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the gender's expression in the animation advertising

애니메이션 광고 캐릭터에서 나타난 젠더표현 연구

  • 유소의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예술학과) ;
  • 박성원 (호서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7.05.01
  • Accepted : 2017.06.02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n recent years, some of the brands of cosmetics in Korea have launched the BB Cream only for man. Cosmetics is not only necessary for woman and it has been accepted by the male. A programme hosted by 김기수 is aimed to teach the female how to make up. As a result, the comprehension of the gend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have been combined closely. The understanding of gender has been developed from binary opposition to the diversity of gender. The movements that were aimed at advocating feminism caused by some events reminded us of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qualization of the gender. We can see that people want to liberate themselves from the sexual stereotype through these social phenomenons. Meanwhile, animation advertising has also experienced a transformation, which is from that to shape a role under sexual stereotype to that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gender during the progress of shaping a role.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animation advertising's prosperity, what it described was based on the male. The male was the permanent theme. On the contrary, the female only played a subordinate rol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feminism, to realize self-worth of the female and to fight for the gender equality have been mentioned more and more frequently. All these factors have prompted the animation advertising to break the stereotype when shaping a new role and change the sexual stereotype in order to create new animation figures.

최근 다수한국화장품 브랜드에서 남성 BB Cream을 출시하는 등 화장품은 여성전용이 아니라 많은 남성도 사용하기 시작 하였다. 연예인 김기수는 여성 화장품 메이크업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지금 현대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젠더 스테레오타입은 2차원대립성 성별 다문화로 발전하고 있다. 2016년 서울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을 시발점으로 사회에서 여성 혐오 인식에 대한 화제도 거론되기 시작 하였다. 이 사건으로 페미니즘운동이 다시 일어났고 사회적으로 젠더 문제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졌으며 사람들은 사회 건설의 주요한 남녀평등화 문제를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현상을 통하여 대중들은 사회생활 중 스테레오타입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것을 희망하고 있고 애니메이션 광고도 남녀 젠더 스테레오타입이 남성에 치우쳐 있던것으로부터 변화되기 시작하면서 남녀 캐릭터 성별 다양화와 내용전환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애니메이션 광고가 번영하던 초기 광고들의 내용은 남성의 시각을 중심으로 스테레오타입화해서 캐릭터를 표현하였으며 남성 캐릭터를 미화하고 권력과 지위를 짊어지게 하였다. 광고 속 여성은 대부분 종속관계 역할을 맡았지만 페미니즘 운동이 부흥하면서 여성은 자아가치관과 사회평등성에 대해 욕구가 생겨나기 시작 하였다. 이런 현상들은 애니메이션 광고가 남녀 캐릭터를 디자인할 때 예전 전통을 깨뜨리고 스테레오타입이 변화된 새로운 남녀 캐릭터를 디자인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젠더 스테레오 타입의 네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60년대 Rosenkrantz,et al.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정의 관념에 대한 조사를 연구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광고 중에서 남녀 성별 표현을 조사한 결과 애니메이션 광고 중의 남녀 이미지 성별표현의 변화는 사회문화의 영향 하에 변화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 변화하고 있는 사회 현상에 따라 애니메이션 광고도 대중 성향에 맞는 작품을 구성 한다면 더욱 쉽게 대중과 소비자들에게 받아들일 수 있고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회배경 속에서 새로운 사상과 양성에 관한 토론을 애니메이션 광고에 응용하여 남녀 캐릭터를 디자인 한다면 애니메이션 광고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개척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인지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nn Rosamund Oakley, Sex, gender and society, No.16, 1976.
  2. 진창현, TV 광고에 나타난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관한 연구, 2009, vol.11, no.4, pp. 29-63 (35pages),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insiId=INS000000307&sereArticleSearchBean.sereId=001035&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89964
  3. Kimberley J. Duff, THINK Social Psychology 2012 Edition.
  4. http://www.pdfdrive.net/social-psychology-11th-edition-e1877002.html
  5. Hilton, J. L. & von Hippel, W. Annual Review of Psychology, 1996, 47th, pp. 237-271.
  6. 영화사전, 2004. 9. 30, propaganda,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9718&cid=42617&categoryId=42617
  7. 艾晓明, 广告故事与性别——中外广告中的妇女形象, 1999. http://blog.tianya.cn/blogger/post_show.asp?BlogID=116175&PostID=1281272 (Jean Kilbourne, Deadly Persuasion: Why Women and Girls Must Fight the Addictive Power of Advertising, [Z]. 재인용)
  8. Armstrong, J. Scott, Persuasive Advertising, 2010. http://www.doc88.com/p-2886920333851.html
  9. 이현진, TV 광고에 나타난 여성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의 변화, 2007.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02.23 ㅇ953t), http://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DMT1200714421&sysid=nhn
  10. 최종식, 현대회화에서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의 개념적 표현에 관한 연구, 2010, pp. 135-137.
  11. 국회도서관 (TD 750 -10-134), http://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
  12. 钱铭怡, 罗珊红, 张光健, 陈萍, 姚萍(北京大学心理系), 关于性别刻板印象的初步调查, 应用心理学, Vol.5, No.1, pp. 14-19, 1999. https://wenku.baidu.com/view/dcb3e92b2cc58bd63086bdcc.html
  13. 戴婷婷, 解析大众传媒对性别的刻板印象化表现-从广告中的性别表现谈起, 2005. http://www.ixueshu.com/document/7b29ec4ef913b397318947a18e7f938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