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도연 (2015). 유아의 실행기능과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연희 (2014).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 및 의도적 통제의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4), 215-235.
- 김경하 (2013).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소득수준에 따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 저소득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희 (2004). 아동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 및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355-370.
-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8), 25-35.
- 김미정 (2010).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숙령, 최항준, 정경화, 이윤이 (2012). 영아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사회,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1), 551-575.
- 김은영 (2005).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훈육 방식과 아동의 심리적 적응문제 간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지윤 (2007).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지현 (2000).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 양육행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현나, 이경님 (2008). 성별에 따른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71-92.
- 김현미 (2004).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 김현주 (2009).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혜진 (2015). 부모양육행동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인지조절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혁준 (2008). 부모-자녀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아동학회지, 29(3), 15-31.
- 문혜련 (1998).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체계와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민혜영 (2003). 유아의 확산적 사고 및 정서적 기질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261-279.
- 박성연, 강지흔 (2005).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 박윤정 (2014).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재윤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지숙 (2008). 아동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진성 (2012).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5), 253-275.
- 박진성, 박은희 (2010). 유아 가족배경변인과 가족탄력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1), 203-225.
- 박진아 (2011).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 관계 관련 연구. 놀이치료연구, 15(1), 43-56.
- 서석원, 이대균 (201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지, 33(5), 279-298.
- 서주현 (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 신지연 (2011). 유아의 기질 및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2), 291-312.
- 안라리 (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희옥, 오선영, 김영희 (2007). 유아의 공격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성격 특성과 훈육방식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2), 1-22.
- 유명희, 박성연 (1992). 온순한 유아와 까다로운 유아의 울음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반응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2(2), 173-191.
- 유우영, 이숙 (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45-61.
- 이경님 (2009).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변인 및 또래에 의한 괴롭힘이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7), 1-12.
- 이경님, 유혜선 (2014).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교사-영아 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3(3), 165-190.
- 이수미, 민하영 (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19-225. https://doi.org/10.5934/KJHE.2007.16.2.219
- 이영미 (200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 가족과 문화, 21(4), 41-61.
- 이정숙, 두정일 (2008).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2), 1-17.
- 이정희 (2000). 초등학교 교사의 열린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주리 (2008). 어머니의 수용.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모형분석-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2), 57-71.
- 임지혜 (2014).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희수 (2001).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희수, 박성연 (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37-54.
- 장계림 (2010).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미희, 이지연 (2011). 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1), 35-53.
- 정은혜 (2014). 호프만의 공감이론을 바탕으로 한 인터넷 윤리교육 방법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안나 (2012). 유아의 환경변인 및 정서지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창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4(1), 49-70.
- 조용신, 정영숙 (2000).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9(3), 271-281.
- 조윤영 (2014). 걸음마기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기질 요구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채영문 (2012). 유아 아버지 배경변인과 아버지 애착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15, 83-101.
- 최미숙, 김미숙 (2005). 유아의 기질과 사회적 능력 및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간의 관계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153-172.
- 최연희 (2001). 학령 전 아동의 기질, 부모의 훈육방식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영희 (1990). 아동의 기질이 모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지현 (200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통제와의 관계. 아동교육, 10(1), 133-146.
- 최항준 (2010).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구조모형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수정 (2016).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문제행동과의 관계: 유아 탄력성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허미혜, 이정자 (2010). 사례연구: 부모-자녀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까다로운 기질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연구, 14(2), 61-77.
- 허순금 (2006).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요인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지은 (2015). 유아의 기질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의 역할.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윤세 (2007). 기질과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 분석. 열린유아교육학회지, 12(2), 49-66.
-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rom (PSI/SF). Charlottes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1(4), 407-412. doi:10.1207/s15374424jccp2104_12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 Calkins, S. D. (1994). Origins and outcom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53-72. doi:10.2307/1166138
-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 Crnic, K. A., & Low, C. (2002). Everyday stress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5, pp. 243-267). Mahwah, NJ: Lawrence Erlbaum.
- Denham, S. A., & Burton, R. (2003). Social and emotional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ming for preschoolers. NY: Kluwer/Academic Plenum.
- Denham, S. A., Zoller, D., & Couchoud, E. A. (1994). Socialization of preschoolers' emotion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0(6), 928-936. doi:10.1037/0012-1649.30.6.928
- Derryberry, D., & Rothbart, M. K. (1988). Arousal, affect, and attention as components of temperament. Journal of Personality, 55(6), 958-966. doi:10.1037/0022-3514.55.6.958
- Eisenberg, N., Liew, J., & Pidada, S. U. (2001). The relations of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with quality of Indonesian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Emotion, 1(2), 116-136. doi:10.1037/1528-3542.1.2.116
- Park, S., Belsky, J., Putnam, S., & Crnic, K. (1997). Infant emotionality, parenting, and 3-year inhibition: Exploring stability and lawful discontinuity in a male sample. Developmental Psychology, 33(2), 218-227. doi:10.1037/0012-1649.33.2.218
- Rothbart, M. K., Ahadi, S. A., & Evans, D. E. (2000). Temperament and personality: Origins and outcom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1), 122-135. doi:10.1037/0022-3514.78.1.122
- Rothbart, M. K., & Bates, J. E. (2006). Temperament. In N. Eisenberg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Vol. 3, pp. 99-166). NY: Wiley. doi:10.1002/9780470147658.chpsy0303
- Shields, A., & Cicchetti, D. (1997).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06-916. doi:10.1037/0012-1649.33.6.906
-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 Windle, M., & Lerner, R. M. (1986). Reassessing the dimension of temperamental individuality across the life span: The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 213-230. doi:10.1177/074355488612007
Cited by
- The Influence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Demand, and Mother-child Goodness-of-fits on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vol.8, pp.1, 2018, https://doi.org/10.30528/jolss.2018.8.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