라는 네 가지 함의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