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anryeung Pattern Method - Focusing on the 5th Joseon Dynasty -

단령 제도법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5기 단령을 중심으로 -

  • 장민정 (성신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Received : 2017.07.10
  • Accepted : 2017.08.18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to preserve the form of traditional costumes and to set the prototype for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various Korean costumes.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analyze the Danryeung pattern methods in textbooks in order to propose a prototype of Korean costumes and a system suitable for modern men, focusing on the Danryeung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method examined the flow of the Danryeung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and the portrayal of the appearance of people of the time through portraits and pain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surements and patterns of textbooks' Danryeung based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5th Joseon Dynasty. From that, the study will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and artifacts and will propose a Danryeung system for the body shape of modern males in their 30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propose the guideline for the design modification of Korean costume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subsequent produc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제, 홍나영, 남윤자, 조효숙, 황의숙. (1999). 20대 남자 한복 기성복화를 위한 바지.저고리 패턴개발. 복식, 47(-). 61-71.
  2. 강순제, 김미자, 김정호, 백영자, 이은주, 조우현, 조효숙, 홍나영. (2015). 한국복식사전. 서울: 민속원.
  3. 경기도박물관. (2008).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 명품선. 경기: 경기도박물관.
  4. 구혜자. (2002). 한복만들기 구혜자의 침선노트(II).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5.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6. 김문자. (2015). 한국복식사 개론. 경기: 교문사.
  7. 김미자. (1982). 우리나라 공복에 관한 연구. 복식, 6(-). 173-189.
  8. 김분칠. (1989). 한복구성학. 서울: 교문사.
  9.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10. 김신애, 장민정. (2015). 조선시대 남자 포에 나타난 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패션과 니트, 13(2). 10-21.
  11. 김정호, 이미석. (2004). 우리 옷 만들기(제2개정판). 대전: 한남대학교 출판부.
  12. 김희숙. (1988). 컴퓨터에 의한 한복 여자 두루마기 원형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3). 319-331.
  1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의 유물.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1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4). 유당 신태관 일가 유물. 경기: 단국대학교 출판부.
  1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5). 분홍 단령의 비밀. 서울: 민속원.
  16. 랭키닷컴. (2016. 12. 30). 온라인 서점 순위. 자료검색일 2017. 1. 28, 자료출처 http://www.rankey.com/rank/rank_site_cate.php.
  17. 문공화. (2004). 조선시대 단령의 착용규례와 실례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문화재(2) 복식.자수편. 서울: 문화재청.
  19. 박선영. (2001). 전통한복구성학. 서울: 수학사.
  20. 박성실. (1994). 천안출토 풍산홍씨 유물소고. 복식문화연구, 12(-). 119-147.
  21. 박성실, 조선희, 이해준. (2004). 중요민속자료 실태조사서. 문화재청. 121-167.
  22. 박영순. (1994). 전통한복구성. 서울: 신양사.
  23.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 (2005).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서울: 민속원.
  24. 사이즈코리아. (2010).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3차원형상측정 조사사업 보고서(20-39세). 충북: 국가기술표준원.
  25. 서옥경. (2002). 한국의상구성. 서울: 경춘사.
  26. 신혜성, 홍나영. (2007). 풍속화에 나타난 혼례용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6). 23-35.
  27. 심화진, 장민정, 최은경, 조미나, 윤혜성, 오석란, 이혜영. (2015). 우리 옷 만들기(개정2판).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8. 안명숙, 김용서.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예학사.
  29. 엄란이, 이예진. (2014). 20대 후반 여성의 상반신뒷면 형상에 따른 저고리 원형 개발. 한국생활과학회지, 23(6). 1191-1204.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191
  30.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31. 유희경, 김문자. (1981). 한국복식문화사. 경기: 교문사.
  32.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과 상복 제도변천. 복식, 55(6). 38-50.
  33.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 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34. 이주원, 김월계. (2013). 이론을 체계화한 한복구성학. 서울: 경춘사.
  35. 이춘경. (2005). 전통 단령과 현대단령에 관한 실증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옥임. (2010). 한복두루마기 원형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4). 71-81.
  37. 조윤숙, 홍선옥. (2011). 한복구성. 서울: 경춘사.
  38. 최은수. (2004).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