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Organ Donation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Message: Focus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Value Factors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 개인적 특성 및 가치요인을 중심으로

  • 선혜진 (경성대학교 창의인재대학)
  • Received : 2017.04.03
  • Accepted : 2017.05.24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re persuasive organ donation campaig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based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value factors of various age groups.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value factors (organ donation attitude, organ donation knowledge, self - efficacy, internal medicine, attitude toward discontinuation of life - saving treatment) on the intention of organ donation among 20s to 60s or older was examined. Demographic variables that were predicted to affect individual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gender, age, and religion were included. The value factors were also included attitudes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fterlife view to identify potential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knowledge of organ donation, self-efficacy, attitudes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 donation intention.

이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의 개인적 특성과 가치요인에 기반한 공중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설득력 있는 장기기증 캠페인을 수행해나가는데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2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는 공중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 및 가치요인 (장기기증 태도, 장기기증 지식, 자기효능감, 내세관,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이 장기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했다. 성별, 연령, 종교 등 개인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포함시켰으며, 가치요인으로는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내세관을 설정하여 장기기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잠재요인들을 밝히려 했다. 연구결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장기기증 지식, 자기효능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장기기증 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연합뉴스TV, 장기기증 관심은 높지만...서약자 국민 2.5% 불과, 2016(6.30).
  2. 연합뉴스, 장기이식, 대기자 2만7천명에 기증자 2천600명뿐, 2016(7.25).
  3. 전희진, '생명 나눔의 씨앗' 장기기증 교육 인프라 미흡, 대전일보, 2016(10.7).
  4. 정인태, PR 캠페인 기획과 실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5. R. L. Horton and P. J. Horton, "A Model of Willingness to Become a Potential Organ Donor,"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33, No.9, pp.1037-1051, 1991.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009-2
  6. C. M. Radecki and J. Jaccard, "Signing an Organ Donation Letter: The Prediction of Behavior from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9, pp.1833-1853, 1999.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9.tb00154.x
  7. R. L. Horton and P. J. Horton, "Knowledge Regarding Organ Donation: Identifying and Overcoming Barriers to Organ Donat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31, No.7, pp.791-800, 1990. https://doi.org/10.1016/0277-9536(90)90174-Q
  8. S. E. Morgan and J. K. Miller, "Beyond The Organ Donor Card: The Effect of Knowledge, Attitudes, and Values on Willingness to Communicate About Organ Donation to Family Members," Health Communication, Vol.14, No.1, pp.121-134, 2001. https://doi.org/10.1207/S15327027HC1401_6
  9. M. K. Hyde and M. W. Katherine, "To Be a Donor or Not to Be? Apply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Predict Posthumous Organ Donation Inten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9, No.4, pp.880-900, 2009.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9.00464.x
  10. 차동필,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광고연구, 제87호, pp.7-40, 2010.
  11. 유성신, 박현선, 민귀홍, 하영희, 김여정,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수정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2호, pp.43-68, 2015.
  12. 김혜인, 차희원, "사회 자본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사후 장기기증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6호, pp.171-198, 2010.
  13. 배현석, "감정 및 이슈 관여가 각막기증 의향에 미치는 효과 예측 모델," 방송연구, 여름호, pp.273-301, 2006.
  14. S. E. Morgan and J. K. Miller, "Communicating About Gifts of Life: the Effect of Knowledge, Attitudes, and Altruism on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s Regarding Organ Donation,"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Vol.30, No.2, pp.163-178, 2002. https://doi.org/10.1080/00909880216580
  15. H. J. Su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Campaign Messages for Organ Donation Promotion in Korea,"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30, No.4, pp.903-918, 2015. https://doi.org/10.1093/heapro/dau023
  16. 이병관, 최명일, "새로운 미디어 공공캠페인으로서 교육적-오락물의 설득효과에 대한 탐구," 광고학연구, 제19권, 제1호, pp.75-97, 2008.
