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ness of math-social science conjoined program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in mathematics

고등학교 사회 수학 융합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Received : 2017.06.13
  • Accepted : 2017.09.0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study in this paper considers how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and interest in mathematics could be promoted by conjoining the learning of ma thematics with the learning of social science topics. Survey instrument was dev eloped to measure student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social science subje cts and to evaluate student beliefs on learning mathematics embedded in social science topics. Data were collected from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y admi nistering pre- and post-tests: students were intervened with examples of math problems embedded in certain social contex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high sc hool students' experience of solving mathematics problems embedded in social c ontexts positively affects the promotion of their attitudes toward and beliefs on both mathematics and social science subjects.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흥미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일환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편적 교과 지식의 학습 보다는 융합적인 접근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지식을 적용할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따라 사회와 수학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 수학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사전 사후 설문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사회 수학 프로그램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을 수학적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적용 결과 학생들은 수학 학습 및 사회 학습에 대한 태도, 수학 학습 및 사회 학습 가치 인식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호경(2005). 수학교육에서 실험 수업의 의의와 특성.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1), 77-87.
  2. 고호경 외(2014). 중.고등학교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별책부록 II RRM 2014.
  3. 고황경.김재원(2013). 중학교 미술과와 수학과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적용 연구. 造形敎育, 46, 1-27.
  4.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5. 교육과학기술부(2011). 초 중등학교교육과정총론.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011-361호 [별책].
  6. 김권숙, 최선영(2012). 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16-226.
  7. 김명숙, 박정, 김영정, 민찬홍(2002). 사고력 검사 개발연구(II); 비판적 사고력 검사 제작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RRE 2002-3.
  8. 김유경.방정숙(2015). 수학 기반 융합 수업 모형의 가능성 탐색. 초등수학교육, 18(2), 107-122.
  9. 김윤정(2013). 국어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프로그램의 활용성 연구. 韓民族語文學, 63, 95-124.
  10. 방선희(2011).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7(1), 61-83.
  11. 백윤수 외(2012). 융합인재교육(STEAM)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2012-12.
  12. 서민규(2010). 비판적 사고 교육,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양교육연구, 4(2), 129-139.
  13. 윤초희(2016).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17(4), 1-35.
  14. 이광성(2015). 비판적 사고 기능을 활용한 수업이 고급사고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시민교육연구, 42(3), 123-145.
  15. 이미경 외(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 연구보고RRE 2004-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이미경 외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4.
  17. 이민희.임해미(2013).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159-177.
  18. 이근호 외(2013). 2013 교육과정, 교육평가 국제동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3-97-4.
  19. 전미숙.박문환(2015).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수학교육, 18(2), 91-106.
  20. 정길용(2005). 비판적 사고에 관한 두 가지 접근 : 사회과교육의 목적 정립을 위한 시론. 사회과교육연구, 12(2), 133-157.
  21. 정윤회.김성준(2013).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한 초등수학 수업자료 개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745-770.
  22. 조지민.김수진.이상하.김미영.옥현진.임해미(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S/TIMSS) : TIMSS 2011 본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1-4-1.
  23. 황갑진(2009). 비판적 사고와 사회과 탐구방법. 사회과교육연구, 16(4), 83-99.
  24. Dewey, J. (1910). How we think. NY: Dover Publications, Inc.
  25. Hug. J. W., Kim. J., & Shin. N. (1999). Nature-based Critical Thinking Assessment.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ugust, 26-30
  26. Hurst, J. Kinney, M., & Weiss, S(1983). The Decision Marking Process. In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 College and University Faculty Assemble,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studies. East Lans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7. Rodgers. C. (2002). Defining Reflection: Another look at John Dewey and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College Record. 104(4). 842-866. https://doi.org/10.1111/1467-9620.0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