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Bushou in Contemporary Chinese Poster Design

부수를 활용한 중국 포스터디자인 연구

  • 류처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 장주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7.04.24
  • Accepted : 2017.05.31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For designers, Chinese characters are featured as its unique cultural connotation and the inheritance of information. In visual designs, the beauty of Bushou in form, especially its potential forms, plays an important role and has been applied in various modern designs. There are analyses focused on radicals' roles, as well as its performance and design principles in modern posters in order to figure out how radicals are inherited and developed in posters. Additionally, these researches are conducted to recognize the cultural values of the visual linguistics of Bushou. In this paper, collating of the history and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the history, function, classification and meaning of Bushou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The function of Bushou and its potential visual performance means, as well as the objective laws are summarized by analyzing Bushou posters.

한자의 부수는 한자의 특성을 계승하고 독특한 문화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한자 부수의 형식미는 시각디자인에 있어서 한자 형상의 잠재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대 디자인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현대 포스터 디자인에서 한자 부수의 활용을 분석함으로써 한자 부수의 형태적, 표현적, 전통적 특징을 파악하고, 이 특징들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킬 것인지를 탐구해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자부수가 가진 시각언어로서의 문화적 가치를 재인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한자의 역사와 구조, 부수의 역사, 기능, 분류, 의미에 대해 각각 정리하였다. 부수를 사용한 포스터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포스터에서 부수의 역할 및 잠재된 시각적 표현 방법과 객관적 법칙에 대해 총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成朝晖, "漢字設計"形"与"意"的再創造," 裝飾, 第09期, pp.30-31, 2004.
  2. 王亞麗, 漢字部首表意功能硏究, 蘭州大學, 碩士學位論文, 2006.
  3. 毛溪, 平面构成, 上海:上海人民美術出版社, 2006.
  4. 靳棣强, 視覺傳達設計實踐, 上海:上海文藝出版社, 2005.
  5. 李叢芹, 漢字与中國設計, 北京:榮宝齋出版社, 2007.
  6. 許慎, 設文解字, 杭州:浙江古籍出版社, 1998.
  7. 王亞竹, "中國現代平面設計的突破口- -漢字," 裝飾, 第07期, pp.14-18, 2006.
  8. 孫明明, 何征, "淺談漢字在現代文字海報設計的視覺表現," 包裝世界, 第35期, pp.23-29, 2010.
  9. 董雪莲, 海報設計, 北京:中國輕工業出版社, 2002.
  10. 李陽, 漢字的設計方法在海報設計中的運用硏究, 蘭州大學, 碩士學位論文,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