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 (2014). 2009 개정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3-1. (주) 미래엔.
- 권난주 (2017).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과학 체험활동을 위한 체험장소 및 교육내용에 따른 콘텐츠 개발. 교육논총, 37(2), 1-18.
- 권난주, 안재홍 (2011). 이동과학차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 현장과학교육, 5(2), 164-173.
- 김봉수 (2004). 초등학교 교육과 박물관 교육 연계를 위한 체험학습 프로그램. 한국박물관학회지, 7, 170-188.
-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88
- 김훈희, 최호성 (2004). 지역화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조직 모형의 구안. 교육과정연구, 22(4), 113-134.
- 맹영임, 이광호, 이진원, 오민아, 이재연 (2012).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410.
- 박윤배, 정원우, 이광필, 임석훈, 박홍배 (2005). 초.중등학교 과학탐구활동 및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운용실태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28, 41-52.
- 박종규 (1987). 야외학습지도의 이론과 실제. 과학교육, 271, 41-48.
- 백소이, 노석구, 신명경 (2011). 초등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737-755.
- 양미경 (2001). 체험학습의 의미 및 조건의 탐색과 예시자료 개발. 교육학연구, 39(1), 167-196.
- 옥승현, 최선영 (2014). 영흥도 지역자원을 활용한 학교 밖 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8 (2), 356-375.
- 이병환 (2010).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역유관기관의 지원체제 정립과 활성화 방안. 교육문화연구, 16, 45-73.
- 이선경, 최지은, 신명경, 김찬종,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2004).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57-374.
- 하정화, 손주영 (2015).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청소년체험활동 활성화방안. 부산: 부산여성가족개발원.
- Catalano, R. F., Oesterle, S., Fleming, C. B. & Hawkins, J. D. (2004). The importance of bonding to school for healthy development: Findings from the social development research group. Journal of School Health, 74(7), 252-261.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4.tb08281.x
- Jarvis, T. & Pell, A. (2005).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ttitudes toward science, before, during, and after a visit to the UK National Space Cent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53-83. https://doi.org/10.1002/tea.20045
- Knapp, C. E. (2014). Place-based curricular and pedagogical models. Place-based education in a global age: Local diversity, 43-80.
- Lindsey, L. & Berger, N. (2009). Experiential approach to instruction. In C. M. Reigeluth & A. A. Carr-Chellman (Eds.),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 III, 117-142). New York, NY: Routledge.
- Manner, B. 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https://doi.org/10.5408/0022-1368-43.2.128
- Martin, S. C. (2003). The influence of outdoor schoolyard experiences on students'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and comfort levels.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5(2), 51-63. https://doi.org/10.1007/BF03173843
- Orion, N. (2003). The outdoor as a central learning environment in the global science literacy framework: From theory to practice. In V.J. Mayer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Ohio State University Press, OH, USA, pp. 53-66.
- Tal, T. & Abramovitch, A. (2013). Activity and action: Bridging environmental scienc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3(4), 1665-1687. https://doi.org/10.1007/s11165-012-9327-9
- Wurdinger, S. D. (2005). Using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classroom: Practical ideas for all educators. Lanham, MD: ScarecrowEducation.
- Zana, B. (2006). Seeing ourselves through their eyes: How do teachers regard science centers? Proceedings of the European Network of Science centers and Museums Conference, Mechelen, Belg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