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of the Possibility to Construct the Items for Computer-based Assessment in Mathematics : Focused on Fence Items in PISA2012 or 2015 within an Environment of Dynamic Geometric Software

컴퓨터기반수학평가(CBAM)의 문항 제작 가능성 탐색: 동적 기하소프트웨어 환경에서 PISA2012 또는 2015 울타리 문항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9.11
  • Accepted : 2017.09.26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Since PISA2006, the computer based assessment in mathematics(CBAM)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s and at last PISA2015 used all items in CBAM for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we focused on which important properties were considered in constructing geometric 'fence items' used in PISA 2015 to find the future direction over our teacher education, especially for constructing 'computer based assessment item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fence items on three components such as dependency, invariant, and path found in dragging activities, within a computer environment using the dynamic Geometry Software, GSP. Also, for the future, we provided an open-ended problem related to the fence items, which we could use as the merit of computer-based environment.

PISA2006부터 부분적으로 도입된 컴퓨터기반 평가가 PISA2015부터 전면 도입됨에 주목하고, 앞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로 나아가는 시점에서 컴퓨터기반 수학 문항 제작을 위한 가능성을 조사하여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PISA의 문항을 포함하여 컴퓨터기반 평가에 관한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컴퓨터기반 문항 중 PISA의 울타리 문항을 GSP로 구현한 후 지필평가에서의 환경과 가장 다른 점인 Dragging 활동을 중점으로 그 특성인 종속성, 불변성, 경로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히 평가에서도 컴퓨터 환경의 장점인 개방형문제로의 확장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2005). 수학을 하려면 엑셀을 밟아라. 서울: 경문사.
  2. 고상숙, 노지연(2007). 중학교 기하단원의 개방형문제에서 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의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303-322.
  3. 고상숙, 문혜령(2010). GSP를 활용한 삼각함수에서 학습부진아의 수학화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 49(3), 353-373.
  4. 고상숙,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유기종, 이순용 외(2013). 교구 및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중심 평가 기반 조성,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5. 고호경, 고상숙(2002). 컴퓨터 환경에서 개념 형성과정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13(1), 381-408.
  6.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7. 구자옥, 김성숙, 임해미, 박혜영, 한정아(2015).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본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6-2.
  8. 김남희(2006).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Cabri3D의 교육적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6(4), 345-366.
  9. 김선희(2006).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수학학습평가 강좌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안. 학교수학, 8(3), 301-326.
  10. 류희찬, 신동선(1999). 수학교육과 컴퓨터. 서울: 경문사.
  11. 류희찬, 손홍찬(2005), 함수 지도와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5(4), 505-522.
  12. 박미영(2015).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연구. 학교수학, 17(2), 331-353.
  13. 박은아, 이문복, 이상하, 최혁준, 서민희, 권영빈(2012).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 능력 평가 도구 개발 및 시범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5-1.
  14. 박지현, 권오남(2012). PISA의 평가틀에서 컴퓨터기반 수학평가에 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3-218.
  15. 박지현, 권오남(2013). 국내 분과 발표: 컴퓨터 기반 수학 평가 문항 설계 원리 설계,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9-50.
  16. 백순근, 임철일, 김혜숙, 유예림, 김미림, 이소라(2010). 웹기반 수행형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1(2), 223-246.
  17. 손홍찬(2011).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학교수학, 13(1), 107-125.
  18. 손홍찬, 도정철(2015). GSP를 활용한 기하수업에서 수준별 학생의 논증기하와 해석기하의 연결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4), 411-429.
  19. 양은경, 신재홍(2014). 개방형 기하 문제에서 학생의 드래깅활동을 통해 나타난 수학적 추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1), 1-27.
  20. 윤인준, 고상숙(2012).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해석기하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의 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관계적.도구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643-671.
  21. 이영현, 고형주, 김명렬(2001). 웹 기반 평가를 위한 사용자 가독성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집, 4(2), 125-133.
  22. 이원규, 김영기, 김현철, 서순식, 전우천, 한선관, 김영애, 김혜숙, 장시준(2007).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 연구: 초등학생용.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3. 이중권, 장경윤, 황우형(2001).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Geometer's Sketchpad)의 활동 자료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1(1), 193-206.
  24. 이창연, 황우형(2010). 반힐레 이론과 GSP를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에 관한 연구: 사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1), 85-109.
  25. 임해미(2013). OECD PISA 의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대응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29-139.
  26. 임현정, 고상숙(2016). GeoGebra 를 활용한 반힐레 기하교수법에서 도구화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0(4), 435-452.
  27. 임형준(2017). 자동생성문항의 설계 및 문항반응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장미라(2017). 중학교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조지민, 동효관, 옥현진, 임해미, 정혜경, 손수경, 배제성(2012). OECD 국제 학업성취도평가 연구: PISA 2012 본검사 시행 보고서. 연구보고 RRE, 3-1.
  30. 최인선(2013). 수학에서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9-219.
  31. Arzarello, F., Olivero, F., Paola, D., & Robutti, O. (2002). A cognitive analysis of dragging practises in Cabri environments.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34, 66-72. https://doi.org/10.1007/BF02655708
  32. Baccaglini-Frank, A. & Mariotti, M. A. (2010). Generating conjectures in dynamic geometry: The maintaining dragging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5(3), 225-253. https://doi.org/10.1007/s10758-010-9169-3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구광조.오병승.류희찬(역) (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34. OECD (2012). PISA 2015 Survey Design. The 34th meeting of the PISA Governing Board.
  35. Pehkonen, E. (1997). Use of Open-Ended Problems in Mathematics Classroom. Research Report 176. University of Helsinki, Dept. of Teacher Education, PO Box 38 (Ratakatu 6A), Helsinki 00014, Finland.
  36. Trouche, L. (2004). Managing the complexity of human/machine interaction in a computerized learning environments : Guiding students' command process through instrumental orchest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9, 281-307. https://doi.org/10.1007/s10758-004-3468-5
  3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81081&cid=40942&categoryId=32843
  38. https://en.wikipedia.org/wiki/Dependency
  39. https://en.wikipedia.org/wiki/Invariant
  40. https://en.wikipedia.org/wiki/P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