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조선건국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성리학의 도입과 그 모태가 되었던 유학은 우리의 생활과 학문, 사상의 근원이 되었다. 또한 이들 학문의 주창자인 공자(孔子), 맹자(孟子), 자사(子思), 주자(朱子) 등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최고의 선이라 여기었다. 그들 중 자기 수행의 길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이는 주자이며, 이(理)와 기(氣)의 발현과 그 관찰을 통한 심성(心性)의 체득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진리의 체득을 위한 수신의 장소와 도구로서 산과 물이 있는 자연을 택하였고, 이러한 존주자(尊朱子), 학주자(學朱子)의 신념이 조선유학자들의 기본적 사상과 실천 철학이 되었고, 위정척사파의 유중교도 옥계구곡을 명명하고 경영하였다. 이러한 사상적 바탕으로 조선후기 유학자인 유중교가 설정한 옥계구곡의 위치를 비정하기 위한 본 연구는 옥계구곡의 위치 비정을 위한 기본적인 텍스트인 성재 유중교의 "가릉군옥계산수기(嘉陵郡玉溪山水記)"를 기본으로 하여 그 장소 추정을 위한 기본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옥계구곡 현장을 10회 답사하여 그 위치를 추정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옥계구곡에서 태어나고 자란 원주민 3인에게각각 그 위치를 탐문 하여 추정하였다. 연구로 비정된 각 곡의 위치는 공간정보자료로서 좌표와 사진을 취득하였으며, 이러한 자료는 향후 옥계구곡의 스토리텔링이나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경우 기초적이고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옥계구곡의 곡(曲)을 지정하는데 기초적 자료가 되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Joseon, and its root Confucianism have become the origin of the life, scholarship and ideology of the Korean people. Additionally, it was considered the best to follow the teachings of the discipline's advocates including Confucius (孔子), Mencius (孟子), Zisi (子思), ZhuXi (朱子). Among these teachers, ZhuXi was the one who overtly presented the way of self-discipline, of which goal lies in attaining the character by the manifestation of vitality (氣 ki) and rationality (理 i) and contemplating on them. As he regarded natural places with mountains and waters as stages and tools for practicing toward the enlightenment,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also followed his example in the spirit of honoring and studying ZhuXi (尊朱子, 學朱子), which became the basic thoughts and practical philosophy among them. Ryu, Junggyo, the neo-Confucian dogmatist, was no exception to applaud the nature, as he designated and ruled Okgye Gugok. On the basis of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geographic places of Okgye Gugok, which was set by Ryu, Junggyo, a Confucian scholar in late-Joseon perio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basic data, starting from Gareung-gun Okgye Sansugi(嘉陵郡玉溪山水記) which is the primary text authored by Seongjae Ryu, Junggyo. The literature study is followed by ten field trips to the estimated locations of Okgye Gugok, and verification of the estimations by three locals who were born and raised in Okgye Gugok. Coordinates and photographs were obtained as spatial data for each location of nine Gok(曲) estimated through this study. They will serve as a primary and critical data for story-telling and tourism resource in Okgye Gugo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the primary data for designating the locations of Gok(曲) in Okgyeo Gug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