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TEAM Education in Korea -Focus on From 2011 To 2016-

국내 융합인재교육(STEAM)의 연구 동향 분석 -2011~2016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7.24
  • Accepted : 2017.08.26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six years since 2011, when the STEAM started in earnest, were classified by year, content, type, subject, and center area. in 2011, when STEAM was launched, it was hard to find relevant articles, but it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ince 2013.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by the contents was development application 650(48.9%), effect analysis 394(29.6%), theory contents 179(13.5%), and actual condition recognition 107(8.0%).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by research type were quantitative research 347(34.7%), qualitative research 274 (27.4%), mixed research 379(37.9%).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by research subjects was 435(40.2%) for elementary school, 209(19.4%) for middle school, 151(14.0%) for high school, 150(13.9%) for literature, 88(8.1%) for teacher, 19(1.8%) for child, 11(1.0%) for preliminary teacher, 9(0.8%) for university and 9(0.8%) for Public. The percentage of research centered on science is the highest of 383(33.2%), while the research on art, technology, and mathematics is also 266(23.0%), 161(13.9%), 152(13.2%). In elementary science, the articles related to STEAM education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2014, unlike overall trends, and it mainly conducted research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analysis, and preferred mixed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1년 이후 6년 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물을 발표 연도, 내용, 유형, 교육 대상, 중심 영역별로 분류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STEAM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STEAM의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지난 6년 동안의 석 박사학위 논문과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총 1,000편을 수집하여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도별 분석 결과 STEAM이 시작된 2011년에는 관련된 논문을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지만 2013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구 내용별 논문 게재 편수를 살펴보면 개발 적용 650편(48.9%), 효과분석 394편(29.6%), 이론 내용 179편(13.5%), 실태 인식 107편(8.0%)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 유형별 논문 분석 결과 양적 연구 347편(34.7%), 질적 연구 274편(27.4%), 혼합 연구 379편(37.9%)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별 논문 게재 편수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435편(40.2%), 중학교 209편(19.4%), 고등학교 151편(14.0%, 문헌 150편(13.9%), 교사 88편(8.1%), 유아 19편(1.8%), 예비교사 11편(1.0%), 대학교 9편(0.8%), 일반인 9편(0.8%)순으로 나타났다. STEAM 중심 영역별 추이는 과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383편(33.2%)로 가장 높으며, 예술, 기술, 수학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 또한 각각 266편(23.0%), 161편(13.9%), 152편(13.2%)로 상당수를 차지한다. 초등 과학에서 STEAM은 전체 동향과 다르게 2014년에 연구물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주로 개발 적용과 효과분석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혼합 연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혜정(2015).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14). 과학과 교육과정 총론, 한국과학창의재단 국정도서편찬위원회
  3. 김민정, 조형숙, 김대욱(2014). 국내 초등학교 STEAM 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에서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34(4), 139-161.
  4. 김왕동(2012).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융합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5.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6. 미래창조과학부(2011). 창의적 과학기술인재대국을 위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15), 교육부.
  7. 안재홍, 권난주(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8. 안혜란, 유미현(2015).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5(3), 401-420. https://doi.org/10.9722/JGTE.2015.25.3.401
  9. 오현숙(2013). 융합 및 통합 교육 연구 분석을 통한 중등학교 STEAM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략,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윤조희(2015). 융합인재교육(STEAM) 관련 미술교육 국내 연구동향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정석, 김용권(2016). KERIS를 활용한 과학영재교육에서의 STEAM 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152-162.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152
  12. 이정재(2016). 제3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6-'20)수립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3. 이지혜(2014). 수학 중심STEAM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임청환, 오보정(2015).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1-11.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1
  15. 채동현, 문병찬, 김은정(2014). 초등과학교육에서 차시대체형 STEAM 수업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3), 327-337.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3.327
  16.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융합인재교육(STEAM) 총론 및 수업모델 개발 등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7. 한혜숙(2013).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27(4), 523-545. https://doi.org/10.7468/JKSMEE.2013.27.4.523
  18. Daniel Pink(2008). 새로운 미래가 온다, 김명철(역), 학국경제신문사.
  19. Domestic Policy Council(2006). American Competitiveness Initiative(미국 경쟁력 강화 계획),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역), 조사자료 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