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ME Supporting Policy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지원정책

  • 김용열 (홍익대학교 국제경영학과) ;
  • 박영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Received : 2017.03.30
  • Accepted : 2017.04.24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viewpoint of SME, and to analyze the relevance betwee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ME, thereby reviewing the governmental supporting policy for SME. Promising field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derived from WEF survey, manufacturing innovation, and new growth engine. Also the case of GE's movement could be a good reference. We explored the relevance betwee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ME supporting policy, and described the suitability as SME's next item among the various promising fields. When extracting new business items by using the factor of prospective and appropriate conditions, both types such as product or service and subordinate or derivative items would be possible. For the proper ac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the competence enhancing of SME itself but also positive supporting policy of government side are to be considered.

본 논문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의 환경변화를 중소기업 관점에 맞추어 고찰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의 관련성 및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성격과 방향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초래될 수 있는 미래의 유망분야는 세계경제포럼 조사, 제조업 혁신, 신성장동력 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GE의 대응사례가 참고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지원과의 관련성이 중요할 뿐 아니라 유망분야 가운데 중소기업에 대한 적합성 여부가 검토되어야 한다. 유망성과 적합성의 기준에 따라 미래 신규사업을 발굴함에 있어서 제품과 서비스, 세부와 파생의 분야가 모두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자체의 역량강화와 함께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한반도선진화재단 (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중소기업 정책의 대전환, 정책세미나 발표자료.
  2. 김용열 (2016), "제조업 혁신과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활용", 기술혁신학회지, 19(2), 231-253.
  3. 대한무역투자공사 (2016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여는 첨단산업 수출경쟁력", 미래 성장산업기획시리즈 16-010.
  4. 대한무역투자공사 (2016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여는 ICT 응용 신산업 : 경쟁력 진단과 인도 활용전략", 미래 성장산업 기획시리즈 16-011.
  5. 동반성장위원회 (2011), "중소기업 적합 업종.품목 일반제조업 분야 가이드라인(안)", 보도자료.
  6. 류광열 (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국내 중소기업의 생존 전략", 김해중소기업비즈니스센터 세미나 발표자료.
  7. 사공목.주대영 (2016), 일본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와 정책 방향 : 제조업을 중심으로, 정책자료 2016-285.
  8. 산업연구원 (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새로운 산업정책 방향, 국민경제자문회의-산업연구원 공동세미나 자료집.
  9. 서동혁 (2014),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제조업의 창조화 전략, 이슈 페이퍼 2014-381.
  10. 이상현 (2016), "제4차 산업혁명과 제조엔지니어링 :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의 활용을 중심으로", KIET 산업경제, 2016년 8월호.
  11. 임채성 (2016가), "4차 산업혁명: 글로벌 제조 경쟁의 근본적 변화와 한국 제조업의 위기, 국회입법조사처 세미나 발표자료.
  12. 임채성 (2016나), "향후 5년래 제조업 위기 가능성 높아, 범국가적인 4차 산업혁명 대비 필요", 나라경제, 2016년 3월호.
  13. 장석인.정은미.박승록 (2014), 한국의 성장동력 정책평가와 향후 발전과제, 연구보고서 2014-723.
  1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KISDI Premium Report, 16-04.
  15. 중소기업중앙회 (2016),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인식 및 대응조사 결과", 산업정책실조사자료.
  16. 충북연구원 (2014), "글로벌 화두로 부상하고 있는 3D 프린터 산업 그리고 충북의 대응방안", 충북 포커스, 2014-3호.
  17. 포스코경영연구원 (2016),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 '소프트 파워'", POSRI 이슈리포트, 2016.01.13.
  18. 포스코경영연구원 (2017), "4차 산업혁명의 전개와 확산: 산업용 로봇과 센서시장 중심으로", POSRI 이슈리포트, 2017.01.12.
  19. 한국개발연구원 (2016가), 제4차 산업혁명과 한국경제의 구조개혁, 세미나 자료집.
  20. 한국개발연구원 (2016나), 제4차 산업혁명과 산업의 융복합, 세미나 자료집.
  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1), 중소기업형 전략기술 및 품목 선정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청 용역보고서.
  22. 한국은행 (2016), "제4차 산업혁명: 주요국의 대응현황을 중심으로", 국제경제리뷰, 2016-24.
  23. 현대경제연구원 (2016),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 경제주평, 16-32.
  24. GE (2016), GE Technology Story for Disruptive Innovation, http://www.gereports.kr/geforum2016.
  25.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송경진 옮김,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메가스터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