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Violence Exper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폭력경험과 감성지능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6.29
  • Accepted : 2017.07.31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The present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violence experienced by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67 nursing staff from 9 different long-term care hospitals in G and C Provinces.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software. While sligh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subtypes of violence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verbal violence was the most common form in violence, experienced by the nursing staff, followed by physical threat and physical violence.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nfluence of violence exper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found that violence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wh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wherea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lthough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violence experience is a major factor compromising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reflects one's ability to utilize and control one's emotions, may actually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Emotional intelligence can be improv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ways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aff such as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인력이 실무현장에서 겪는 폭력경험과 감성지능 정도가 간호서비스 질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도와 C도 지역의 9개 요양병원 간호인력 167명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3.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폭력경험은 항목별로 일부 변동은 보였으나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의 순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경험과 감성지능의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영향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폭력경험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감성지능은 간호서비스 질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비록 통상적으로는 폭력경험이 간호서비스 질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자신의 감성을 활용하고 조절할 수 있는 감성지능이 실제 더 중요한 서비스 질의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성지능은 교육과 훈련으로 향상될 수 있으므로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직장폭력 예방가이드, 보건 2009-11-1067, pp.1-5, 2009.
  2. 통계청, 환경재해현황, 통계청, 2016.
  3. 김종진, 전사랑,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pp.122-127, 2014.
  4. 이윤신, 박성희, "간호사가 인지하는 조직문화 유형과 언어폭력, 직무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292-30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292
  5. 배아량, 임상 간호사의 언어 폭력경험, 정서적 반응, 대처와 감성지능의 관계, 초당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김민주, 지은구, "장기요양서비스의 이용자에 의한 폭력경험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231-232, 2016.
  7. 배연희, "병원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5호, pp.489-500,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489
  8. 국민건강보험법 의료법, 법제처, 2016.
  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년 진료비 통계지침, 2016.
  10. S. Fujita, K. Seto, T. Kitazawa, K. Matsumoto, and T. Hasegawa, "Risk factors of workplace violence at hospitals in Japan," J Hosp Med., Vol.7, No.2, pp.79-84, 2011. https://doi.org/10.1002/jhm.976
  11. 이수연, 수간호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박지원,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 문제행동 간호에 대한 부담, 소진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3. J. L. Taylor, "A review of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nger and aggression in offend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46, No.1, pp.57-73, 2002. https://doi.org/10.1046/j.1365-2788.2002.00005.x
  14. C. R. Markus, "Dietary amino acids and brain serotonin function; implications for stressrelated affective changes," Neuromolecular Med, Vol.10, No.4, pp.247-258, 2008. https://doi.org/10.1007/s12017-008-8039-9
  15. I. I. Kneebone and N. B. Lincoln, "Psychological Problems after Stroke and Their Management: State of Knowledge," Neuroscience & Medicine, Vol.3, pp.83-89, 2012. https://doi.org/10.4236/nm.2012.31013
  16. 대한신경과학회저, 신경학 (제2판), 범문에듀케이션출판사, 2012.
  17. 오진주, "간호제공자들의 치매노인 공격행동경험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293-306, 2000.
  18. 오순옥, 일 국립병원 간호사 직무만족도와 간호서비스 만족도.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9.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2013.
  20. 이미애, "소비자와 제공자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와 측정도구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33권, 제6호, pp.772-783, 2003.
  21. 김선만, 일 종합병원 간호서비스 마케팅 방향 설정을 위한 간호서비스 질 측정: SERQUAL 모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2. 이현숙, 병원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 후 정서적 반응이 이직의도 및 간호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3. 이성경, 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4. 윤종숙, 응급센터 간호사가 경험한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폭력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5. 한수정, "간호사의 감성지능이 경력몰입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력몰이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418-42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7.418
  26. 문은경,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조직시민행동, 소진간의 관계,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7. C. Wong and S. L. Law,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3, pp.243-274, 2002.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28. J. M. Morse, "Negotiating commitment and involvement in the nurse-patient relationship,"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7, No.7, pp.809-821, 1991.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2.tb02002.x
  29. 장라진, "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만족, 간호서비스 질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326-337,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6.326
  30. 이병숙, 박정숙, 이정희, 홍순남, "임상간호사 유지전략으로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8-58, 2010.
  31. 백명, 코칭프로그램이 간호사의 감성지능, 코칭스킬,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2. 김수연,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한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폭력과 폭력 반응, 을지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3. 홍민정,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의 실태,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4. 황필주,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5. P. Harris, "The nature and extent of aggressive behaviour amongst people with learning difficulties(mental handicap) in a single health distric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37, pp.407-414, 1993.
  36. J. Sigafoos, J. Elkins, M. Kerr, and T. Attwood, "A survey of aggressive behavior among a population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Queensland,"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38, pp.369-381, 1994.
  37. A. M. Aasland and D. Aasland, "Prevalence and correlated of disruptive behavior in patients in Norwegian nursing homes,"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2, pp.916-921, 2007. https://doi.org/10.1002/gps.1766
  38. 남미숙, 치매노인의 문제행동 양상과 보호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충북지역 노인전문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9. 신미영,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폭력, 소진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0. 이정화, 요양병원 조직구성원의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1. 고현록, 김정희,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3호, pp.413-423,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3.413
  42. U. Isaksson, U. H. Graneheim, and S. Atro, "Female caregivers' experiences of exposure to violence in nursing home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6, No.1, pp.46-53, 2009. https://doi.org/10.1111/j.1365-2850.2008.01328.x
  43. 이은영, 노인 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폭력경험과 대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4. 윤순원,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의 치매지식,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및 공감이 치매노인 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31-141, 2015.
  45. 김명효, 의료인 폭행 현황 및 대처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의료법과 처벌 사례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6. 서은주, 김숙영, "요양보호사의 직장폭력 경험실태,"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6호, pp.607-614, 2012. https://doi.org/10.7475/kjan.2012.24.6.607
  47. 박현정, 강희선, 김경희, 권혜진, "중환자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대처," 정신간호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91-301, 2011.
  48. 윤명화,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과 서비스질의 관계,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9. 허미향, 병원직원의 감성지능이 고객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50. 최정숙, 중소병원에 입원한 의료소비자가 지각하는 간호서비스 질과 의료 서비스 만족도 및 병원 재이용의도, 남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1. K. W. Um,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workers working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centered arou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dimens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60, pp.121-14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