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상숙(2005). 수학을 하려면 엑셀을 밟아라. 서울: 경문사.
- 고상숙, 노지연(2007). 중학교 기하단원의 개방형문제에서 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의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303-322.
- 고상숙, 문혜령(2010). GSP를 활용한 삼각함수에서 학습부진아의 수학화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 49(3), 353-373.
- 고상숙,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유기종, 이순용 외(2013).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 기반 조성,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고호경, 고상숙(2002). 컴퓨터 환경에서 개념 형성과정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13(1), 381-408.
-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 구자옥, 김성숙, 임해미, 박혜영, 한정아(2015).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본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6-2.
- 김남희(2006).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Cabri3D의 교육적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6(4), 345-366.
- 김선희(2006).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수학학습평가 강좌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안. 학교수학, 8(3), 301-326.
- 류희찬, 신동선(1999). 수학교육과 컴퓨터. 서울: 경문사.
- 류희찬, 손홍찬(2005), 함수 지도와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5(4), 505-522.
- 박미영(2015).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연구. 학교수학, 17(2), 331-353.
- 박은아, 이문복, 이상하, 최혁준, 서민희, 권영빈(2012).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 능력 평가 도구 개발 및 시범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5-1.
- 박지현, 권오남(2012). PISA의 평가틀에서 컴퓨터기반 수학평가에 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3-218.
- 박지현, 권오남(2013). 국내 분과 발표: 컴퓨터 기반 수학 평가 문항 설계 원리 설계,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9-50.
- 백순근, 임철일, 김혜숙, 유예림, 김미림, 이소라(2010). 웹기반 수행형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1(2), 223-246.
- 손홍찬(2011).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학교수학, 13(1), 107-125.
- 손홍찬, 도정철(2015). GSP를 활용한 기하수업에서 수준별 학생의 논증기하와 해석기하의 연결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4), 411-429.
- 양은경, 신재홍(2014). 개방형 기하 문제에서 학생의 드래깅활동을 통해 나타난 수학적 추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1), 1-27.
- 윤인준, 고상숙(2012).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해석기하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의 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관계적.도구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643-671.
- 이영현, 고형주, 김명렬(2001). 웹 기반 평가를 위한 사용자 가독성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집, 4(2), 125-133.
- 이원규, 김영기, 김현철, 서순식, 전우천, 한선관, 김영애, 김혜숙, 장시준(2007).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 연구: 초등학생용.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이중권, 장경윤, 황우형(2001).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Geometer's Sketchpad)의 활동 자료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1(1), 193-206.
- 이창연, 황우형(2010). 반힐레 이론과 GSP를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에 관한 연구: 사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1), 85-109.
- 임해미(2013). OECD PISA 의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대응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29-139.
- 임현정, 고상숙(2016). GeoGebra 를 활용한 반힐레 기하교수법에서 도구화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0(4), 435-452.
- 임형준(2017). 자동생성문항의 설계 및 문항반응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미라(2017). 중학교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지민, 동효관, 옥현진, 임해미, 정혜경, 손수경, 배제성(2012). OECD 국제 학업성취도평가 연구: PISA 2012 본검사 시행 보고서. 연구보고 RRE, 3-1.
- 최인선(2013). 수학에서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9-219.
- Arzarello, F., Olivero, F., Paola, D., & Robutti, O. (2002). A cognitive analysis of dragging practises in Cabri environments.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34, 66-72. https://doi.org/10.1007/BF02655708
- Baccaglini-Frank, A. & Mariotti, M. A. (2010). Generating conjectures in dynamic geometry: The maintaining dragging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5(3), 225-253. https://doi.org/10.1007/s10758-010-9169-3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구광조.오병승.류희찬(역) (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 OECD (2012). PISA 2015 Survey Design. The 34th meeting of the PISA Governing Board.
- Pehkonen, E. (1997). Use of Open-Ended Problems in Mathematics Classroom. Research Report 176. University of Helsinki, Dept. of Teacher Education, PO Box 38 (Ratakatu 6A), Helsinki 00014, Finland.
- Trouche, L. (2004). Managing the complexity of human/machine interaction in a computerized learning environments : Guiding students' command process through instrumental orchest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9, 281-307. https://doi.org/10.1007/s10758-004-3468-5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1081&cid=40942&categoryId=32843
- https://en.wikipedia.org/wiki/Dependency
- https://en.wikipedia.org/wiki/Invariant
- https://en.wikipedia.org/wiki/P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