  17. M. K. Hyde and K. M. White, "A test of three interventions to promote people's communication of their consent for organ donation," Psychology and Health, Vol.28, No.4, pp.399-417, 2013. https://doi.org/10.1080/08870446.2012.731060
  18. R. E. O'Carroll, C. O'Carroll, C. Foster, G. McGeechan, K. Sandford, and E. Ferguson, "The "Ick" Factor, Anticipated Regret, and Willingness to Become an Organ Donor," Health Psychology, Vol.30, No.2, pp.236-245, 2011. https://doi.org/10.1037/a0022379
  19. 김숙남, 김현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36-144, 2016. https://doi.org/10.14475/kjhpc.2016.19.2.136
  20. 이경남, 김분한, 이훈희, "한국변호사들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3권, 제2호, pp.81-88, 2010.
  21. 하명옥,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경희행정논총, 제22권, 제1호, pp.105-147, 2009.
  22. 최령, 황병덕, "대학생들의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장기기증 의사에 미치는 영향," 생명윤리, 제13권, 제2호, pp.35-47, 2012.
  23. 이상목, "한국인의 신체관, 영혼관, 죽음관에 관한 인식연구," 석당논총, 제34권, pp.127-180, 2004.
  24. 이누미야요시유키, 한성열, "사생관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0권, 제1호, pp.31-82, 2004.
  25. T. L. Thompson, J. D. Robinson, D. J. Anderson, V. Miller, and B. Lee, "Motivating for and Family Communication about Organ Donation: Applying a Transtheoretical Stages of Change Perspective," Paper Presented to the 54th Annual Conv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New Orleans, L.A, 2004.
  26. J. E. Ormrod, Educational psychology: Developing learners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2006.
  2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회복불능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공청회 자료, pp.1-78, 2002.
  28. 변은경, 최혜린, 최애리, 홍권희, 김나미, 김행선, "중환자실 간호사와 중환자 가족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 조사," 임상간호연구, 제9권, 제1호, pp.112-124, 2003.
  29. 한정호, 김병희, 김장열, 김찬아, 박노일, PR학원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0. 데이터뉴스, 성인절반 '장기기증 의향 있다', 2014(4.7).
  31. C. O. Callender and M. B. Hall, Dilemma of Organ and Tissue Transplantation, In: R. L. Braithwaite, S. E. Taylor, Health Issues in The Black Community, San Francisco: Jossey-Bass, pp.167-285, 2001.
  32. J. A. Trompeta, Attitudes and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mong Asian American Adolescen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2008.
  33. A. Reubsaet, B. Johannes, E. D. Vet, and B. V. D. Borne, "The Effects of Practicing Registration of Organ Donation Preference on Self-Efficacy and Registration Intention: An Enactive Mastery Experience," Psychology and Health, Vol.18, No.5, pp.585-594, 2003. https://doi.org/10.1080/0887044031000094840
  34. M. S. Wu, C. S. Tang, and M. Yogo, "Death Anxiety, Altruism, Self-Efficacy, and Organ Donation Intention among Japanese College Students: A Moderated Medication analysi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Vol.65, No.2, pp.115-123, 2013. https://doi.org/10.1111/ajpy.12003
  35. 국민일보, 대구에서 75세 할머니 장기 기증... 대구경북지역 최고령 기증자, 2014(10.29).
  36. 연합뉴스, 83세 국내 최고령 장기 기증자 영면, 2013(3.19).
  37. 연합뉴스, 국민 77%, 연명치료 중단 법제화 찬성, 2015(6.2).
  38. 뉴시스, 울산대병원 "존엄사 수용하나 환자 자기결정권 중시," 2009(6.18).
  39. 김숙남, 최순옥, 이정지, 신경일, "죽음교육이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41-153, 2005.
  40. K. Downing and L. L. Jones, "Designing An Educational Strategy for Increasing Organ Donor Registration Among Older Adults," Progress in Transplantation, Vol.18, No.4, pp.290-296, 2008. https://doi.org/10.1177/15269248080180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