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곽향림(2015). 구성주의 유아교육 교수학습법. 서울 : 공동체.
- 교육과학기술부(2010). 유치원 교육과정 개편 방안 마련을 위한 TF wp1ck 워크숍.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2012). 5세 누리과정 교육과정 지침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 김선애, 안경숙, 김소향(2002). 인지이론에 기초를 둔 구성주의적 접근이 유아과학교육에 주는 교육적함의. 나사렛논총, 7, 100-118.
- 김성원, 권미량(2015). 한국 유아기 놀이의 세대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2), 263-293.
- 박진희, 이영애(2001). 유추에 의한 과학 개념의 학습.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3(4), 361-372..
- 박주희, 한석실(2001). 유아의 놀이성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7(2), 55-72.
- 신은수, 안경숙(1995). 인지적 갈등유도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1, 203-215.
- 신은수, 안경숙, 김은정, 안부금(2006). 영유아과학교육. 파주 : 양서원.
- 안경숙(2015). 구성주의 교실공동체에서 이루어진 '에너지' 주제탐구과정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 탐색: 지속가능발전교육 측면에서.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2(1), 25-47.
- 안경숙, 김소향(2001). 유아평가방법의 새로운 대안 모색. 열린유아교육학회, 6(1), 89-105.
- 안경숙, 임수진, 이유리(2009). 미디어를 활용한 '지구의 땅속' 주제 탐구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사고과정과 변화. 유아교육학논총, 13(6), 27-49.
- 윤숙현(2010).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반성적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0(1), 143-197.
- 이기현 (2004). 유아과학교육. 파주 : 정민사.
- 이미나, 정주선(2012). 유아의 리더쉽과 놀이표현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2), 147-161.
- 이정금, 정경수, 임부연(2014), 유아들이 숲에서 경험하는 자연매체에 대한 의미 탐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141-163.
- 임효진, 이두곤(2016).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방향 연구. 현대교육, 29(4), 384-399.
- 조형숙, 김현주, 김민정(2006). 자연 놀이공간 구성하기에서 나타난 유아 놀이의 교육적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0(2), 141-163.
- 최지연, 황동국, 이태석, 유동현, 이상원(2017).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41-64.
- 홍정주, 박신규, 박영관, 김종욱, 정원우(2010). 흙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4(1), 93-104.
- 황혜연, 김윤정(201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여건. 교육문제연구, 18(1), 108-132.
- Brown, A. L., Campione, J. C., Metz, K. E., & Ash, D. B. (1997). The development of science learning abilities in children. Growing up with science: Developing early understanding of science, 7-40.
- Brown. A., Kane, M., J., & Ecols, K. (1986). Young children's mental models determine analogical transfer across problems with a common goal struture. Cognitive Development, 1(2), 103-122. https://doi.org/10.1016/S0885-2014(86)80014-4
- Chaille, C., & Britain, L. (2003).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New York : Longman.
- Chalufour, I., & Worth, K. (2004). Building structures with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EYC.
- Davies, J. (2010). Young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ewey, J. (1964). Logic: The theory of inquiry.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 Duckworth, E. (1987). The having of wonderful ideas and other essays of teaching and learn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Gentner, D. (1983). Structure-m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7(2), 155-170.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0702_3
-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y-Bass.
- Hellden, G. (1997).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world in the early ages. In K. Harnqvist & Burgen(Eds.), Growing up with science(pp. 186-199). Bristol, PA : Jessica Kinhsley Publishers.
- Holyoak, K. J., & Koh, K. (1987). Surface and structural similarity in analogical transfer. Memory & cognition, 15(4), 332-340. https://doi.org/10.3758/BF03197035
- Howe, A. C. (1993).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Spode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pp 225-235.)
- Inagaki, K. (1992). Piagetian and post-Piagetian conceptionsof development and the implication for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5), 115-133.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22-Q
- Kamii, C., & DeVries, R. (1993).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 Implications of Piaget's theory. Teachers College Press.
- Lee, K. S. (2013).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Paju: Komoonsa.
- McRobbie, C., & English, L. (1993). A case of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5), 199-207. https://doi.org/10.1007/BF02357061
- Martin, R., Sexton, C., & Gerlovich, J. (2001).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Inquiry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standing(3rd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 Meyer, C. A. (1992).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leadership, 49(8), 39-40.
- Merriam, S. B. (1994). 질적 사례연구법(허미화 역). 서울 : 양서원. (원전은 1988에 출판).
- National Research Council(1999).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Classroom assessment and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 Piaget, J. (1970).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New York : Orlon Press.
- Prairie, A. P. (2005). Inquiry into math, science, and technology for teaching young children. Clifton Park, NY : Thomson Delmar Learning.
- Siraj-Blatchford, J., Smith, K.C., & Samuelsson, I.P.(2012).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박은혜, 신은수 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2005). 우리 공동의 미래: 지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조형준, 홍성태 역). 서울 :새물결 출판사. (원전은 1993에 출판).
- Williams, C. L., & Kamii, C. (1986). How do children learn by handling objects? Young Children, 41(3), 23-26.
- Vygotsky, L.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Reading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23(3), 3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