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ackground and Current Research Applied to Development of Korean Cosmetics Based on Traditional Asian Medicine

한국 한방화장품 발달 배경 및 연구 현황

  • Cho, Gayoung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Park, Hyomin (Skincare Research Division, Amorepacific R & D Unit) ;
  • Choi, Sowoong (Skincare Research Division, Amorepacific R & D Unit) ;
  • Kwon, Leekyung (Skincare Research Division, Amorepacific R & D Unit) ;
  • Cho, Sunga (Skincare Research Division, Amorepacific R & D Unit) ;
  • Suh, Byungfhy (Skincare Research Division, Amorepacific R & D Unit) ;
  • Kim, Namil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조가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 박효민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스킨케어연구 디비젼) ;
  • 최소웅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스킨케어연구 디비젼) ;
  • 권이경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스킨케어연구 디비젼) ;
  • 조성아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스킨케어연구 디비젼) ;
  • 서병휘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스킨케어연구 디비젼) ;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Received : 2017.10.20
  • Accepted : 2017.11.12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raditional Asian medicine has an extensive evidence base built upon thousands of years of experience within Asia, of curing various diseases. Only recently, within the past two centuries, have modern medical scientists developed interest in traditional Asian medicine. Asian Medicine seems to be regarded only as an adjunctive medicine and viewed as alargely un-proven alternative medicine to complement western medicine, used in some cases to establish a new paradigm of "integrative medicine". This article reviews how Korean herbal cosmetics emerged by applying traditional Asian medicine to the science of cosmetic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erbal cosmetics are examined through examples of history, concepts and traditions. With the advancements in biotechnology, studies are now being conducted on the dermatological effects and processing methods of herbal ingredients, including ginseng. The authors explain the current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on the active ingredients of herbs, extraction methods, and bio-processing of ingredients to improve the biological efficacies of herbs on the skin. A summary of studies focused on modern reinterpretations of ageing theories, such as 'Seven year aging cycle', are provided.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osmetics products are based on the accumulated knowledge of thousands of years of experience including; 1) practical heritage of traditional Asian medicines such as Donguibogam; 2) excellent medicinal plants, such as ginseng, which are native to Korea; and 3) innovative attempts to modernize materials, processes, and principles.

Keywords

References

  1. 허준.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1999.
  2. 전완길. 한국화장문화사. 서울:열화당. 1987.
  3. 김남일. 한방화장품의 문화사. 파주:들녘. 2013.
  4. 신현규. 한방산업의 정의와 분류에 대한 연구. 한국한 의학연구원논문집. 2004;10(1):97-105.
  5. 조가영. 한국한의학연구원 정책연구센터. 한의정책. 2014;1(2):65-75.
  6. 노호식. 한방화장품개발 및 시장현황. 화학공학회지. 2011;29(1):38-42.
  7. 이경자, 송민정. 우리나라 傳統 化粧文化에 關한 硏究. 한국복식학회지. 1991;17(1):221-245.
  8. 정용희, 이현옥. 傳統化粧文化에 나타난 연지(嚥脂)의 변천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1998;6(1):46-57.
  9. 류은주. 한국 고대 전통 피부관리 및 화장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995;1(1):69-86.
  10. 이동우, 백진웅. 東醫寶鑑에 수록된 항노화 효능어와 이에 근거한 항노화 한약재 선별 방법론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27(2):25-48. https://doi.org/10.14369/SKMC.2014.27.2.025
  11. 남기열. 홍삼과 백삼의 비교 고찰. 고려인삼학회지. 2005;29(1):1-18.
  12. 조가영, 노호식, 김은주, 문은정, 김지성, 박혜윤 외. 精養丹의 항염증, 상처 치유효능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009;15(1):57-66.
  13. 최재환, 김형만, 송영숙, 박선규, 김진준, 이천구. 瓊玉膏 加味方 酵母 醱酵物이 皮膚 老化에 미치는 影響. 대한본초학회지. 2007;22(4):219-225.
  14. 박성규. 滋陰丹이 皮膚의 老化에 미치는 影響. 대한본초학회지. 2004;19(1):67-76.
  15. 박성규, 배지현, 김연준, 강승주, 남개원, 이해광 외. 加味滋陰丹 에센스가 인체 피부 생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729-733.
  16. 박시덕, 이영선, 최선미, 이금홍, 권영규, 박종현 외. 보음약인 사삼, 맥문동, 석곡, 옥죽, 황정의 면역조절 효과 비교.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2):414-424.
  17. 정다영, 하혜경, 이호영, 이진아, 이준경, 황대선, 외. 대표적인 補陰之劑의 면역 활성화 비교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0;31(5):112-123.
  18. 남혜정, 김윤범. 노화와 피부노화에 대한 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17(1):16-33.
  19. 김진명, 전선우, 이우건, 남혜정, 김윤범. 피부 노화 및 피부 주름 관리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4):533-542.
  20. 한정민, 강나루, 고우신, 윤화정. 피부 노화 현상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주름, 과색소침착, 피부건조, 안면홍조를 중심으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4;27(2):1-13. https://doi.org/10.6114/JKOOD.2014.27.2.001
  21. 김은주, 노호식, 김덕희, 김한곤, 조가영. 顔色에 대한 현대적 조명 : 上古天眞論의 女子七歲이론을 근거로.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0;23(1):253-259.
  22. 조가영, 김지연, 염명훈, 조준철, 김윤범. 한국 성인 여성의 눈가 피부 특성 분석.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12;25(3):88-96.
  23.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성분사전 www.kcia.or.kr/cid/main.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