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신입생의 진로·학습 역량 강화 프로그램 콘텐츠 설계 및 개발 방안 연구 - H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and Development Plan of Program Content for Enhancing the Career·Learning Competency of University Freshmen -Focusing on H university case-

  • 투고 : 2017.06.16
  • 심사 : 2017.06.27
  • 발행 : 2017.07.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하여 진로 학습 프로그램 콘텐츠를 설계하고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신입생이 처한 상황과 문제 그리고 신입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H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와 요구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진로 학습 프로그램 개념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맞춤형 콘텐츠, 정서적 지원, 온오프라인 융합 프로그램 등을 중심축으로 하여 진로 학습 역량강화 프로그램 콘텐츠를 설계하고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전공별 진로 학습 트랙, 빅 데이터 분석, 액션 플랜 등을 주요 콘텐츠로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신입생을 위한 역량기반 맞춤형 진로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어 프로그램의 질적 내실화와 신입생들의 대학적응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career learning program content and to suggest a development plan in order to assist in freshmen's successful adapt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first, we reviewed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situations and problems of freshmen and education programs for freshmen. H. university freshmen's needs for support programs were analyzed. Second, a career learning program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and program needs analysis. Third, the program contents for enhancing career learning competency were designed, and we suggested a development plan focusing on customized content, emotional support, and on-off line convergence program. It developed career learning tracks, big data analysis, and action planning as main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stomized career learning programs for freshmen, which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learning programs and freshmen's adapt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정희, 김홍석,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1호, pp.125-144, 2009.
  2. 이귀숙, 도수정, 송현아,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3호, pp.53-73, 2016.
  3. 금명자, 남향자, "전국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기대 및 정신건강," 인간이해, 제31권, 제1호, pp.105-127, 2010.
  4. 이기학, 이경아, 이정화, "2008학년도 신입생 실태 조사," 연세상담연구, 제24권, 2008.
  5. 김혜영, 이종숙, "2011학년도 덕성여자대학교 신입생 특성," 학생생활지도, Vol.27, pp.1-35, 2011.
  6.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학교가기 무서워요 대학생 새학기 증후군, 2014.
  7. 조혜영, "신입생과 재학생의 진로 및 대학생활에 대한 의식 실태조사 비교연구," 상담평가연구, 제3권, 제2호, pp.15-30, 2013.
  8. 박미정,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27-3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327
  9. 한우석, 김진경, 이혜경, "대학 신입생 학업동기 향상을 위한 동기유발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522-53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522
  10. 오영재,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교육문제연구, Vol.25, pp.141-164, 2006.
  11. 이미아, 이순덕, "신입생 대학적응 프로그램의 정규 교육과정화에 따른 효과성 분석 및 향후 개선방안 탐색,"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Vol.13, pp.111-120, 2013.
  12. 김경욱,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97-218, 2011.
  13. 김경화, 류여진, 신입생 학습 및 진로 상담 지원방안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2016.
  14. 홍성연,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 제14권, 제1호, pp.271-295, 2016.
  15. 유경희, 김종경, "적응 프로그램 제언을 위한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관련 문헌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580-59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580
  16. 민웅기, "대학적응을 위한 신입생 선행 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6호, pp.275-304, 2013.
  17. 이인경, 김장회, "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수 멘토링 교육과정의 효과," 상담학연구, 제12권, 제2호, pp.673-691, 2011.
  18. 이문정, 최예정, "신입생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11, pp.67-73, 2014.
  19. S. M. M. Loyens, J. Magda, and R. M. J. P. Rikers, "Self-Directed Learning in Problem-Based Learning and its Relationships with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20, No.4, pp.411-427, 2008. https://doi.org/10.1007/s10648-008-9082-7
  20. 김경화, 류여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법 가이드북, 한국해양대학교, 2016.
  21. 이지연, "역량 중심의 대학생 진로개발전략 모색," 상담학연구, 제3권, 제2호, pp.419-438, 2011.
  22. 강동일, 강혜영, "대학생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 내용 분석: 진로탐색 및 취업면접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3권, 제1호, pp.139-156, 2002.
  23. 김주환, 회복탄력성-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5.
  24. 차문수, "단어 임베딩을 통한 문서의 의미분석 개선",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7.
  25. 배경만, 커뮤니티 기반 질문-응답 서비스를 위한 워드 임베딩 기반의 질문 분류 및 검색 기법,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6.
  26. 김도우, Doc2Vec을 활용한 CNN 기반 한국어 신문 기사 분류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논문, 2017.
  27. 권영옥,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지능정보연구, 제19권, 제2호, pp.87-100, 2013. https://doi.org/10.13088/jiis.2013.19.2.087
  28. 노규성, 이주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설계 지원 플랫폼 모형에 관한 융합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7호, pp.167-174,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7.167
  29. 김혜진, 김혜나, 김종민, 강신범, 남기곤, 박수홍, 강문숙, "체계적인 액션러닝을 활용한 대학원 신입생 학교생활 지원 콘텐츠 개발 및 적용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제22권, 제3호, 2012.
  30. 이용희, 오동주, 박수홍, "대학생의 활동중심 진로교육을 위한 웹기반 인터페이스 설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2015.
  31. 박경민, 강두봉, 김선정, 박수현, 추원식, 정주훈, "액션러닝을 활용한 진로교육기반 해외체험학습모형 탐색," 국제교육협력연구지, 제7권, 제1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