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 of Sagunja Temperament type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사군자 기질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차이

  • 정미영 (동명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7.07.27
  • Accepted : 2017.08.23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Sagunja Temperament. As a result of studying 35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the first, Temperament type was chrysanthemum, orchid, plum, and bamboo tempera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bilities by types of the Sagunja Temperament, there was the highest communication ability of bamboo substrat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um, orchid, and chrysanthemum. The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Sagunja Tempera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first relationship', 'claiming other people's displeasure', 'emotional support and advice' excluding self-exposure and interpersonal conflict handling.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Sagunja Tempera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that tried to reinterpret our tradition in various aspects by applying the Sagunja Temperament that matches the Korean emotion.

본 연구는 사군자 기질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간의 차이 연구이다. 부산 소재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기질 유형은 국화, 난초, 매화, 대나무 기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군자 기질 유형별 의사소통 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나무 기질의 의사소통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매화, 난초, 국화 기질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군자기질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 능력은 자기노출하기, 대인갈등 다루기를 제외한 '처음관계 맺기'와 '타인 불쾌감 주장하기', '정서적지지 및 조언하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사군자기질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한국인 정서에 맞는 사군자기질을 접목하여 우리 전통을 다양한 측면에서 재해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유미,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실업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 유현숙, 김남희, 김안나, 김태준, 이만희, 장수영, 송선영, "국가수준의 생애능력표준설정 및 학습체계 질관리 연구1," 한국교육개발원, pp.31-54, 2002
  3. 진미석, 이수영, 유한구, 채창균, 박천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p.10-48, 2007.
  4. 김학년, 윤대혁, "성격유형과 통제위치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4권 특별호, pp.65-91, 2007
  5. 장현정, 김명애,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400-41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400
  6. D. W. Keirsey, Please understand me II : Temperament character intelligence, Del Mar, California : Prometheus Nemesis book company, 1999.
  7. 이선옥, "매란국죽 사군자(四君子) 이야기-사군자란 무엇인가," 오늘의 가사문학, 제10호, pp.189-199, 2016.
  8. 이준웅 "수상 : 사군자,"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전기전자재료, 제20권, 제1호, pp.64-65, 2007.
  9. 김종구, Keirsey 이론과 외향-내향을 활용한 사군자 기질검사 개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기독교상담학, 박사학위논문, 2013.
  10. 이선옥, 선비의 벗 사군자, 파주 : 보림, 2005.
  11. 이선옥, 매란국죽 사군자(四君子) 이야기-사군자란 무엇인가, 오늘의 가사문학, 제10호, pp.189-199, 2016.
  12. 장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사군자의 상징의미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 D. Keirsey and M. Bate, Please understand me II: Character and temperament types, Prometheus Nemesis Book Company, CA., 1984. 김정택, 심혜숙, 임승환 역, 나의 모습, 나의 얼굴, 한국심리연구소, 1999.
  14. 이선옥, 사군자, 매란국죽으로 피어난 선비의 마음, 돌베개, 2011.
  15.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 교보문고, 2000.
  16. J. Warner, Networking and relationship buliding profile, HRD Press, 2007.
  17. S.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to improve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Kwangwoon, 2012.
  18.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제47권, 2003.
  19. H. Gardner, M. Kornhaber, and W. K. Wake, In telligence: multiple perspective, Wadsworth Publishing. 1995.
  20. M. Steven and M. Campion, "The knowledge, skilled ability requirements for teamwork: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ant, Vol.20, pp.503-530, Jun. 1994.
  21. T. Ju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between corporate managers' life-long education coaching leadership and its memb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Ajou University, 2011.
  22. 김혁곤, 대학생의 사회적 불안 감소를 위한 딥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92.
  23. 김은주,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가족요인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비교,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4. 김선주, 김한홍, "일부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제13권, 제3호, pp.304-313, 2013.
  25. 명성민, "물리치료사의 대인관계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제21권, 제2호, pp.123-129, 2016.
  26. 정혜선, 이기령,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데이터분석 사회, 제14권, 제5호, pp.2635-2647, 2012.
  27. 권진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4권, 제1호, pp.37-49, 2011
  28. 황보식, 장해숙,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제16권, 제3호, pp.11-26, 2016.
  29. 이어진, 최수미, "대학생의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209-224, 2015.
  30. D. Buhrmester, W. Furman, M. T. Wittenberg, and H. T. Reis,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No.6, pp.991-1008,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91
  31. 김창대, 김수임,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와 연구," 학생연구, 서울대학교 학생 생활 연구소, 제35권, 제1호, pp.83-95, 2001.
  32. 이정희, 성인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5.
  33. 채명옥,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의사소통 능력,"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7권, 제4호, pp.303-311,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4.303
  34. 박정원, 최명숙, "간호대학생의 자의식,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51-360, 2009.
  35. 권진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4권, 제1호, pp.37-49, 2011.
  36.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4.
  37.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31&newsid=01282486615959096&DCD=A00703&OutLnkCh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