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ge of the Sorori old fluvial deposits is assumed as old as Last Interglacial(MIS 5) when appying the thalassostatic terrace formation in mid- to downstream Keum river basin, while the young fluvial deposits are interpreted to be formed since the post-LGM(last glacial maximum), including both the Bølling-Allerød (B/A) Interstadial(12,700~14,700 cal-yrBP), and the Younger Dryas Stadial(11,700~12,900 cal-yrBP). The wild rice seed like Oryza rufipogon found in the middle organic muds of the young fluvial deposits dated after about 15,000 cal-yrsBP, when the transition from the subalpine conifer forest to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was conspicuously evidenced in the upper part of OC-2 palynofloral zone of the in Cheonju Sorori site, In particular the OC-2 palynofloral zone ranging towards the upper part of middle organic muds(peaty muds) is interpreted to be formed in the B/A Interstadial. It is regarded that Cheongju Sorori rice seeds are associated with warm palynological evidences and backswamp insects during the Lastest Glacial, showing appearance of relatively warm climate similar to the present.
금강 중류의 소로리 고기 하성퇴적층의 형성시기는 해면변동성 하안단구를 적용시켜 최종 간빙기(MIS 5)로 추정되며, 신기 하성퇴적층은 최종빙기최성기(MIS 2) 이후의 뵐링-알러뢰드 간빙기(12,700~14,700 cal-yrBP)를 포함하며, 이후 영드라이아스기(11,700~12,900 cal-yrBP)에 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소로리 유적의 신기 하성퇴적층 중에서 Oryza rufipogon 등 같은 야생벼가 출토되는 중부 토탄층 상부는 보정연대로 약 15,000년전 이후에 형성되었다. 소로리 유적에서는 화분대 OC-2 상부구간에서는 화분조성상 아고산성 침엽수림보다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뚜렷한 편이다. 특히 중부 토탄층의 상부에 해당하는 OC-2 화분대는 B/A아간빙기에 형성되었다. 이 기간은 청주소로리 볍씨가 온난기의 화분 및 배후습지성 곤충들과 공반 출토되었던 만빙기(Lastest Glacial) 기간 중으로 간주되며 상대적으로 현재와 유사한 온난한 기후가 나타났던 시기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