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hod of Using Disease in Television Drama

인기 TV 드라마에서 질병을 활용하는 방법

  • 노동렬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7.05.10
  • Accepted : 2017.07.17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Illness has long been an important plot device in Korean dramas. In earlier years, the device typically was supposed to be in the form of a terminal bodily disease occurring for the female main character toward the end of the story. On the other hand, the latest trend is to situate a mental illness for the male lead character at the earlier part, and use it as a tool to build characters, construct causal relations and set the intense tone for the overall story. The mental illness as a plot device helps to provide a series of reversals, revelations and turnarounds, giving viewers a stronger sense of intensity, empathy and identification. While the illness used to play the role of a deus ex machina to make a big emotional finish, the latest adoption of the mental illness as a main plot device has enhanced the flexibility of the plot and the effect of versimilitude in dramas. These noticeable changes make one suspect that the focus of Korea's drama contents might have already begun to grow out of the conventional soap operas into different genres.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질병을 활용하는 방법은 여자주인공에게 육체적 질병이 극 후반에 발병하는 추세로부터 남자주인공에게 정신적 질병이 극 초반부터 발현되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질병이 여성에게 발병하는 경우는 사망으로 이어지며 갈등이 해결되는 반면, 남성의 발병은 캐릭터를 구축하는 도구인 동시에 스토리에 인과관계를 설정하고 갈등을 증폭시키는 소재로 활용된다. 따라서 정신적 질병은 스토리 전개에서 반전, 발견, 전환점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내며 시청자들에게 긴장감과 감정이입, 동일시, 그리고 서스펜스를 유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결국 질병 활용 방법은 여성을 죽음으로 몰아가며 스토리를 종결하는 데우스엑스마키나로부터 남성의 정신적 질병으로 인해 플롯의 다양성과 장르 핍진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드라마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는 우리 드라마산업이 멜로드라마 위주에서 다양한 장르 특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 Fiske and J. Hartley, Reading Television: 25th Anniversary Edition, Routledge, 이익성, 이은호 역, TV읽기, 현대미학사, 1994.
  2. S. Thornham and T. Purvis, Television Drama: Theories and Identities, NY: NYU Press, 김소은, 황정녀 역, 텔레비전 드라마, 동문선, 2008.
  3. 김승현, 한진만,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1.
  4. 최양수, 문화로서의 드라마, 산업으로서의 드라마, 한국 프로듀서연합회 창립 12주년 기념 토론회 발제문, 1999.
  5. 이하나, 멜로드라마에서 주인공 질병의 변화에 따른 서사의 변화 분석,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 김명혜, "텔레비전 드라마 속의 로맨스: 변화와 관성 사이의 페미니스트 정치," 언론학연구, 제3집, pp.69-98, 1999.
  7. R. Altman, "Cinema and Genre," in G. Nowell-Smith (ed.), 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276-285, 1996.
  8. C. Gledhill, "Rethinking Genre," in C. Gledhill and L. Williams (eds.), Reinventing Film Studies, London: Arnold, pp.221-243, 2005.
  9. Barry Langford, Film Genre: Hollywood and Beyond, UK:Edinburgh University Press, 방혜진 역, 영화장르, 한나래, 2014.
  10. Raphaelle Moine, Les genres du cinema, Armand Colin, Paris, 유민희 역, 영화 장르, 동문선, 2009.
  11. G. King, Spectacular Narratives: Hollywood in the Age of the Blockbuster, London: I. B. Tauris, 2000.
  12. S. Neale, Genre and Hollywood, London: Routledge, 2000.
  13. 우동균 기자, "<사임당> 굴욕, <내일 그대와>부진, 시청자도 지친다," 오마이뉴스, 2017.2.12.
  14. R. Altman, "A Semantic/Syntactic Approach to Film Genre," in B. K. Grant (ed.), Film Genre, Austin, TX: University of Texas Press, pp.26-40, 1995.
  15. 나은영, 미디어심리학, 서울: 한나래, 2010.
  16. R. L. Katz, Empathy: Its Nature and Uses, Glencoe, IL: The Free Press, 1963.
  17. M. H. Davis, J. G. Hull, R. D. Young, and G. G. Warren, "Emotional re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126-133,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1.126
  18. H. Borke, "Interpersonal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Egocentrism or empathy?," Developmental Psychology, Vol.5, pp.263-269, 1971. https://doi.org/10.1037/h0031267
  19. J. Cohen, "Defining identification: A theoretical look at the identification of audiences with media characters," Mass Communication & Society, Vol.4, No.3, pp.245-264, 2001. https://doi.org/10.1207/S15327825MCS0403_01
  20. S. M. Livingston, "Interpreting a television narrative: How different viewers see a story,"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0, pp.72-85, 1990.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0.tb02252.x
  21. D. Zillmann, "The logic of suspense and mystery," in J. Bryant & D. Zillmann (eds.),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281-303, 1991.
  22. S. Smiley, Playwriting: The Structure of A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71.
  23. 서반석, 정신병의 실체와 영화에 나타난 정신병의 발현이 주인공의 극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청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4. A. Epstein, Crafty Screenwriting, 윤철희 역,성공의 시나리오 법칙, Screen M&B, 2005.
  25. R. B. Tobias, 20 Master Plots, CIN: Pul-Bit Publishing Co., 김석만 역,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 풀빛,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