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ization of CGI Visual Format for Digital Cinema and Digital Animation -Focused on Film -

디지털시네마와 디지털애니메이션을 위한 CGI 시각형식 구조화 -영화<정글북>을 중심으로-

  • 유형준 (명지대학교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7.02.02
  • Accepted : 2017.06.21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CGI not only performed a crucial role to make cinema and animation evolved into digital cinema and digital animation but also CGI, an important visual format, settled realism-centric spectacle image culture in public commercial cinema and animation. The fact that CGI visual format could be structuralized in three different view points is discovered through Iconicity, photorealism, verisimilitude, uncanny valley, hyperrealism, and spectacular realism discourse research which explain image culture. First, a formative viewpoint that comes up in an iconic difference between drawing and photograph. Secondly, a cognitive viewpoint that sees visually perceived naturalness and abnormality as a realistic probability issue. Lastly, a customary viewpoint which is rooted in aesthetic tradition of cinema and animation. After that, the features of CGI which is used in the movie 'jungle book'(2016)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ed visual format. Consequently, this movie has hyper-realistic photographic iconicity on the base of realistic probability. Also, by following image-aesthetic convention which uses overstated and amplified narrative as a visual format, at the same time, the movie also has sufficient image-aesthetic convention in animation by personified animal character.

CGI는 영화와 애니메이션이 디지털시네마와 디지털애니메이션으로 진화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대중 상업 영화와 애니메이션 안에 리얼리즘 시각중심의 스펙터클의 영상문화를 정착시킨 중요한 시각형식이다. 영상문화를 설명하는 도상성, 포토리얼리즘, 핍진성, 언캐니밸리, 하이퍼리얼리즘, 스펙터클 사실주의 담론 연구를 통해 CGI 시각형식이 세 가지 관점에서 구조화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는 그림과 사진의 도상적 차이에서 생기는 조형적 관점이고, 둘째는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자연스러움과 이상함을 사실적 개연성의 문제로 보는 인식적 관점이다. 마지막으로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전통에 뿌리를 둔 관습적 관점이다. 그리고 이렇게 구조화된 시각형식의 틀로 영화 '정글북'(2016)에 사용된 CGI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 영화는 사실적인 개연성의 바탕 위에 극사실적 포토리얼의 사진적도상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과장 및 증폭된 시각적 내러티브를 주된 시각형식으로 하는 영화의 영상미학적 관습을 따르면서 동시에 동물캐릭터의 의인화로 인해 애니메이션 영상미학의 관습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오진희, "디지털 실사영화와 3D애니메이션의 핍진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2권, 제5호, p.325, 2011.
  2. Martin Lister, Jon Dovey, Seth Giddings, Iain Grant, and Kieran Kelly, New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Second Edition, Routledge, p.136, 2003.
  3. 이재현, 디지털 영화와 사실주의 미학, 언론정보연구, p.54, 2006.
  4. 김대규, 김혜윤, 김기연, 장필식, 정우현, 현주석, "사건관련전위 관찰에 기초한 언캐니 밸리 현상에 대한 탐색적 이해," 감성과학, 제19권, 제1호, pp.95-110, 2016.
  5. 김남훈, 정한경, 김남훈,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CG 언캐니 곡선과 추상화 정도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4호, p.259, 2011.
  6. 이재현,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 커뮤니케이션북스, p.265, 2004.
  7. Martin Lister, Jon Dovey, Seth Giddings, Iain Grant, and Kieran Kelly, New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Second Edition, Routledge, p.138, 2003.
  8. Martin Lister, Jon Dovey, Seth Giddings, Iain Grant, and Kieran Kelly, New Media: a critical introduction Second Edition, Routledge, p.137, 2003.
  9. 이재현, 디지털 영화와 사실주의 미학, 언론정보연구, p.55, 2006.
  10. 마르틴 졸리, 김동윤 역, 영상 이미지 읽기, 문예출판사, p.48, 1999.
  11. 랜달 P. 해리슨, 하종원역,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천, p.55, 1989.
  12. 랜달 P. 해리슨, 하종원역,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천, p.54, 1989.
  13. https://www.youtube.com/watch?v=sCoJvu8PF7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