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경찰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ew Police officers

  • 투고 : 2017.08.10
  • 심사 : 2017.09.11
  • 발행 : 2017.09.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임경찰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앙경찰학교를 졸업한 신임경찰 288기를 대상으로 교육만족도(교육행정, 교육과정, 교수능력, 교육시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교수능력이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교수능력이 조직몰입의 모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과정과 교육시설은 조직몰입 중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무과목 교육이 좀 더 사례 위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과 실습교육이 실질적으로 현장실무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책적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new police education will affe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Central Police Academy, the new policemen(288th newly appointed officers) were surveyed as a survey of educational satisfaction(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facilities, teaching facilities), and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satisfaction has shown that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nvolvement. Second, the teaching 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factors contributing to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Thir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eaching ability h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factors involved in organizational involvement, and education courses and educational facilities have shown significant effects on continuance commitment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for working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in a more case-oriented instruction, and the practice of on-the-job training is required to ensure practical hands-on lear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란.이재만 (2008), 여행업 종업원 교육훈련이 내부환경요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8(4), 255-263. https://doi.org/10.5392/JKCA.2008.8.4.255
  2. 김명희.이영환.전희준 (2010). 공공서비스기관 교육훈련이 학습의 전이수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조직지원과 감정노동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3(5), 2523-2541.
  3. 김봉규 (2006). 관광호텔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광학연구, 30, 217-236.
  4. 김상운 (2012). 경찰직무전문교육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성동 (2003). 리더십유형이 집단적, 개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6. 문경환 (2007). 경찰의 사이버학습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경찰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18(1), 25-54.
  7. 박소연 (2007). 항공사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실무전이 연구. 관광경영학연구, 11(1), 23-48.
  8. 신정하 (2006). 호텔종사원 교육훈련의 전이성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안동현.박영만.이종환 (2013). 경찰관의 교육훈련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902-912.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902
  10. 유기현 (1986). 인사관리론, 서울: 무역경영사.
  11. 이동현.김현정 (2013). 경찰관 직무만족과 조직몰임간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경찰관을 대상으로, 한국경찰학회보 15(4), 93-121.
  12. 이동형.이형우 (2015). 경찰 인적자원관리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와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60, 179-206.
  13. 이상원 (2002). 경찰관의 개인적 특성 및 교육훈련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초급간부 경사.경위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4, 135-157.
  14. 이상원.박제일 (2008) 경찰관의 성격 및 창의적 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6, 209-228.
  15. 이은용.황정현.이수범 (2011). 교육훈련요인에 따른 교육훈련 전이,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5(6), 275-294.
  16. 이황우.조병인.최응렬 (2006). 경찰학개론.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임명순 (2005). 경찰교육훈련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민간경비학회보, 5, 157-181.
  18. 황세웅.이선범.김홍훈 (2010). 경찰교육훈련과 직무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 24(2), 1-27.
  19. Alderfer, C. P. (1972).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New York: Free Press.
  20. Brief, A. P., & Weiss, H. M. Organizational behavior: Affect in the workpla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279-307.
  21. Buchanan II, B.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 533-546.
  22. Buckley, R. & Caple, J. (1985). A 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ining, Kogan Page, London.
  23. Camp, S. D. Assess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An event history approach. The Prison Journal, 74(3), 279-305. https://doi.org/10.1177/0032855594074003002
  24. Finegan, J. E. (2000). The impact of person and organisational values on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73, 149-169.
  25. Fisher D. (2000). Mood and emotions while working: Missing pieces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 185-202.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200003)21:2<185::AID-JOB34>3.0.CO;2-M
  26. Grove, D., Ostroff, C. (1991). Training evaluation, In Wexley KN (Ed.), Developing Human Resources. ASPA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Washington.
  27. Grusky, O. (1996). Career mo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0, 470-499.
  28.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IL: Rand McNally.
  29. Mathieu, J. E., & Zajac, D. M. (1990).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08, 171-197. https://doi.org/10.1037/0033-2909.108.2.171
  30. Meyer, J. P., & Allen, N. J. (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 61-89. https://doi.org/10.1016/1053-4822(91)90011-Z
  31. Morrow, P. C. (1983). Concept redundancy in organizational research: the case of work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 486-500. https://doi.org/10.5465/amr.1983.4284606
  32. Mowday, R. T., Porter, L. W., & Steers, R. M.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24-247.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33. Osborne, R. N., Schermerhorn, J. R., Jr. & Hunt, J. H. (1972). Managing Organizational Behavior, N.Y.: John Willey and Sons Inc.
  34. Roberg, R. R., Kuykendall. J., & Novak, K. (2002). Police Management, 3rd ed.(Los Angeles: Roxbury)
  35. Tomas, P., Doss, J. J., and Scott, K. S., "Relationships between accoun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trust".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3, No.3(2002), pp. 307-323. https://doi.org/10.1002/hrdq.1033
  36. Stevens, J. M., Beyer, J. M., & Trice, H. M. (1978). Assessing personal role and organizational predictors of manageri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1, 370-391.
  37. Weiss, H. M., & Cropanzano, R. (1996). Affective events theory: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struc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ffective experiences at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