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rocess of 'Soil' Theme for Five Years Old

만 5세 유아의 '흙' 주제 탐구 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 안경숙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7.10.13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ducational meaning by analyzing 5-year-olds' activities process in soil-themed activities about 'soil' theme which was investigated by examination and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For this, data of 20 children in 5-year-old clas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firstly the value of children's pre-concept evaluation on soil theme was identified. Secondly, 'soil' them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feeling of wonder about nature and their ecologic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irdly, children could comprehensively investigate science education fields such as biology, ecology, and earth science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soil theme. Fourth, children came into interest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and human through media. Lastly, children were found to compose scientific knowledge while investigating soil, through naturally using the method of infer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들의 '흙' 주제 탐구과정에서의 활동과정과 교사의 반성적 평가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반 유아 20명이 탐구한 '흙' 주제에서의 활동과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흙' 주제에 대한 유아들의 사전지식 및 개념 평가를 반영한 활동선정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흙' 주제가 유아들의 자연에 대한 경이감과 생태학적 조망수용능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흙' 주제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생물학과 생태학, 지구과학과 같은 과학교육의 내용 영역들을 포괄하여 탐구할 수 있었다. 넷째, 미디어를 통해 유아들이 흙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다섯째, '흙'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유추의 방법을 사용하여 과학적 지식을 구성하는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향림(2015). 구성주의 유아교육 교수학습법. 서울 : 공동체.
  2. 교육과학기술부(2010). 유치원 교육과정 개편 방안 마련을 위한 TF wp1ck 워크숍.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12). 5세 누리과정 교육과정 지침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5. 김선애, 안경숙, 김소향(2002). 인지이론에 기초를 둔 구성주의적 접근이 유아과학교육에 주는 교육적함의. 나사렛논총, 7, 100-118.
  6. 김성원, 권미량(2015). 한국 유아기 놀이의 세대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2), 263-293.
  7. 박진희, 이영애(2001). 유추에 의한 과학 개념의 학습.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3(4), 361-372..
  8. 박주희, 한석실(2001). 유아의 놀이성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7(2), 55-72.
  9. 신은수, 안경숙(1995). 인지적 갈등유도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1, 203-215.
  10. 신은수, 안경숙, 김은정, 안부금(2006). 영유아과학교육. 파주 : 양서원.
  11. 안경숙(2015). 구성주의 교실공동체에서 이루어진 '에너지' 주제탐구과정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 탐색: 지속가능발전교육 측면에서.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2(1), 25-47.
  12. 안경숙, 김소향(2001). 유아평가방법의 새로운 대안 모색. 열린유아교육학회, 6(1), 89-105.
  13. 안경숙, 임수진, 이유리(2009). 미디어를 활용한 '지구의 땅속' 주제 탐구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사고과정과 변화. 유아교육학논총, 13(6), 27-49.
  14. 윤숙현(2010).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반성적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0(1), 143-197.
  15. 이기현 (2004). 유아과학교육. 파주 : 정민사.
  16. 이미나, 정주선(2012). 유아의 리더쉽과 놀이표현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2), 147-161.
  17. 이정금, 정경수, 임부연(2014), 유아들이 숲에서 경험하는 자연매체에 대한 의미 탐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141-163.
  18. 임효진, 이두곤(2016).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방향 연구. 현대교육, 29(4), 384-399.
  19. 조형숙, 김현주, 김민정(2006). 자연 놀이공간 구성하기에서 나타난 유아 놀이의 교육적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0(2), 141-163.
  20. 최지연, 황동국, 이태석, 유동현, 이상원(2017).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41-64.
  21. 홍정주, 박신규, 박영관, 김종욱, 정원우(2010). 흙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4(1), 93-104.
  22. 황혜연, 김윤정(201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여건. 교육문제연구, 18(1), 108-132.
  23. Brown, A. L., Campione, J. C., Metz, K. E., & Ash, D. B. (1997). The development of science learning abilities in children. Growing up with science: Developing early understanding of science, 7-40.
  24. Brown. A., Kane, M., J., & Ecols, K. (1986). Young children's mental models determine analogical transfer across problems with a common goal struture. Cognitive Development, 1(2), 103-122. https://doi.org/10.1016/S0885-2014(86)80014-4
  25. Chaille, C., & Britain, L. (2003).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New York : Longman.
  26. Chalufour, I., & Worth, K. (2004). Building structures with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EYC.
  27. Davies, J. (2010). Young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Dewey, J. (1964). Logic: The theory of inquiry.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29. Duckworth, E. (1987). The having of wonderful ideas and other essays of teaching and learn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0. Gentner, D. (1983). Structure-m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7(2), 155-170.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0702_3
  31.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y-Bass.
  32. Hellden, G. (1997).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world in the early ages. In K. Harnqvist & Burgen(Eds.), Growing up with science(pp. 186-199). Bristol, PA : Jessica Kinhsley Publishers.
  33. Holyoak, K. J., & Koh, K. (1987). Surface and structural similarity in analogical transfer. Memory & cognition, 15(4), 332-340. https://doi.org/10.3758/BF03197035
  34. Howe, A. C. (1993).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Spode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pp 225-235.)
  35. Inagaki, K. (1992). Piagetian and post-Piagetian conceptionsof development and the implication for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5), 115-133.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22-Q
  36. Kamii, C., & DeVries, R. (1993).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 Implications of Piaget's theory. Teachers College Press.
  37. Lee, K. S. (2013).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Paju: Komoonsa.
  38. McRobbie, C., & English, L. (1993). A case of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5), 199-207. https://doi.org/10.1007/BF02357061
  39. Martin, R., Sexton, C., & Gerlovich, J. (2001).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Inquiry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standing(3rd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40. Meyer, C. A. (1992).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leadership, 49(8), 39-40.
  41. Merriam, S. B. (1994). 질적 사례연구법(허미화 역). 서울 : 양서원. (원전은 1988에 출판).
  42. National Research Council(1999).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4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Classroom assessment and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44. Piaget, J. (1970).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New York : Orlon Press.
  45. Prairie, A. P. (2005). Inquiry into math, science, and technology for teaching young children. Clifton Park, NY : Thomson Delmar Learning.
  46. Siraj-Blatchford, J., Smith, K.C., & Samuelsson, I.P.(2012).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박은혜, 신은수 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7.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2005). 우리 공동의 미래: 지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조형준, 홍성태 역). 서울 :새물결 출판사. (원전은 1993에 출판).
  48. Williams, C. L., & Kamii, C. (1986). How do children learn by handling objects? Young Children, 41(3), 23-26.
  49. Vygotsky, L.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Reading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23(3), 34-41.