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서울신문, "학교폭력 피해자 83% 학교에 1차 신고안한다," 2017년 7월 10일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711009008&wlog_tag3=naver에서 검색, 2017.
- 머니투데이, "여중생 투신자살, 교내 따돌림 당해 학교서조차 은폐했다? 충격," 2015년 7월 3일자, 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 viewer.mtn?gidx=2015070311574767752에서 검색, 2015.
- 구본용, 청소년의 집단 따돌림 원인과 지도방안,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제29권, pp.7-35, 1997.
- 장미향,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과 사회적지지 및 사회정체성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D. Olweus,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35, pp.1171-1190, 199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4.tb01229.x
- 박소현, 집단따돌림 가해.피해와 보복심리: 집단 따돌림의 유형과 성차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교육부, 2016 2차 학교폭력실태조사, 2016.
- 이경아, 이정윤, 양현정, "집단따돌림이 청소년기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문제행동, 또래기술 및 자기존중감의 미래 중재효과," 한국상담학회, 제6권, 제2호, pp.531-543, 2005.
- 조윤오,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발생실태 및 유발요인 차이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1호, pp.155-179, 2013.
- L. Whitney and P. K. Smith, "A survey of nature and extent of bullying in junior/middle and secondary schools," EducRes, Vol.35, No.1, pp.3-25, 1993.
- 선우현정, 이희선,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학교 적응간의 관계: 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호, pp.149-166, 2014.
- 이춘재, 곽금주,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3권, 제1호, pp.65-80, 2000.
- 손강숙, 주영아, "청소년 자기표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3호, pp.77-104, 2014.
- 교육부, 2013 학교폭력실태조사, 2013.
- A. Cepeda-Bentio and P. Short, "Self-concealment, avoidance of psychological sevice and perceived likelihood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pp.58-64, 1998. https://doi.org/10.1037/0022-0167.45.1.58
- K. M. Cramer, "Psychological antecedents to seeking behavior: A reanalysis using path modeling structur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6, pp.381-387, 1999. https://doi.org/10.1037/0022-0167.46.3.381
- E. H. Fisher and J. Tuner, "Orientation to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Development and research utility of an attitude sale,"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35, pp.75-90, 1970.
- A. E. Kelly and J. A. Achter, "Self-concealment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2, No.1, pp.40-46, 1995. https://doi.org/10.1037/0022-0167.42.1.40
- 장재홍, 오예현,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와 학생-교사관계 및 부모애착,"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643-699, 2014.
- 홍기칠, 교우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예방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제37권, pp.169-209, 2002.
- 황성숙, 학교 내 집단 괴롭힘에 대한 일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P. Heinemann, Mobbing, Oslo: Gyldendal, 1973.
- D. Olweus, Agression in the school: Bullying and whipping boys, Washington, DC: Hemisphere, 1978.
- D. Olweus, "Bullying or peer abuse at school: Facts & Interv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4, No.6, pp.196-200, 1995. https://doi.org/10.1111/1467-8721.ep10772640
- 박경숙, 손희권, 송계정, 학생의 왕따 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 윤영미, "초.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향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30-240, 2007.
- 이경희, 고재홍, "유형별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발생원인의 비교: 사회관계모형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25권, 제1호, pp.23-25, 2006.
- 송미선, 신도시 초등학교 중학년 집단따돌림 실태 및 관련변인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노경아, 백지숙,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의한 집단따돌림 유형 판별분석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제3호, pp.113-124, 2013.
- 나안숙, "초등학생 무용참여자의 집단따돌림 경험과 교우관계의 의사소통 및 지각된 소외감 간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제31권, 제1호, pp.99-119, 2014.
- 현미열, "아동기청소년기 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47-154, 2016.
- 김인선, "자기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성인의 정신 역동적 미술치료사례,"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1권, pp.15-40, 2014.
- 장태경, 취학 전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 증진을 위한 인간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노용, 김정원, "자기표현훈련 미술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교육논총, 제21권, 제1호, pp.151-183, 2007.
- 송소원, "자기표현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대인관계,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제16권, 제1호, pp.103-117, 2008.
- E. M. Jerome, B. K. Hamre, and R. C. Pianta, "Teacher-child relationships from kindergarten to six grade: early childhood predictors of teacher-perceived conflict and closeness," Social Development, Vol.18, No.4, pp.915-945, 2008.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8.00508.x
- S. J. Lee, "The relations between the students-teacher trust relationships and school success in the case of Korean middle schools," Educational Studies, Vol.33, No.2, pp.209-216, 2007. https://doi.org/10.1080/03055690601068477
- 유선, 청소년의 애착와 도움 추구 태도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E. A. Skinner, K. Edge, J. Altman, and H. Sherwood, "Searching for the structure of coping: A review and critique of catergory systems for classifying ways of cop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129, pp.216-269, 2003. https://doi.org/10.1037/0033-2909.129.2.216
- 이상균, "청소년 도움요청행위와 그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9권, pp.153-175, 2000.
- A. E. Gross and P. A. McMullen, "Models of the help-seeking process," New directions in helping, Vol.2, pp.45-61, 1983.
- 장진이, 자기 은폐(self-concealment)와 정서 표현 성향, 지각된 사회적지지 그리고 도움 추구 태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김주미, 유성경,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문화적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991-1002, 2002.
- 최은숙,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 경향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관한 일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R. F. Rakos and H. E. Schroeder,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New York: Bio Monitoring Application(BMA), 1980.
- 변창진, 김성회, "주장 훈련 프로그램," 학생지도 연구, 경북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제13권, 제1호, pp.51-85, 1980.
- 황임란, 자기표현훈련이 중학생의 자기표현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남숙경, "상담일반;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의 구인타당도 재점검," 상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007-1020, 2010.
- 임철종, 가정의 과정 환경변인과 학교생활적응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Y: Guilford Press, 2013.
- 박완성, 정구철, "집단따돌림유형에 따른 협동 및 공감기술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390-408, 2016.
- 김정원, 집단따돌림 가해-피해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손진희, 홍지영, "아동, 청소년상담: 따돌림 피해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1013-1033, 2009.
- 홍종숙, 송영혜, "놀이중심의 자기표현훈련이 고립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9권, 제2호, pp.63-78, 2005.
- 김춘애,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2학년 고립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R. F. Rakos, Assertive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training, New York: Routledge, 1991.
- P. K. Smith and S. Shu, "What good schools can do about bullying: Findings from a survey in English schools after a decade of research and action," Childhood, Vol.7, No.2, pp.193-212, 2000. https://doi.org/10.1177/0907568200007002005
- 정혜온, 중학생의 교우 관계와 집단 따돌림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장미향, 성한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경험과 사회정체성 및 사회지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1호, pp.77-87,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