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unseling Practice of Students with Majoring in Addiction

중독연계전공 학생들의 상담실습에 관한 질적 연구

  • Received : 2017.07.03
  • Accepted : 2017.08.01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practitioners who completed the counseling practice in addiction organization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ffective counseling practice for students i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addiction majors. For this purpose, we provided the counseling training to two addiction treatment institutions and conducted the interviews with 16 students who participated the counseling practice at the institute and then analyzed the data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unseling practitioners experienced fear and prejudice against addicts, prejudice against addicts, change of illness, severity and risk of addiction, career expectation in addiction area, and reality of addiction.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counseling practice was to give an important lesson in establishing the attitude of self - reflection and the identity of addiction counselor. In the discussion, a systematic management plan of counseling practice in the addiction field was suggested based on the derived topic.

본 연구는 중독기관에서의 상담실습을 마친 중독을 연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담실습에 대한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중독연계 학생의 효율적인 상담현장실습의 지도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두 곳의 중독치료 기관에 상담실습을 의뢰하였고, 그 기관에서 상담실습을 경험한 학생 중 1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그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담실습은 중독자들에 대한 두려움과 편견, 중독자들에 대한 편견, 병식의 변화, 중독의 심각성과 위험성, 중독영역에서의 진로기대, 중독 현장의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실습이 남긴 의미는 자신을 성찰하는 계기, 중독전문 상담자로서의 태도를 정립하는데 중요한 실물교훈이 되었다. 논의에서는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중독현장에서의 상담실습의 체계적 운영 방안이 제시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남정, 이미현,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분석연구," 상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301-319, 2015.
  2. http://ipsi.kcce.or.kr
  3. http://www.cuinfo.net/home/index.main.action
  4. 조남정, 이미현,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분석연구," 상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301-319, 2015b.
  5. 헤럴더경제, 2015.2.9.
  6. http://ipsi.syu.ac.kr/2016_syu/pages/index.asp=14&b=B_1_7&cate=정시
  7. 오정희, 초보상담자들의 첫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 조남정, 이미현, 김인규, "학부 상담학과 교육과정 분석연구," 상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301-319, 2015.
  9. 오정희, 초보상담자들의 첫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0. A. Giorgi(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11. J. W. Creswell, W. E. Hanson, V. L. Plano Clark, and A. Morales, "Qualitative Research Designs: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35, No.2, pp.236-264, 2007. https://doi.org/10.1177/0011000006287390
  12. 박순 외 10명, 상담학 질적연구방법론 사례집, 시그마프레스, 51, 2016.
  13. 이상학, 남성 초심상담자의 상담수련경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4. 조민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 놀이치료의 현상학적 연구 : 치료자-내담자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5. 이명선, 질적연구를 통한 간호실무의 이해, 서울: 군자출판사, 2005.
  16. D. Langdridge, Phenomenologic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Method, Essex: England.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7.
  17.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12.
  18.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i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48-71, 1978.
  19. E. W. Eisner,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New York: Macmillan, 1992.
  20. E. G. Guba, The alternative paradigm dialog in E. G. Guba (Ed), The paradigm dialog, Newbury Park, CA: sage, 1985.
  21. 송미경, "대학생의 상담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0호, pp.337-361, 2014.
  22. 최은실, 초보 상담자의 반응 부담이 내담자 상태 알아차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논문, 2002.
  23. J. Kinney, B. J. Bergen, and T. R. P. Price, "A perspective on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alcoholics and alcoholism,"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43, No.5, pp.488-496, 1982. https://doi.org/10.15288/jsa.1982.43.488
  24. 손기옥, 중독연구에 대한 비판적 평가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5. 김우준, "4대 중독 정책 진단 및 개선방안,"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3권, 제2호, 통권6호, pp.74-88, 2013.
  26. 이해국, 이보혜, "4대 중독 원인 및 중독 예방 정책," 보건복지포럼, pp.30-42, 2013.
  27. 김길문, 정남운, "초보상담자가 상담회기 내에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과정: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1호, pp.1-20, 2004.
  28. 안민정, 황윤영, 주민선, "간호대학생의 알코올중독 환자 간호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3호, pp.362-371,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3.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