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예비교사 대상의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The Effect of Social Emotion Learning on Teacher character of Specialized Pre-service teacher

  • 김민웅 (충남대학교 공업기술교육학과) ;
  • 박제영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 최진선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 김민정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 김태훈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투고 : 2017.07.31
  • 심사 : 2017.09.25
  • 발행 : 2017.09.30

초록

최근 사회적으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에 교원양성 단계에서는 교직 적 인성 검사를 실시하여 인성적 역량을 갖춘 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일반고에 비해 부정적 자아개념이 강하고 일자리 조기진입 비중이 높은 특성화고학생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특성화고 교사는 일반고 교사에 비해 학생의 인성교육 함량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예비교사 대상의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6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C 대학의 특성화고 예비교사 57인이며, 실험집단 27명에게는 사회정서학습을 통제집단 30명에게는 일반 교과교육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때 수업 내용은 1~2차시의 경우 '자기인식'을, 2~3차시의 경우 '자기관리'를, 4차시의 경우 '관계조율'을, 5차시의 경우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6차시의 경우 '대인관계'를 다루었으며 평균적으로 90분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도적 표집 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집단 간 사전 점수의 차이가 사후 점수의 차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사전 점수를 동일하도록 보정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교직인성 사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As the necessity of humanistic education has recently been socially emphasized, aptitude and character test has been conducted in the stage of training instructors to focus on making them equipped with proper ability of humanistic education. Especiall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with stronger negative concept of ego along with higher proportion of students looking for job in early ages compared to regular high schools, instructor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need to pay more attention on humanistic education of students compared to those in regular high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has developed social emotion learning (SEL) of preliminary teacher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developed programs on characters in teaching positions of preliminary instructor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is study, ADDIE model has been used developing SEL programs, and developed programs were comprised of total six sessions. Social emotion learning has been performed on 27 preliminary teachers in experiment group, and regular academic education courses were given on 30 preliminary teachers in control group. At this time, as for class contents, 'self-recognition' has been dealt with in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followed by 'self-management' in the second and third sessions, 'adjustment in relationship' in the fourth session, 'responsible decision making' in the fifth sess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in the sixth session. Classes have been conducted for 90 minutes in average. Since intentional sampling method has been used in this study, difference of pre-scores between groups might influence on the difference on post-scores. Therefore, ANCOVA that adjusted the pre-scores to be consistent has been utilize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ost-scores in characters in teaching position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창룡, 배선아(2011).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역량강화를 위한 직장예절 교육프로그램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201-218.
  2. 교육부(2014. 12. 18). 스펙.학력이 아닌 능력중심사회 조성방안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3.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 세종: 교육부.
  4. 권동택 외(2012). 교원양성, 임용, 연수에서의 인성교육강화 방안 연구 -발간등록번호 충북-2012-168. 교육과학기술부.충청북도교육청.
  5. 김경령, 서은희(2014). 예비교사의 교직인성 자기점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117-139.
  6. 김길순(2015).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미간행
  7. 김녕(2016). '인성교육진흥법'의 발상과 함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생명연구, 39, 55-102.
  8. 김미진, 홍후조(2015). 감성.사회성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5), 95-117.
  9. 김민웅 외(2016).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 분석. 직업교육연구, 35(2), 59-87.
  10. 김민웅, 김태훈(2017a).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인성 수준 조사 분석. 직업교육연구, 36(1), 23-46.
  11. 김민웅, 김태훈(2017b).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직업교육연구, 36(3), 87-106.
  12. 김창환 외(2015). 한국의 교육자표.지수 개발 연구(IV): 교원역량지수 개발 연구(연구보고 RR2015-2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3. 김현진 외(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교육방안 연구(연구보고 RRI 2010-16).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노은호(2013).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인성과 핵심역량 비교 분석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3(3), 205-221.
  15. 도승이(2015). 사회정서학습 측면에서 인성교육과 인성의 측정. 교육심리연구, 29(4), 719-735.
  16. 문승태, 양복만(2007). 교사의 근무학교에 따른 직업윤리, 조직몰입 및 조직효과성과의 인과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143-166.
  17. 미국정신분석학회(2002). 정신분석용어사전(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8. 박성익 외(2015).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9. 박영옥 외(2012). SPSS를 활용한 통계자료분석. 서울: 경문사.
  20. 박종덕(2014). 인성교육과 교과교육: 인성교육은 가능하고 필요한가?. 도덕교육연구, 26(1), 177-194.
  21. 박혜경(2015). 논문 (論文): 인성교육진흥법의 내용과 쟁점 논의. 교육법학연구, 27(3), 77-100.
  22. 서경혜 외(2013).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과학연구, 44(1), 147-176.
  2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11).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24. 성진아(2012). 사회성-감성 교육이 교사들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25. 윤미선(2015). 자기조절과 타인이해에 기반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2015 한국교육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85-106.
  26. 윤해림, 박지연(2017).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장애형제를 둔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사회적 행동,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8(2), 5-33.
  27. 이경민, 최윤정, 박순정(201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73-96.
  28. 이경희, 강경리(2015). 예비중등교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사고개발, 11(3), 107-141.
  29. 이인재(2016). 학교 인성교육의 체계적 접근과 교사의 역량. 윤리교육연구, 39, 271-300.
  30. 임효신, 정철영(2010).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4), 53-73.
  31. 전재선(2013).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13(4), 305-327.
  32. 전주영, 강정찬, 이상수(2014). 팀의 사회감성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산업교육연구, 29, 29-60.
  33. 정창우(2013). 사회정서학습의 이론 체계와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윤리과교육, 38, 153-172.
  34. 조난심(2015). 교과교육에서의 인성교육과 교원의 역량.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2, 135-160.
  35. 조주연 외(2003). 교직적성.인성 검사도구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36. 황혜영(2016). 국내 예비교사 인성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32(1), 139-158.
  37. 홍기칠(2006). 교직적성.인성 검사도구의 적용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22(1), 113-135.
  38. 홍정아, 박승희(2014).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지능과 또래지원에 미친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9, 213-239.
  39. Brown, P. C., Roediger, H. L., & McDaniel, M. A. (2014). Make it stick: The Science of Successful Learning. Harvard University Press.
  40. Carr, D. (2007). Character in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5(4), 369-389. https://doi.org/10.1111/j.1467-8527.2007.00386.x
  4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n. Hillsdale, New Jersey: L.
  42. Goleman, D. (2008). EQ 감성지능(한창호 역). 파주: 웅진지식하우스.
  43. Ledoux, J. (2006). 느끼는 뇌: 뇌가 들려주는 신비로운 정서이야기(최준식 역). 서울: 학지사.
  44. Merrell, K. W., & Gueldner, B. A. (2011). 사회정서학습: 정신건강과 학업적 성공의 증진 (신현숙 역). 서울: 교육과학사.
  45. Merrell, K. W. (2014). 강한 아이(김영래 역). 서울: 교육과학사.
  46. Merrell, K. W. (2015). 강한 청소년(김영래 역). 서울: 교육과학사.
  47. OECD(2016). PISA 2015 Results(DOI:10.1787/9789264266490-en).
  48. Sockett, H. (Ed.). (2006). Teacher dispositions: Building a teacher education framework of moral standards. AACTE(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for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