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Friendly Residential District Plan Based on Site Suitability Analysis for Solar Energy - A Case Study of Daegu -

태양광 적지분석에 기반한 친환경 주거단지 계획 -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

  • SON, Jeong-Min (Department of Architecture, Keimyung University) ;
  • EUM, Jeong-He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eimyung University)
  • 손정민 (계명대학교 건축학과) ;
  • 엄정희 (계명대학교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 Received : 2017.08.24
  • Accepted : 2017.09.27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suitable site using GIS for solar energy harvesting for an administrative district in Daegu, which aims at becoming a solar-powered city. From this result, the ecological housing complex was planned on a solar theme in the real site. For this analysis, various indicators and standard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the location, exclusion, and class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itable area was $153.95km^2$ and 17.6% for Daegu area, and the highest suitable area appeared to Dalseong-gun. Finally, using suitable site analysis results, we selected the site of Sinseo housing area in Dong-gu and we planned the ecological housing complex for solar energy.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 data for the Daegu solar business and its establishment by considering various indicators for analysis of suitable areas in solar energy. Also, the result of the ecological housing complex plan would be helpful in promoting Daegu as a solar-powered city.

본 연구에서는 솔라시티를 지향하고 있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GIS 프로그램을 이용한 태양광 적지분석을 통해 적지유형을 분류하고, 구군별 적지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대상지를 선정하여 솔라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주거단지를 계획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사례연구 고찰을 통해 태양광시설 설치 조건 및 기준을 확립하여, 적지 지표를 선정하였고, 선정한 지표를 입지조건, 배제조건, 등급조건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 태양광 적지면적은 총 $153.95km^2$로 대구광역시 면적 대비 17.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달성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적지 지도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에 위치한 단독주택단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솔라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단지계획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태양광 적지분석에 있어 다양한 지표를 고려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구광역시 태양광 사업 및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계획한 친환경 주거단지는 솔라시티 대구광역시의 이미지를 명확하게 홍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hoi, B.G., Y.W. Na, J.I. Lee, and S.D. Jang. 2010. Location analysis for new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n Incheon using GI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Conference. pp.33-34 (최병길, 나영우, 이정일, 장성덕. 2010. GIS를 이용한 인천지역의 신재생에너지시설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3-34쪽).
  2. Daegu Metropolitan City. 2015. Daegu solar city master plan. p.174 (대구광역시. 2015. 대구광역시 제2차 솔라시티 기본계획. 174쪽).
  3. Daegu Metropolitan City. 2016. Daegu statistical yearbook (대구광역시. 2016. 대구통계연보) Available at: http://statistics.daegu.go.kr(Accessed July 3, 2017).
  4. Jang, S.D. 2011. A site selection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y using GIS in Incheon. Master's Thesis, Univ. of Incheon, Incheon, Korea. p.60 (장성덕. 2010. GIS를 이용한 인천지역 신재생에너지 시설의 최적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쪽).
  5. Joo, S.M. and J.H. Choi. 2012. A study on the selection of optimal location for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11(2):173-183 (주승민, 최진호. 2012. 솔라 시티 대구를 위한 태양광 발전시설의 최적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연구원 11(2):173-183).
  6. Jung, H.J. 2008. Human-ecological approach on solar project of Daegu city. Academia Koreana 36:65-90 (정혜진. 2008. 대구시솔라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인문생태적인 접근. 한국학논집 36:65-90).
  7. Kim, J.D. and D.H, Han. 2007. Economic-environmental analysis of solar city Daegu projects.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9(4):49-62 (김종달, 한동희. 2007. 솔라시티대구 사업의 경제성.환경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4):49-62).
  8.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6. Yearbook of regional energy statistics. p.298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지역에너지통계연보. 298쪽).
  9. Kwon, Y.H., J.Y. Kim, and M.J. Lee. 2008.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the siting of solar and wind power plan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olicy Report 2008(2):1-157 (권영한, 김지영, 이민주. 2008.환경성을 고려한 태양광, 풍력발전소 입지선정 가이드라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보고서 2008(2):1-157).
  10. Lee, J.Y. and I.J. Kang. 2010. A study of PV system facilitie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2):99-105 (이지영, 강인준. 2010. GSIS 기술을활용한 태양광시설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8(2):99-105).
  11. Lee, K.R. and W.H. Lee. 2015. Solar power plant location analysis using G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1-13 (이기림, 이원희. 2015. GIS와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입지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4):1-13).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4.001
  12. Lee. S.K. and S.J. Ahn. 2012.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the photovoltaic industry in Daegyeong economic region.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13(4):1-23(이성근, 안정조. 2012. 대경광역경제권 태양광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3(4):1-13).
  13. Na, M.J. 2016. Deduction of construction standards and assement of post environment change for eco-friendly PV power plants using abandoned salt field. Ph.D. Thesis, Univ. of Kyungpook, Korea. p.1 (나명진. 2016. 폐염전을 활용한 친환경 태양광 발전소 설치기준 도출 및 환경변화 예측.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쪽).
  14. Park, J.I. 2011. A study on the suitability analysi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GIS. Ph.D. Thesis, Univ. of Mokpo, Mokpo, Korea. pp.34-36 (박정일. 2011. 상관분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적지분석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36쪽).
  15. Park. J.I., M.H. Park, and S.Y. Choi. 2012. A study on GIS based suitability analysis of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sing correlation analysis.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28(2):91-107 (박정일, 박민호, 최승영. 2012. 상관분석을 이용한 GIS기반 태양광발전소 적지분석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8(2):9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